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해영-
dc.contributor.authorOsari, Miki-
dc.creatorOsari, Miki-
dc.date.accessioned2018-09-05T08:23:31Z-
dc.date.available2018-09-05T08:23:31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5084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0842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5573-
dc.description.abstractAmong the methods, focusing on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skills a great attention is put on the initiative and active learning. In this study, we focused on self-reflection as a detailed way of realizing language learning with an emphasis on communication and learner's subjecthood. The purpose of self-reflection is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others by looking back on oneself and forming more mature self. On the other hand, the goal is to use language acquired in language learning as means and tools to communicate with others.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self-reflection in communication aspect and self-reflective Korean classes were organized, so that learners can participate actively in communication. In addition, in the self-reflective Korean class, the self-reflection tool ME:TRIX developed by “Lifeliverary” was used so that the learners who are not accustomed to self-reflection can approach it easily and have fun.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n language learning when using self-reflection, self-reflection tool ME:TRIX and the language process achieved in self-reflective Korean classes. In addition, this study aims to find out what improvements and possibilities are possible in order to introduce self-reflective Korean language classes using ME:TRIX into actual education. In chapter Ⅰ, previous studies that used self-reflection in educational field are examin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studies introduced self-reflection for “establishing ones subjecthood”. Therefore, this is the first study to focus on the communication aspect of self-reflection and use it for language learning. In chapter Ⅱ, the reason for self-reflection used for language learning in terms of motivation and communication was investigated. In order to improve the motivation of the learners, the topic of the learning should be linked to the learner's real life. Self-reflection has the potential to contribute to learning motivation by making learners the subject and that way being deeply connected with their real life. Also, after explaining the principle and characteristics of the self-reflection tool ME:TRIX, it was confirmed that the self-reflection workshop using ME:TRIX is proceeding in a way that leads the participant's subjecthood like in active learning. In chapter Ⅲ, the positive effect of the self-reflection tool ME:TRIX on language learning is shown. Among them, the use of ME:TRIX has made it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o increase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In addition, a fifteen-week self-reflective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using ME:TRIX was developed. The program examined the theory, on which ME:TRIX is based and how the class actually progressed. Section IV summarizes specific research methods, research procedures, research subjects, and measurement methods. Forty-nine Japanese students attending Korean language classes at Tokyo Women's University in Japan participated in the study. In section Ⅴ, the effect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based on the questionnaire conducted after the experiment and the subjects' opinions were examined. First, self-reflection and ME:TRIX not only induces interest in the learners but also facilitates communication among them and enhances interaction. It has been found out that motivation and desire to learn have increased due to self-reflection. In addition, through the process of sharing sentences written in Korean with other learners, opportunities for error correction, speaking, and listening practice were provided. In the process of sharing newly learned vocabulary and expression through the class, the learned information could be organized and as an effect from this knowledge deepened. The difficulties or inconveniences in the ME:TRIX self-reflective Korean class and the needed improvements were examined. Learners we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expressing their own thoughts and they also felt uneasiness when presenting their own sentences because they did not have confidence in the accuracy of their Korean. Therefore, before writing the sentence in Korean, it was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have a longer duration of pre-teaching time to learn the vocabulary and expressions related to the subject. It is also important for the teacher to observe the learner and to provide appropriate feedback for each learner, and to create an atmosphere in which the learner can easily ask questions. The final chapter Ⅵ summarizes the effects of teaching Korean using the tool for self-reflection ME:TRIX and describes the flaws of this study. There are still not enough studies dealing with the use of self-reflecting in language teaching.