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2 Download: 0

한국어 교사의 구어 수정적 피드백에 관한 경험 탐구

Title
한국어 교사의 구어 수정적 피드백에 관한 경험 탐구
Other Titles
A Study on Korean Teacher’s Experience of the Oral Corrective Feedback
Authors
김지연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규
Abstract
한국어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의 구어 수정적 피드백은 교사와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에 중요한 요소가 되며 학습자의 제2언어 습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에 한국어 교사는 학습자들의 불완전 언어를 수정하는 과정에서 학습자의 언어 습득에 도움을 주고자 고민하게 된다. 그러나 구어 수정적 피드백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연구 대상자의 변인, 교수-학습 상황·맥락적 변인과 서로 다른 연구 방법의 적용 등으로 효과적인 구어 수정적 피드백에 대한 일관된 결과를 도출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효과적인 구어 수정적 피드백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한국어 교육 현장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며,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구어 수정적 피드백을 실행하고 있는 교사의 경험에 대하여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수정적 피드백 방안을 모색하는 대신, 교사와의 면담을 통해 구어 수정적 피드백 실행 과정에서 겪는 교사의 내적 경험에 대해 질적으로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어 수정적 피드백을 학습자의 언어 사용이 목표어에 적합하지 않음을 알리고자 하는 활동이라고 정의하고, 이러한 정의에 기초하여 구어 수정적 피드백을 실행하는 교사의 전문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반성적 실천을 경험한 현직 한국어 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구어 수정적 피드백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사용하는 피드백 유형과 피드백 실행 시 고려하는 점, 어려움과 대처 방안, 피드백 유형 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교사는 구어 수정적 피드백 사용 시 상황적 요인과 교수학적 요인, 교과 내용적 요인을 고려하고 있었다. 상황적 요인은 교실 환경과 다양한 학습자 특성을 말하며, 학습자 특성은 학습자의 성향, 선호, 동기, 숙달도, 교사와의 라포르 형성도, 언어 문화권 별 특성이 포함된다. 특히 정의적 요인인 학습자 동기 부여는 교사 모두가 고려하는 사항이었으며, 교사는 학습자가 자신감과 만족감,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학습자의 심리적 부담감을 고려하였다. 교수학적 요인은 수업 실행 방법과 학습자의 한국어 지식에 대한 이해를 말하며, 교사는 자가 수정 기회, 수업 단계, 학습 내용에 대한 학습자의 이해 정도를 미리 고려하였다. 마지막으로 교과 내용적 요인은 교수 목표와 교육 내용을 의미하는 것으로, 교사는 교과 영역에 따른 교수 목표와 목표 문법의 복잡성 등을 고려하여 피드백 유형을 결정하였다. 한국어 교사들은 이러한 피드백 유형을 실행하고 결정하는 과정에서 반성적 실천의 결과로 피드백에 대한 각자 자신만의 패턴과 신념을 가지게 되었으며, 각 교사의 신념은 실천 규칙을 통해 학습자에게 적용되고 있었다. 둘째, 한국어 교사가 구어 수정적 피드백을 실행 할 때 겪는 어려움은 대체로 피드백에 대한 불확실성에서 오는 어려움이었다. 교사들은 명확한 기준 설정의 불확실성에서 오는 어려움과 학습자 반응 파악에 대한 이해에서 오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명확한 기준 설정의 불확실성은 피드백의 시점과 범위, 효과에 대한 것을 말하며, 교사는 학습자에게 언제까지 어느 시점에 얼마만큼의 피드백을 어떠한 유형으로 피드백을 주어야 할지를 결정하는데 불확실성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다른 어려움인 학습자 반응 파악에 대한 불확실성은 학습자 인식, 선호, 수용에 대한 것이었다. 교사는 학습자가 교사의 구어 수정 피드백을 오류 처치로 받아들이지 못하거나 학습자의 선호를 파악하기 어렵거나 학습자에게 교사의 수정적 피드백이 받아들여지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어려울 때, 교사들은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 교사들은 효과적인 구어 수정적 피드백에 대한 일관된 결과를 도출하지 못하는 현 상황에서 효과적인 구어 수정적 피드백에 대한 명확한 지침의 부재에서 오는 심리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셋째, 한국어 교사가 피드백 유형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인을 예언 변인, 과정 변인, 맥락 변인으로 범주화하여 살펴보았다. 예언 변인으로는 교사의 제2언어 학습 시절의 경험과 연수 경험이 나타났으며, 과정 변인으로는 교사의 시행착오 경험이, 맥락 변인으로는 교사의 기관 특성이 드러나는 교안 회의나 교안 작성, 동료 교사와의 소통을 통한 반성적 성찰이 교사의 피드백 유형 결정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he oral corrective feedback of teachers in Korean language classes is important because it helps an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as well as it has an influence on a process of learners’second language acquisition. On this reason, Korean teachers concern how they can help their students in the process of correcting incomplete languages.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oral corrective feedback; however, it is difficult to obtain consistent research result regarding the oral corrective feedback due to various study population; various situational context; and different research methodologies. In order to provide an effective oral corrective feedback, it is important to pay attention to Korean language classes and teachers’experienc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teacher’s experiences in the oral corrective feedback with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is study reviewed teacher professionalism base on the definition: feedback is intended to inform learners that their language usage is not appropriate for the target languag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Korean teachers take into account many situational, pedagogical, and educational content factors when conducting the oral corrective feedback. Situational factor includes learner’s characteristic and lesson time, place, or classroom environment. Learner’s characteristic includes learner’s basic personality, preference for type of the oral corrective feedback, rapport with teachers, and motivation. The classroom environment includes the number of students and hours per class. In particular, teachers consider learner’s motivation, including confidence, satisfaction, and interest, as to be important; therefore, they considered the student's psychological burden. The pedagogical factors mean how teachers conduct their classes and understand the level of students’knowledge in learning language. Teachers try to give an opportunities of self-correction for students. They also consider the level of class and learning content. In educational content factors, curriculum, i.e., the complexity or difficulty of the grammar, and objectives of class are included. Some teachers have their own beliefs and patterns in the ideal oral corrective feedback as a consequence of the reflective practice. When they execute their feedback, these beliefs and patterns are applied to learners through the rules of practice. Second, when implementing the oral corrective feedback, Korean teachers face the difficulty largely due to uncertainty. This uncertainty contains the difficulty of setting the clear standard and understanding the response of learners. Setting clear standards is related to the timing, scope and effects of the oral corrective feedback. They are not sure how often, how much, and when they need to provide their feedback to their students. Understanding the response of learners is related to difficulties about recognition, preference, and acceptance. In summary, these difficulties result from the lack of clear guideline about the oral corrective feedback. Lastly, factors which give an influence to Korean teacher’s decision of the oral corrective feedback were categorized into three variations: presage, context, and process. In the presage variation, teacher’s own experience when they learned their second language and experience when they had during educational training were included. In the context variation, teacher’s trial and error experience was included. In the process variation, institutional meeting, making a lesson plan, and the reflective pract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with other teachers were includ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