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62 Download: 0

마을교육공동체 기반의 진로교육프로그램이 성인 전환기 지적장애학생들의 진로성숙도와 사회성 기술에 미치는 영향

Title
마을교육공동체 기반의 진로교육프로그램이 성인 전환기 지적장애학생들의 진로성숙도와 사회성 기술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a care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village education community on career maturity and social skills of transition-age youth with intellectual disabilites.
Authors
최윤경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숙향
Abstract
미래에 좀 더 나은 삶을 영위하기 위한 대학진학이나 취업에 대한 요구는 장애유무를 떠나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라 할 수 있다. 대학진학과 취업을 진로라는 개념으로 포함할 수 있는데 진로란 개인이 일생동안 하는 일의 총체를 의미하여 이의 발달은 개인의 전 생에 걸쳐 이루어지는 연속적이고 지속적인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성인기 전환을 앞두고 있는 청소년들에게 진로는 매우 중요하므로 학교와 지역사회를 통해 진로발달단계에 적절한 진로의 인식과 탐색을 거치면서 진로를 준비하는 과정을 걸쳐야 한다. 장애청소년에게 있어서도 진로교육의 중요성은 예외가 아니며 체계적인 진로교육을 통해 성공적인 전환을 맞이하여 궁극적으로 지역사회의 구성원으로서 독립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지역사회 내 독립적인 삶을 준비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마을교육공동체가 고려되고 있다. 마을교육공동체는 ‘함께 키우고, 배움터가 되고, 주인이 되는 것’으로 ‘마을이 아이들을 함께 키우고, 마을이 아이들의 배움터가 되며, 아이들이 마을의 주인이 되는 것’이다. 지역주민들은 협력과 의사결정을 통해 교육에 참여함으로써 마을이 공동으로 교육의 권한과 책임을 실천할 수 있도록 하고 마을의 자연, 사회, 삶 등은 아이들에게 다양한 배움의 기회와 교육적 기회와 더불어 공간을 제공하여야 한다. 또한 지역사회 안에서 교육공동체를 실천하여 지속가능한 교육을 통해 아이들을 민주 시민으로 성장시킬 수 있어야 한다. 학생들은 자신의 마을이 가지고 있는 역사적, 자연적, 문화적, 산업적 특수성과 발전 양상을 배우고 마을은 학생들에게 인적·문화적·환경적·역사적 교육 인프라와 자원을 제공해야 한다. 마을을 위해 학생들이 지역사회 발전의 훌륭한 자원이 될 수 있도록 진로교육과 미래역량교육이 필요하다. 그 결과 마을은 공동체와 함께 지속가능한 발전을 하게 될 것이다. 마을교육공동체를 위해 학교와 지역사회가 협력할 경우 가장 큰 장점을 나타내는 영역은 ‘진로’영역이며 학생들은 이를 통해 자신의 미래에 대해 고민하는 동시에 흥미와 소질을 계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고 자신의 적성을 찾아갈 수 있는 진로를 탐색할 수 있다. 또한 공동체의 원리와 민주적 참여 및 소통의 원리 등을 통해 사회성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마을교육공동체와 관련한 기존의 선행연구들은 주로 비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마을교육공동체 기반의 진로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성인 전환기 지적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후 이 프로그램이 성인 전환기 지적장애학생들의 진로성숙도와 사회성 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경기도 G군의 C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성인 전환기 지적장애학생으로 고등학교 특수학급과 전공과에 재학 중인 10명의 학생이다. 주 1회 50분씩 블록타임을 활용하여 110분씩 7주 동안 14회기에 걸쳐 마을교육공동체 기반의 진로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총 14회기 중 8회기는 학교에서 모둠 활동, 토론, 과제 해결과 같이 다양한 수업의 형태로 이루어졌으며, 6회기는 학교 주변 마을에 위치한 ‘H카페’, ‘도서관’, ‘꼬끼오’에서 직업체험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단일집단 사전-사후 검사 설계를 적용하였고 진로성숙도와 사회성 기술에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간의 변화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사용하였다. 진로성숙도는 학생들이 자기보고식으로 실시하였고 사회성 기술은 교사가 보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을교육공동체 기반의 진로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 전환기 지적장애학생들의 진로성숙도에서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으나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마을교육공동체 기반의 진로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 전환기 지적장애학생들의 사회성 기술에서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아울러 사회성 기술의 하위 요인별 분석 결과 협력, 자기주장, 자아통제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마을교육공동체 기반의 진로교육프로그램이 성인 전환기 지적장애학생들의 사회성 기술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진로성숙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인 전환기 지적장애학생들의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더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중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그러나 본 연구는 마을교육공동체를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했다는 점, 주로 일반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모둠 활동, 토론과 같은 학습자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신장하기 위한 학생 중심의 수업을 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했다는 점, 지역사회 중심으로 장애학생들의 흥미와 선호도를 고려하여 학생들이 직접 직업체험 장소를 선정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성인 전환기 지적장애학생들을 위한 마을교육공동체와 관련된 진로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에 대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이 제시되었다.;Needs for entering a college or getting a job to live a better life in the future may be said as basic needs of human beings whether they are disabled or not. Entering a college or getting a job may be included into a concept of career, and it means the whole of work done by an individual in a lifetime and its development may be a continual and constant process during individual's whole life. For adolescents with the adulthood ahead, career is very important and they should have a process exploring and preparing their career adequate for career development phases through school and community. For adolescents with disorders, career education is also important. They are to have a successful transition and eventually live an independent life as a community member through systemic career education. As such, village education community has been considered as a way for preparing an independent life in a community.