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onsists in proving that by using the self-reflecting tool ME:TRIX, students’ motivation and desire to learn increased as well as communication between learner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learning process and content of the ME:TRIX self-reflective Korean class will be further developed and used in real classes.;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방안으로 액티브러닝을 비롯한 학습자 주도적, 능동적 학습이 큰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처럼 의사소통과 학습자의 주체성에 중점을 둔 언어 학습의 구체적 실현 방법으로서 자아성찰에 주목을 하였다. 자아성찰의 목적은 자신을 되돌아보고 보다 더 성숙한 자아를 형성함으로서 타자와 소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언어 학습에서도 습득한 언어를 타자와 소통하는 수단 및 도구로 활용하는 것이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자아성찰과 언어 학습은 '타자와의 소통'이라는 측면에서 그 목적을 같이 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아성찰의 의사소통 측면에 주목을 하여 학습자가 적극적으로 의사소통에 참여할 수 있도록 자아성찰 한국어 수업을 구성 및 실시하였다. 또한 자아성찰 한국어 수업에서는 자아성찰에 익숙하지 않은 학습자가 쉽고 재미있게 접근할 수 있도록 인생도서관이 개발한 자아성찰 도구 ME:TRIX(미트릭스)를 활용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자아성찰과 자아성찰 도구 미트릭스, 그리고 자아성찰 한국어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학습 과정들이 언어 학습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가, 또한 미트릭스를 활용한 자아성찰 한국어 수업을 실제 교육 현장에 도입하기 위하여 어떠한 개선점과 가능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Ⅰ장에서는 자아성찰과 교육 현장에 활용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대부분이 '정체성 확립'을 목적으로 자아성찰을 도입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본 연구에서는 자아성찰의 의사소통 측면에 주목을 하여 언어 학습을 위해 활용하는 점에서는 최초의 연구이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Ⅱ장에서는 자아성찰이 언어 학습에 활용할 수 있는 근거를 동기부여와 의사소통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또한 자아성찰 도구 미트릭스의 원리와 특징을 정리하여 미트릭스를 언어 학습에 활용하는 데 어떠한 장점이 있는지를 제시하였다. 더불어 인생도서관 자아성찰 워크숍 절차를 보면서 그것이 액티브러닝에서 볼 수 있듯이 협동적이고 주체적인 활동을 이끌어내는 것을 확인해보았다. Ⅲ장에서는 미트릭스를 활용한 자아성찰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을 15주로 구성하여 구체적인 수업 설계를 제시하였다. Ⅳ장에서는 연구 절차나 연구 대상 및 측정 방법을 정리하였다. Ⅴ장에서는 일본 도쿄여자대학교에서 한국어 수업을 수강하는 일본 대학생 49명을 대상으로 미트릭스 자아성찰 한국어 수업을 실시한 후, 어떠한 효과 및 장단점이 있었는지 그 결과를 살펴보았다. 먼저 자아성찰과 미트릭스는 학습자들의 흥미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학습자 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여 상호작용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한국어로 작성한 문장을 다른 학습자와 서로 공유하는 과정을 통해 오류 수정의 기회, 말하기와 듣기 연습 기회가 되며, 본 수업을 통해 새로 알게 된 어휘나 표현을 공유하는 과정에서는 학습 내용을 스스로 정리하여 지식이 더 깊어지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미트릭스 자아성찰 한국어 수업에서 어렵거나 불편했던 점을 알아보고 그 개선점을 살펴보았다. 여기서 학습자들은 자신에 대한 내용을 한국어로 전환하는 작업에 어려움을 느끼고, 자신이 작성한 문장을 발표할 때 틀리지 않을까 불안감을 느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문장을 한국어로 작성하기 전에 주제와 관련하는 어휘 및 표현을 학습하는 사전 교육 시간을 학습자 숙달도에 맞게 더 길게 가질 필요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교사가 학습자를 잘 관찰하여 각자에 맞는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학습자가 쉽게 질문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야 할 것도 발견할 수 있었다. 자아성찰을 언어 학습에 활용한 연구들이 아직 미숙한 상태에서 자아성찰을 통한 한국어 수업을 실시 및 고찰하였다는 점과 미트릭스 자아성찰 한국어 수업이 동기부여 및 학습 의욕을 이끌어내며, 자아성찰과 미트릭스가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는 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미트릭스 자아성찰 한국어 수업의 학습 과정 및 내용을 더 발전시켜서 실제 도입에 활용되는 것을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선행 연구 2 C. 연구 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A. 자아성찰과 언어 학습 5 1. 자아성찰과 동기부여 5 2. 협력적 성찰과 동기부여 7 3. 자아성찰과 상호작용 8 B. 자아성찰 도구 미트릭스 9 1. 인생도서관 자아성찰 도구의 개념 및 원리 9 2. 미트릭스 언어 교육적 활용 13 C. 인생도서관 자아성찰 워크숍과 액티브러닝 14 Ⅲ. 미트릭스 자아성찰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17 A. 미트릭스 자아성찰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17 B. 미트릭스 자아성찰 한국어 수업 설계 20 Ⅳ. 연구 방법 25 A. 연구 절차 25 B. 연구 대상 27 C. 연구 도구 27 Ⅴ. 미트릭스 자아성찰 한국어 수업 효과와 개선점 34 A. 미트릭스 자아성찰 한국어 수업의 효과 34 1. 자아성찰로 인한 효과 34 2. 미트릭스로 인한 효과 38 3. 각 학습 과정 및 수업 전체를 통한 효과 42 B. 미트릭스 자아성찰 한국어 수업의 개선점 50 1. 자아성찰 활용 개선점 50 2. 미트릭스 활용 개선점 51 3. 각 학습 과정 개선점 53 C. 교육적 적용 및 의의 55 Ⅵ. 결론 57 참고문헌 60 부록1. 미트릭스 자아성찰 한국어 수업 질문 사항 63 부록2. 수업 자료: 이상형을 나타나는 표현 65 부록3. 본 실험 설문지 68 ABSTRACT 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6009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자아성찰 도구 미트릭스를 활용한 자아성찰 한국어 학습 효과에 대한 고찰-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ffects on Korean Language Learning by Using the ME : TRIX Toolkit for Self-Reflection-
dc.format.pagev, 77 p.-
dc.contributor.examiner박선희-
dc.contributor.examiner황선영-
dc.contributor.examiner이해영-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국제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18. 8-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