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8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애란-
dc.contributor.author이정원-
dc.creator이정원-
dc.date.accessioned2018-04-04T11:58:36Z-
dc.date.available2018-04-04T11:58:36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270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2701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2179-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kind of inquiry learning students are suggested to engage by analyzing achievement standards of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inquiry topic & activity(example), and activity paper of teaching material according to 8 science practices and detailed achievement goals as criteria Focusing on the integrated science subject. First, achievement standards of education process contain science practice 6 ‘Constructing Explanations and Designing Solutions’ at the highest proportion of 40 percent and it is followed in the order of science practice 4 ‘Analyzing and Interpreting Data’, and science practice 3 ‘Planning and Carrying Out Investigations’. Science practice 2 ‘Developing and Using Models’ and science practice 5 ‘Using Mathematics and Computational Thinking’ were barely reflected. Science practice 1 ‘Asking Questions and Defining Problems’ was not reflected at all. Second, inquiry topic & activity (example) of education process contain science practice 7 ‘Engaging in Argument from Evidence’, science practice 8 ‘Obtaining, Evaluating, and Communicating Information’, science practice 3 ‘Planning and Carrying Out Investigations’, science practice 4 ‘Analyzing and Interpreting Data’, and science practice 6 ‘Constructing Explanations and Designing Solutions’ in the order. There was the difference of sequence between science practice included in achievement standards and science practice included in inquiry topic & activity (example). And in most of the key concept,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science practice included in achievement standards in most and science practice included in inquiry topic & activity (example). Third, activity paper of teaching material developed on the basis of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contain science practice 2 ‘Developing and Using Models’, science practice 3 ‘Planning and Carrying Out Investigations’, science practice 4 ‘Analyzing and Interpreting Data’, science practice 6 ‘Constructing Explanations and Designing Solutions’, science practice 7 ‘Engaging in Argument from Evidence’, and science practice 8 ‘Obtaining, Evaluating, and Communicating Information’ in the order. Fourth, although the extent of including science practice in each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education process, inquiry topic & activity (example), and activity paper of teaching material varied, detailed accomplishment goal of each science practice was found to be all biased for the identical factor. Concretely speaking, science practice 2 ‘Developing and Using Models’ is biased toward activity of using model for relationship among composition factors (2-3), science practice 3 ‘Planning and Carrying Out Investigations’ activity of executing examination for data production (3-2), science practice 4 ‘Analyzing and Interpreting Data’ activity of analyzing for the production of valid and credible evidence (4-1), science practice 5 ‘Using Mathematics and Computational Thinking’ activity of using mathematical expression (5-2), science practice 6 ‘Constructing Explanations and Designing Solutions’ activity of configuring explanation on the basis of student's autonomously acquired evidence (6-2), science practice 7 ‘Engaging in Argument from Evidence’ activity of discussing about configured claim and evidence and raising and accepting criticism (7-3), and