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aims to 'bring up together, make a learning place and be a master', meaning that 'village raises children together, becomes a learning place for children and they come to be a master of a village'. The village should have the shared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for education through community residents' participation in education by cooperation and decision-making. Besides, the village has to provide children with opportunities for a variety of learning and education, along with a place provided by its nature, society and life. It also has to make children grow up as democratic citizens through sustainable education as an educational community. Students should learn historic, natural, cultural, industrial developmental specificities of their village, and it should provide them with human·cultural·environmental·historic·educational infrastructures and resources. Education for career and future capability are warranted for students to be excellent resources to develop the community. As a result, the village may have a sustainable development with the community. When school and community cooperate together for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the most advantageous area is 'career' so students are given an opportunity to consider their future and develop their interest while exploring their career fitting for their aptitude. Furthermore, they may enhance their social skills through principles of community, democratic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However, precedent studies on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concentrate mainly on students without disorders and there are few for students with disorders. Hence, this study developed and implemented a care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village education community having a positive effect on the career maturity and social skills of transition-age youth with intellectual disabilites. In other wo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a care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village education community on career maturity and social skills of transition-age youth with intellectual disabilite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0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t special/major classes, C high school located in District G, Gyeonggi-do.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village education community was conducted in 14 sessions during 7 weeks, 110 minutes each, using a block time for 50 mins per week. In the total 14 sessions, 8 sessions had various instructions including a group activity, discussion and a problem solving at school, and 6 sessions had vocational experience at 'Cafe H', 'library' and 'Kkokkio' around the village. In the research, the One-Group Pretest- Posttest Design was applied and paired t test was used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pretest-posttest for the career maturity and social skills. Students self-reported the career maturity with social skills by the teac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ransition-age youth with intellectual disabilites, who participated in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village education community, showed higher scores for the career maturity at the posttest compared with those at the pretest but this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ransition-age youth with intellectual disabilites, who participated in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village education community, showed higher scores for the social skills at the posttest compared with those at the pretest and thi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analytic findings by sub-factors of the social skills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reas of collaboration, self-assertion and self-control. That is, it revealed that care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village education community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skills of transition-age youth with intellectual disabilites bu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ir career maturity. It suggests the need of a long-term and systemic intervention to improve the career maturity for transition-age youth with intellectual disabilites. However,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that it implemented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gave them instructions to enhance learner's autonomy and creativity like a group activity and discussion which are being done mainly for general students and students selected a place for work experience around a community with considerations of their interest and preference.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it provide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on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career education program centered on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