View : 609 Download: 0

서번트 리더십이 무용학습자의 무용정서 및 무용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서번트 리더십이 무용학습자의 무용정서 및 무용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mpact of servant leadership on dance learner’s dance emotion and expressiveness
Authors
우태경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승하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사랑과 성장과 책임이라는 시대적 화두를 담고 있으면서도 원칙 및 인격에 충실한 잠재적 리더십으로써의 서번트 리더십이 무용학습자의 정서의 과정적 측면을 보는 무용정서와 결과 및 정서적 수행력 측면을 보는 무용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무용학습자가 지각한 서번트 리더십은 무용정서 및 무용표현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무용정서는 서번트 리더십과 무용표현력의 영향 관계에 있어서 매개역할을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문헌 연구와 설문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18년 현재 무용 수업이 운영되고 있는 서울 소재의 예술고등학교 1곳, 경기 소재의 예술고등학교 1곳에 재학 중인 무용과 소속 고등학교 1-3학년 학생 141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최종적으로는 128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무용 교육의 장에서 무용학습자가 지각할 수 있는 서번트 리더십을 측정하기 위하여 최은용(2008)의 설문지를 토대로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을 하여 사용하였다. 무용학습자의 무용정서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도구로 유진과 김종오(2002)가 개발한 한국형 운동-정서 척도(Korean Exercise-Emotion Scale: KEES)를 토대로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을 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무용학습자의 표현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강혜원, 이용현, 박승하(2011)가 개발한 무용표현력 구성요인을 참조하였다. 연구를 위한 분석 방법은 빈도 분석,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Baron & Kenny의 위계적 회귀분석, Sobel test로 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활용한 주요 변인의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모든 변인은 5점 척도로 측정되었는데, 서번트 리더십은 5점 만점에 평균 4.31로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 검증에서 먼저 학년에 따라 서번트 리더십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하고자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서번트 리더십과 모든 구성요인은 유의한 결과를 보였는데, Scheffe의 사후검증 결과, 서번트 리더십의 구성요인인 비전과 헌신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학년에 따라 무용정서가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하고자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무용정서와 모든 구성요인은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학년에 따라 무용표현력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하고자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표현열정은 유의한 결과를 보였지만 사후검증에서 학년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셋째, 전공에 따른 서번트 리더십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공에 따른 무용정서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공에 따른 무용표현력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로 서번트 리더십, 무용정서, 무용표현력과 모든 구성요인은 전공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넷째, 무용 경력에 따른 서번트 리더십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서번트 리더십과 모든 구성요인은 무용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무용 경력에 따른 무용정서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무용정서와 모든 구성요인은 무용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무용 경력에 따른 무용표현력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무용표현력에서 동작표현기술은 무용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2.292, p<.05). 다섯째, 서번트 리더십, 무용정서, 무용표현력 간 상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서번트 리더십은 무용정서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r=.643, p<.01), 서번트 리더십과 무용표현력 간에도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r=.455, p<.01), 무용정서와 무용표현력 간에도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r=.748, p<.01). 즉 서번트 리더십, 무용정서, 무용표현력 간에는 모두 정(+)적 상관을 보이며, 그 구성요인 간 상관관계도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섯째, 서번트 리더십이 무용정서에 미치는 영향, 무용정서가 무용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서번트 리더십이 무용정서를 매개하여 무용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 번째 모형에서는 독립변인이 매개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는데, 서번트 리더십이 무용정서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β=.643, p<.001). 두 번째 모형에서는 독립변인이 종속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는데, 서번트 리더십이 무용표현력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β=.455, p<.001). 그러나 여기서는 무용정서의 영향력이 통제되지 않았기 때문에 서번트 리더십이 무용표현력에 영향을 미친다고 단정 지을 수는 없다. 세 번째 모형에서는 독립변인과 매개변인을 동시에 투입하여 서로의 영향력을 통제하고, 종속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는데, 서번트 리더십은 무용표현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 하였고, 무용정서는 무용표현력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β=.778, p<.001). 소벨 테스트를 실시한 결과, 본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Z=6.880, p<.001), 서번트 리더십과 무용표현력 간 무용정서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결과적으로 서번트 리더십은 무용정서를 매개하여 무용표현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즉 서번트 리더십의 성향이 강할수록 무용정서가 좋아지며, 무용정서가 좋아짐으로써 무용표현력도 좋아지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서번트 리더십은 이 시대에 통념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행위보상적인 인과관계에 기초하는 것이 아니라 서번트 리더십의 기조가 되는 사랑과 은혜의 체험과 더불어 섬김을 통해 내면으로부터 관계의 연합을 추구하는 진정한 리더십이라고 볼 수 있다. 