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7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수지-
dc.contributor.author김현지-
dc.creator김현지-
dc.date.accessioned2018-04-04T11:58:24Z-
dc.date.available2018-04-04T11:58:24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281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2814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209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악기연주 시 노래 부르기 과제의 유무가 피로도 및 운동 수행력에 미치는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뇌졸중 환자의 신체 재활 시 노래 부르기의 사용여부에 대한 치료적 논거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에 소재한 노인 복지관과 주간보호센터를 이용 중에 있는 12명의 만성 뇌졸중 환자이며,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에 각각 6명씩 무작위 배정하였다. 대상자 선정 기준은 발병 후 6개월 이상, 만 50세 이상 80세 이하, MMSE-K 20점 이상, Bobath 회복단계 중 3단계 또는 Brunnstrom의 운동회복 단계 중 4단계 이상이고 난청 자가진단을 통해 청력으로 인한 일상생활에 어려움이 없는 자이다. 연구 진행 시 실험 전 개별 면담을 통해 기본 정보와 선호곡을 파악한 후 실험 집단은 악기연주와 함께 노래 부르기를, 비교 집단은 악기연주 과제만을 2회기에 걸쳐 제시하였다. 실험 과제 제공 시 상지 기능은 전자 드럼을 사용한 타력값으로 측정하였고, 활동 참여도는 녹화된 비디오를 통해 분석하였으며, 피로도는 시각적 상사 척도를, 운동자각도는 Borg scale을 사용하여 대상자가 직접 표시할 수 있도록 제공하였다. 연구 결과, 악기연주 시 노래 부르기를 한 실험 집단이 악기연주만 실시한 비교 집단에 비해 피로도와 운동자각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악기연주와 노래 부르기를 복합 과제로 제시하였을 때 활동 참여도 역시 높게 나타남에 따라 향후 악기연주와 노래 부르기의 복합 과제를 사용한 음악치료 중재 시 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 시 노래 부르기 활동이 운동에 대한 피로감을 감소시키고 운동의 강도에 대해 느껴지는 자각도를 낮춤으로써 신체 운동에 대한 주의를 전환 시켜 지속적으로 기능적인 움직임을 유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신체 재활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운동 수행력을 높일 수 있는 복합적인 치료적 개입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시될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immediate differences in fatigue and motor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inging task in musical instruments of the chronic stroke patients and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the therapeutic intervention using singing in the rehabilitation. The subjects are 12 chronic stroke patients in old people's welfare hall and daycare center in Seoul. 6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The subjects on the selection criteria is MMSE-K score 20 or more, Bobath recovery stage 3 or Brunnstrom's motor recovery phase 4 or more, and no difficulty in everyday life from hearing-induced self-diagnosis. The subordinate variables in this study were upper limb function, activity participation degree, fatigue, and RPE. The experimental group were performed singing with musical instruments and the comparative group were performed only musical instruments. Before each experiment, each participant interviewed with basic information and preference songs, and conducted preliminary tests. All subjects were participated in two session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erformed singing while playing musical instruments and the group whose musculature was played only. Although singing with a musical instrument is a double task, activity participation is also high, indicating that singing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upper limb movement in stroke patients. This study by reducing fatigue for the singing during upper limb exercise in chronic stroke patients with active movement and lowering the awareness is felt subjectively even about the intensity of the workout by switching attention to the physical exercise to continue to induce a functional movements. It can be suggested as a basic data for complex therapeutic intervention which can improve the exercise performance by recognizing positively about rehabilitation for stroke patie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연구 문제 6 Ⅱ. 이론적 배경 7 A. 뇌졸중 7 1. 뇌졸중의 정의 7 2. 뇌졸중 환자의 기능 장애 8 B.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재활 9 1.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 9 2.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재활 시 운동 수행력 10 3. 만성 뇌졸중 환자의 참여 동기 11 4. 만성 뇌졸중 환자의 피로감 12 C. 재활에서의 음악치료 13 1. 악기연주 13 2. 악기연주와 노래 부르기 복합 과제 15 3. 뇌졸중 환자 대상 음악치료 선행연구 17 Ⅲ. 연구방법 20 A. 연구 대상 20 B. 연구 도구 21 1. 전자드럼 21 2. MIDI 프로그램 22 3. 전자 키보드 22 4. 메트로놈 22 C. 연구 설계 및 절차 23 1. 연구 기간 및 장소 23 2. 연구 설계 23 3. 실험 과제 23 4. 연구 절차 30 D. 자료 분석 방법 35 E. 윤리적 고려사항 36 Ⅳ. 결과 및 논의 38 A. 결과 38 1.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 특징 38 2. 대상자 동질성 검정 40 3. 노래 부르기의 유무에 따른 집단 간 차이 비교 40 B. 논의 44 Ⅴ. 결론 및 제언 48 A. 결론 48 B. 제언 49 참고문헌 51 부록 62 ABSTRACT 8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6226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615.85154-
dc.title전자 드럼 연주 시 노래 부르기 유무에 따른 만성 뇌졸중 환자의 피로도 및 운동 수행력 비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omparison of fatigue and motor performance of chronic stroke patients depending on the singing in upper rehabilitation with MIDI drum-
dc.format.pagevi, 8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