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581 Download: 0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NGSS에 제시된 내용체계 및 성취기준 비교

Title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NGSS에 제시된 내용체계 및 성취기준 비교
Other Titles
Comparison of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NGSS content system and Achievement Standards : Focusing on Force and Motion
Authors
구재희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물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성원
Abstract
이 연구는 2015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힘과 운동 영역에 대한 내용이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학습내용이 어떻게 구성되었는지를 파악하고, 미국의 NGSS와 비교 분석하여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의 힘과 운동 관련 내용 조직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오랜 기간 동안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개발된 NGSS의 수행기대와 2015개정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이 어떻게 진술되고 있는지를 비교 분석하여 과학 교육과정 개선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에 첫째, 힘과 운동 영역을 중심으로 2015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NGSS의 내용체계와 내용요소를 비교분석하고,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선정된 단원과 내용요소를 바탕으로 연계성을 비교하였다. 둘째, 힘과 운동 영역을 중심으로 2015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NGSS의 수행기대를 진술방식을 분석하였다. 또한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를 이용하여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에서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첫째, 2015개정 교육과정의 핵심개념에 대한 의미와 역할이 모호하다. NGSS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과 핵심 아이디어의 성격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핵심개념보다는 일반화된 지식에 가깝다. 일반화된 지식은 핵심개념을 구체적으로 진술한 형태로 전학년에 걸쳐 동일하다. 그러나 NGSS는 학년이 높아질수록 교과 핵심 아이디어가 더 심도 있고 정교하게 제시되고 있다. 둘째, 2015개정 교육과정은 힘과 운동 영역의 내용체계에 있어 일부 연계성이 결여된 부분이 있으며, NGSS에 비해 학습해야 할 내용요소가 많다. 논리적으로 연결이 매끄럽지 못하거나, 선행학습에 비해 후속학습의 난이도가 많이 차이가 날 경우 연계성 결여 요인으로 지적하였다. 또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특정 단원과 연계됨을 간단히 단원명 정도만 제시하고 있으나, NGSS는 교육과정 말미에 교과 핵심 아이디어의 진전을 종합적으로 제시하여 연계성을 강조하고 있다. 셋째,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NGSS의 수행기대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진술되고 있다. 2015개정 교육과정의 경우 주로 내용중심으로 진술되고 있으며, NGSS는 대부분의 수행기대가 수행중심으로 진술되고 있었다. 또한 Bloom의 신교육목표체계와 진술방식을 연계한 분석 결과, 수행중심 진술의 경우 메타인지 지식과 창안하다 범주의 인지과정이 함께 진술하였고, 내용중심 진술의 경우 개념적 지식과 이해하다 범주의 인지과정이 주로 진술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후속과제를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핵심개념의 성격 규명과 엄선하기 위한 근거에 대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둘째, 성취기준의 진술 방식의 개선을 위한 교과 역량과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2015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개발된 교과서와 NGSS에 근거하여 개발된 교과서 분석 연구를 통해 교과내용의 연계성 및 성취기준에 대한 충분한 연구가 필요하다.;This study aims to determine how learning contents of force and motion areas in 2015 revision science education curriculum are structured centering around the key concepts, and to develop a implications for organizing the force and motion areas in the science education curriculum of Korea through comparing them with the Next-Generation Science Standards(NGSS) in the United State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erformance expectation of the NGSS curriculum developed through systematic studies for a long time and how the achievement standards were stated in the 2015 revision of the education curriculum was to get the direction of the improvement of the science education curriculum course. First of all, this study compared the contents of the 2015 revision of the science education curriculum and content components and content system of the NGSS based on the force and motion areas, and compared the correlation based on the units selected by the context of key concepts and content components. Second, this study analyzed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ion of the science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performance expectation of the NGSS centering around the force and motion areas. In addition, this study explored the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es using the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ccording to the study, first of all, the meaning and role of the key concepts of the 2015 revision of the education curriculum is ambiguous. The key ideas presented in NGSS are more generalized knowledge than the key concepts of the 2015 revision. The generalized knowledge is the same for all grades in the form of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ey concepts. However, as the academic year goes up, the disciplinary core ideas are presented in more in-depth and elaborate way. Second, the 2015 revision education curriculum lacks some connection in the content system of force and motion areas, and there are many content components to be learned compared to NGSS. Lack of correlation was pointed out if the connection was not smooth in logical way, or the difficulty level of subsequent learning varies a lot. In addition, the 2015 revision presented the connectivities by merely mentioning the name of the units, but NGSS highlights the link by comprehensively presenting the progress of the disciplinary core ideas at the end of the course. Third,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ion and the performance expectation of the NGSS are stated in different directions. The 2015 revision was stated focusing on delivering the contents, but in case of NGSS, the majority of the performance expectation was stated focusing on performance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Blooms revised educational objectives and instructional objectives, in case of the performance focused statements, meta-cognitive knowledge and devising category cognitive processes are stated at the same time. However, in case of contents focused statements, conceptional knowledge and understanding category cognitive processes are stated most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tasks were proposed as follows. First, a study needs to be conducted to identify the identity of the key concept and the rationale for selecting it carefully. Secondly, specific research on the functions and capabilities of the subject needs to be conducted to improve the instructional objectives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Third, plenty of research on the correlation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subject matter needs to be conducted through analyzing the textbook developed by the 2015 revision and by NG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물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