science practice 8 ‘Obtaining, Evaluating, and Communicating Information’ activity of gaining through reading and assessing scientific information (8-3) and activity of communicating scientific information or thought (8-5). By contrast, science practice 1 ‘Asking Questions and Defining Problems’ is included only in activity paper of teaching material and is confined only in observing and questioning phenomenon (1-1) and type of raising the problem about the relationship with additional information (1-2).;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신설된 통합과학 과목의 성취기준과 탐구 주제 및 활동(예시) 그리고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교수∙학습 자료 활동지를 8가지 과학 실천과 각 실천의 세부 성취 목표를 기준으로 분석하여 학생들이 어떠한 탐구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시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는 과학 실천 6 ‘설명 구성하고 문제 방안 고안하기’가 전체의 약 40%로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었고 다음으로 과학 실천 4 ‘자료 분석하고 해석하기’, 과학 실천 3 ‘조사 계획하고 수행하기’ 순으로 반영되어 있었다. 과학 실천 7 ‘증거에 입각하여 논의하기’, 과학 실천 8 ‘정보를 얻고 평가하고 소통하기’는 상대적으로 부족하게 반영되어 있었고 과학 실천 2 ‘모형 개발하고 사용하기’, 과학 실천 5 ‘수학 및 전산적 사고 이용하기’는 매우 적게 반영되어 있었다. 과학 실천 1 ‘질문하고 문제 규정하기’는 전혀 반영되어 있지 않았다. 둘째,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탐구 주제 및 활동(예시)에는 과학 실천 7 ‘증거에 입각하여 논의하기’가 24%로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었고 과학 실천 8 ‘정보를 얻고 평가하고 소통하기’, 과학 실천 3 ‘조사 계획하고 수행하기’, 과학 실천 4 ‘자료 분석하고 해석하기’ 그리고 과학 실천 6 ‘설명 구성하고 문제 방안 고안하기’ 순으로 포함되어 있었다. 과학 실천 2 ‘모형 개발하고 사용하기’, 과학 실천 5 ‘수학 및 전산적 사고 이용하기’는 매우 적게 포함되어 있었고 과학 실천 1 ‘질문하고 문제 규정하기’는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탐구 주제 및 활동(예시)에 포함된 과학 실천은 대부분의 핵심 개념에서 성취기준보다 탐구 주제 및 활동(예시)에 더 다양한 과학 실천이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개발된 교수∙학습 자료의 활동지에는 8가지 과학 실천이 모두 포함되어 있었다. 과학 실천 3 ‘조사 계획하고 수행하기’가 21%로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었고 과학 실천 8 ‘정보를 얻고 평가하고 소통하기’, 과학 실천 2 ‘모형 개발하고 사용하기’, 과학 실천 4 ‘자료 분석하고 해석하기’, 과학 실천 6 ‘설명 구성하고 문제 방안 고안하기’, 과학 실천 7 ‘증거에 입각하여 논의하기’ 순으로 포함되어 있었다. 과학 실천 5 ‘수학 및 전산적 사고 이용하기’와 과학 실천 1 ‘질문하고 문제 규정하기’는 매우 적게 포함되어 있었다. 넷째,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탐구 주제 및 활동(예시) 그리고 교수∙학습 자료의 활동지 각각에는 많이 포함되는 과학 실천 순이 달랐으나 각 과학 실천의 세부 성취 목표는 대부분 같은 것에 편중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과학 실천 2 ‘모형 개발하고 사용하기’는 ‘구성 요소간의 관련성을 보여주기 위해 모형을 사용하기(2-3)’, 과학 실천 3 ‘조사 계획하고 수행하기’는 ‘데이터 수집을 위한 조사 계획하고 수행하기(3-2)’, 과학 실천 4 ‘자료 분석하고 해석하기’는 ‘도구, 기술 또는 수학 사용하여 분석하기(4-1)’, 과학 실천 5 ‘수학 및 전산적 사고 이용하기’는 ‘수학적 표현 사용하기(5-2)’와 ‘복잡한 문제에서 비율, 단위 전환 적용하기(5-5)’, 과학 실천 6 ‘설명 구성하고 문제 방안 고안하기’는 ‘학생이 얻은 증거에 기초하여 설명을 구성하기(6-2)’, 과학 실천 7 ‘증거에 입각하여 논의하기’는 ‘학생이 구성한 설명에 대해 논의하고 비판 제기하고 받아들이기(7-3)’, 과학 실천 8 ‘정보를 얻고 평가하고 소통하기’는 ‘여러 자원의 과학 정보를 얻고 읽고 평가하기(8-3)’와 ‘과학 정보나 생각을 의사소통하기(8-5)’의 세부 성취 목표에 편중되어 있었다. 과학 실천 1 ‘질문하고 규정하기’는 교수∙학습 자료의 활동지에만 극히 일부 포함되어 있었고 ‘관찰하여 질문하기(1-1)’와 ‘모형 또는 이론의 관계를 질문하기(1-2)’ 에 국한되어 있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6 A. 과학 실천 6 B. 과학 교육과정 11 Ⅲ. 연구방법 18 A. 연구 절차 18 B. 연구 대상 19 C. 분석 기준 20 D. 자료 분석 24 Ⅳ. 연구결과 30 A. 성취기준과 탐구 주제 및 활동(예시)에 포함된 과학 실천 수 30 B. 성취기준과 탐구 주제 및 활동(예시)에 포함된 세부 성취 목표 37 C. 교수학습 자료의 활동지에 포함된 과학 실천 수 44 D. 교수학습 자료의 활동지에 포함된 과학 실천의 세부 성취 목표 48 Ⅴ. 결론 및 제언 53 참고 문헌 57 ABSTRACT 6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9316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500-
dc.title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교수∙학습 자료에 포함된 8가지 과학 실천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통합과학’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f 8 Science Practices included in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Material of Teaching-Learning : Focusing on the Integrated Science Subject-
dc.format.pagev, 6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화학교육전공-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화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