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8 Download: 0

치료적 노래 부르기를 통한 두경부암 환자의 말 명료도 향상 사례

Title
치료적 노래 부르기를 통한 두경부암 환자의 말 명료도 향상 사례
Other Titles
Case study of Therapeutic Singing on Speech Intelligibility in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Authors
김주희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수지
Abstract
본 연구는 치료적 노래부르기를 적용한 음악중재 프로그램에 참여한 두경부암 환자의 말 명료도와 심리정서적 측면의 변화를 살펴본 사례연구이다. 대상자는 서울시 소재 대학병원에서 두경부암 진단을 받고 관련 수술 및 화학방사선요법 등을 받았으며 추적관찰 기간이 최소 6개월 이상인 환자 총 3명으로 주 2회 30분씩 12회기 중재에 개별적으로 참여하였다. 본 중재 프로그램은 호흡근 이완을 위한 신체움직임, 조음기관의 운동범위 확장 및 성대이완을 위한 발성훈련, 리듬, 속도, 악센트를 적용한 치료적 노래부르기의 총 3단계로 구성되었다. 중재에 따른 대상자들의 말 명료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음성의 질, 길항반복운동속도(DDK), 모음공간면적(vowel space area, VSA) 변화 등의 음향학적 분석과 <산책>문단 읽기 과제 시의 청지각적 평가지표를 살펴보았다. 또한 프로그램 참여 시의 관찰 및 사전ㆍ사후 면담을 통해 대상자의 심리정서적 변화를 관찰하여 기술하였다. 연구 결과, 구강근육의 섬유화로 인해 입벌림이 원활하지 않았던 대상자 A는 강박에 악센트를 주며 반복 노래하도록 유도하자 구강안면부의 움직임이 시각적으로 원활해지고 청지각적으로 비성이 감소해 말 명료도가 개선되는 양상을 보였다. 대상자 B는 일상대화 시 구어호흡이 불안정했으며 낮은 음도로 목쉰소리와 기식성 음성을 산출했는데 악절의 길이를 단계적으로 조정해 들숨구간에서 명확한 들숨 후 악센트를 주며 음성을 산출하도록 유도하자 음성의 질적 측면에 개선이 나타났다. 대상자 C는 프로그램 초반에는 음성 산출에 대한 부담감과 낮은 재활동기를 표현했으나 회기가 거듭될수록 음성언어 기능의 개선과 더불어 프로그램 내에서 부른 노래를 녹음해 소유하고자 하는 등 음성사용에 대한 정서적 고립감 및 위축감을 일정 수준 이상 해소한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 본 프로그램에서 치료적 노래부르기를 적용한 음악프로그램이 두경부암 환자들의 음성 기능 및 잔존하는 조음기관 운동성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추후 관련 연구를 통해 중재방안 및 영역의 확장을 제언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was to investigat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hanges of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through a music intervention program using therapeutic singing.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head and neck cancer at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and medical procedures such as surgery and chemoradiotherapy were terminated. Three patients observed at least 6 months for their improvement were selected under the recommendation of hospital's specialists. They received an individual music therapy sessions and each session was conducted for 30 minutes. Normal listeners who had no familiarity with the subjects and their problem wrote the transcripts of the recorded voices that the subjects read a standard Korean text , and the speech intelligibility measures were derived from it. Acoustic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using the measures of maximum phonation time(MPT), fundamental frequency, average intensity, jitter, shimmer, Noise to Harmonics Ratio(NHR), diadochokinesis(DDK) and the quadrangle vowel space area(tVSA). These cases have shown improved acoustic characteristics in all of the patients. This indicates that music therapy program using therapeutic singing was effective on speech intelligibility for patients with head and neck canc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