서번트 리더십이 무용학습자의 무용정서 및 무용표현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지속적으로 무용 교육 및 다양한 분야에서 선의 조화를 이루는 리더십이 될 것을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e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impact of servant leadership—a potential leadership that devotes to the principle and personality while containing the topic in an era, of love, growth and responsibility—on dance emotion, which sees the process aspects of dance learner’s emotion, and dance expressiveness, which sees the outcome and emotional performance. I figured the servant leadership perceived by the dance learner will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dance emotion and expressiveness. Literature and survey investigation research were conducted with preceding studies as a foundation. The study subjects were high school first to third grade dancers from 1 arts school in Seoul and 1 arts school in Gyeonggi, and 128 of them were ultimately selected. In this study, a survey of Eunyong Choi (2008) was used to measure servant leadership; Korean Exercise-Emotion Scale: KEES developed by Jin Yoo and Jongoh Kim (2002) was used to measure dance emotion; dance expressiveness scale developed by Hyewon Kang, Yonghyun Lee, and Seungha Park (2011) was used to measure expressivenes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Baron & Kenny’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were used for the study analyses. The summary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ain variable level utilized in this study, with the servant leadership scoring 4.31 out of 5, which is perceived to be of a high level. Second,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verify any existing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by school grade; as a result, the servant leadership and all its components showed a significant outcome, however, by Scheffe post hoc test only vision and devotion components of the servant leadershi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verif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ance emotion by school grades; as a resul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either dance emotion or all of its components; A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verif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ance expressiveness by school grades.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outcome in the expressing passion, with no difference by grades according to the post hoc test. Third, as a result of conducting a one-way ANOVA to verify the servant leadership difference, dance emotion difference, dance expressiveness by study major, no difference was shown. Fourth, as a result of conducting independent t-tests to verify the servant leadership and dance emotion differences by dance career, the differences did not show any significance. And as a result of conducting an independent t-test to verify the difference of dance expressiveness by dance career, the motion expression technique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by dance career (t=-2.292, p<.05). Fifth,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s among servant leadership, dance emotion, dance expressiveness, and the components within, in which all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one another. Sixth,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uggested by Baron & Kenn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impact of servant leadership on dance emotion, dance emotion on dance expressiveness, and servant leadership on dance expressiveness mediating dance emotion (Baron & Kenny, 1986). As a result, dance emotion grew higher as servant leadership level became higher in the first model. In the second model, the influence of dance emotion was not controlled, thus it is undeterminable to say that the servant leadership affects dance expressiveness. In the third model, the servant leadership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ance expressiveness, whereas the dance emo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in the dance expressiveness (β=.778, p<.001). As a result of conducting a Sobel test, servant leadership had a positive impact on dance expressiveness with dance emotion as a mediating factor, thus implying that the better the servant leadership, the better the dance emotion, and as the dance emotion improves, so does the dance expressiveness. Servant leadership does not base itself on the behavior compensatory causal relationship in the society, but rather on the love of Jesus and the experiencing of his mercy, pursuing unity in the relationship through serving with love. I long for the completion of a leadership that makes a harmony of the goodness in all area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