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8 Download: 0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사동문 습득 연구

Title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사동문 습득 연구
Other Titles
Study regarding for Chinese Students Studying Korean Causative According to the comparisons of Korean causative and Chinese Causative
Authors
Hua, Shengnan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선희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사동과 중국어 사동을 유형별 대응 여부에 따라 한국어 사동 인식과 생산 양상을 실험을 통해 고찰하는 데 있다. 지금까지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사동을 인식 양상이나 생산 양상을 분석하는 연구가 많지만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모국어, 즉 중국어와 유형별로 대응하고 그 유형별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사동을 인식 양상과 생산 양상을 같이 분석한 연구가 없었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한국어 사동과 중국어 사동을 분류하고 대응한 후에 실험을 통해 한국어 사동과 중국어 사동 유형별 대응에 따라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사동을 인식과 생산 양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Ⅰ장에서 본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연구 문제를 제출하였다. 본고의 연구 문제는 첫째, 중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사동문 유형 대응 유형 별로, 숙달도에 따른 차이를 보이는가이다. 둘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한국 사동문 유형별로 숙달도에 따라 생산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는가이다. Ⅱ장에서는 사동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한국어 통사적 사동, 형태적 사동, 어휘적 사동과 중국어의 통사적 사동, 어휘적 사동, 그리고 한국어 사동과 중국어 사동을 대조로 나누어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어 사동과 중국어 사동의 대응 유형을 설정하였다. 한국어 사동과 중국어 사동의 대응 유형은 크게 동일 대응, 비동일 대응, 부재항목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세부적으로 동일 대응은 ‘통사-통사’, ‘어휘-어휘’로 나눌 수 있고 비동일 대응은 ‘통사-어휘’, ‘어휘-통사’로 나눌 수 있다. 중국어 부재항목은 ‘형태-통사’, ‘형태-어휘’로 나눌 수 있다. Ⅲ장에서는 Ⅱ장에서 분류한 한국어 사동과 중국어 사동의 대응 유형을 바탕으로 연구 도구를 제작하였다. 연구 도구는 수용성 판단 과제와 번역 과제이다. 각 대응 유형에 따라 학습자의 사동문 인식과 생산 양상을 살펴볼 수 있도록 수용성 판단 과제는 18개 문항, 번역 과제는 18개 문항 총 36 개의 문항을 제작하였다. 실험은 한국인 모어화자 30명과 한국에 유학 중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중 중급 학습자 30명, 고급 학습자 30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진행하였다. 그리고 중국인 학습자 대상이 다시 숙달도 검사지를 통해 학습자 상·하 집단으로 나누었다. Ⅳ장에서 연구 결과를 기술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한국어 모어화자 집단,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상 집단과 하 집단 세 집단 간에 사동을 인식한 양상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전체적인 결과를 살펴보면 학습자 상 집단과 학습자 하 집단은 한국어 모어화자만큼 사동을 인식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 집단의 사동 인식 양상은 한국어 사동과 중국어 사동의 대응 여부에 따라 일정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사동 인식 양상에 모어 변인이 존재하였다. 이 변인은 구체적으로 사동문의 유형별에 따라 차이가 두드러짐을 볼 수 있다. 한국어 사동과 중국어 사동에 모두 존재하는 통사적 사동과 어휘적 사동은 학습자에게 더 쉽게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두 사동 유형에는 학습자에게 중국어와 비동일 대응하는 사동보다는 동일 대응한 사동을 더 쉽게 인식한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중국어 사동에서 부재 항목인 형태적 사동이 통사적 사동과 어휘적 사동보다 인식하기 어려운 것을 볼 수 있다. 셋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상 집단과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하 집단 간의 사동문 생산 양상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전체적인 결과를 살펴 보면 학습자 상 집단은 학습자 하 집단보다 사동문을 더 정확하게 생산할 수 있음을 보였다. 넷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집단의 한국어 사동 인식과 생산은 동일한 양상을 보이지 않는다. 앞서 기술한 바처럼 중국인 학습자에게 잘 습득하는 사동 유형이 학습자들이 잘 생산하는 유형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 사동문 생산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사동문 인식보다 제한적인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연구의 의의 및 한계를 기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한국어 사동과 중국어 사동 대응 여부에 따라 한국어 사동의 인식과 생산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한국어 사동과 학습자 모국어 사동과 대조하여 교육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 사동문을 학습하는 데 있어 나타나는 습득 양상을 관찰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수용성 판단 과제와 준 생산성 과제 두 가지를 사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는데 향후 연구에서 과제의 다각화를 통해 더 세밀한 학습자의 인식 양상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또한 학습자 생산 양상을 살펴볼 때에 사용했던 준 생산 과제보다 더 다양한 과제로 실험을 진행하면 더 많은 추이를 볼 수 있으므로 다양한 연구 도구로 습득 양상을 관찰할 필요가 있겠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nvestigates how Chinese learners acquire Korean causative structure according to corresponding with the causative structure between Korean and Chinese. It also provides some reference data for Chinese students in Korean education and studying Korean. This dissertation consists of five chapters. Chapter 1 focused on the current research status of Korean causative structures and also represented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The research questions included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the understanding of Korean causative structure between Chinese leaners and Korean native, compared with Chinese Causative and how Chinese learners use different types of Korean causative, compared with Korean natives. In the second chapter, various causative sentences in Korean and Chinese are analyzed and compared. In conclusion, Korean causative and Chinese causative grammar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Unified corresponding, non-unified corresponding, and non-project. In the third chapter, the questionnaire is represent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Korean and Chinese causative grammar. The questionnaire of this study includes Acceptability Judgement Task and Translation Task. There are 18 grammar judgment questions and 36 translation questions in it, which is used to investigate how Chinese learners acquire and produce Korean causative. The experimental subjects were 30 Korean native speakers, 30 intermediate learners and 30 advanced learners studying the Korean language" The fourth chapter describes the result of this experiment. Firstly, there are differences of understanding Korean causative between Korean native speakers, intermediate Chinese learners and advanced Chinese learners studying Korean language. Understanding and producing Korean causative of Chinese learners can’t reach the level as the native speakers and have some difference base on whether Korean and Chinese causative grammar is corresponding or not. Secondly, Chinese students are affected by their mother tongue, Chinese. It is much easier for Chinese learners to learn Korean causative when they study the essay that includes both Korean and Chinese causative sentence, In addition, the unified corresponding sent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is easier to learn than non-unified corresponding ones for Chinese learners. Thirdly,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intermediate Chinese learners of Korean and advanced Chinese learners of that, when using Korean causative grammar, which means the performance of advanced learners is better. Fourth, it is not the same between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of Korean causative. It means that the advanced learners who have the comprehension of Korean causative have a difficulty producing the Korean causative. Production of Korean causative is more difficult than comprehension of that for Chinese learners. Finally, in the fifth chapter,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explained.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mastering and producing Korean causative grammar for Chinese learners are different when they learned Korean causative grammar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Korean and Chinese causative grammar.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we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he causative grammar corresponding between Korean and foreign student native language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 This study used grammatical judgment questions and translation questions in the experimental. More research proposal should be discussed with more detailed observations of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of Korean causative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