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3 Download: 0

중학교 전문상담교사의 직업정체성 형성 과정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Title
중학교 전문상담교사의 직업정체성 형성 과정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Other Titles
The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process of forming job identity of middle school counselor.
Authors
최임순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오인수
Abstract
This research was implemented to search the realistic structure and meaning of experiencing the process of forming job identity. It was performed through the phenomenological study of school counselor from Seoul public middle schools.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counseling at school by contributing to the formation of job identity of the main subject of the school counseling, the school counselor. Therefore, 8 of the school counselor, who are working at public middle schools for more than 5 years now, were interviewed. Through the interview,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phenomenological way of Colaizzi(1978). As a consequence, 5 categories, 12 main topics, and 28 sub-topics were drawn from the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chool counselor were exposed to various contextual situations which hinder the development of identities. In other words, they were suffering from the crisis and chaos of their identity in relation to the structure of schools. In these situations, the teachers were focusing on students although they were always having tension. At the same time, even though they were suffering through relational deprivation and unfair treatment as a teacher, they were fighting against to overcome the contextual situations which hinder their formation of job identity. However, the teachers were giving up their try on overcoming the structure of the school. The strengths that allowed their effort to last for a long time were the following; the considerate relationship with students, the change and growth of students, support and recognition of family and other teachers, and the vocation of the participants. Participants were recognizing themselves as a counselor, someone to rely on in difficult situations, a person who share daily life with the students, and a specialized counseling teacher who leads the school to a cooperative environment. In addition, they claimed that in order to form identity as the subject of school counseling, some factors are in need; expand of counseling, the effort to form a consultative group of specialized counseling teacher, adopting specialized counseling teacher at all of the schools, and structural support for preventing the lack of profession and exhaustion. This research has its meaning in various ways. It was the first try to find out the true identity of school counselor. Also, it provided the foundation of the study for the theory of forming identity by searching the process in individual, structural, and systematic way deeply. However,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were limited to only Seoul public middle schools. So, another study that searches for the other schools in other regions is needed. Additionally, for the cooperation with other specialized counselors, a following research looking for their hardship with adaptation and forming identity should be performed. Lastly, a study that tries to explore which student counsel is suitable considering the reality of education is in need.;이 연구는 서울 공립 중학교 전문상담교사들의 직업정체성 형성과정에 관한 현상학적 탐구를 통해 그 경험의 사실적 구조와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정체성은 사회적 관계 속에서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변화하며 구성되는 자기인식이므로, 전문상담교사로서의 직업정체성 형성 과제는 현재 전문상담교사들의 몫이다. 그러나 전문상담교사가 등장한지 10년이 지난 현재에도 전문상담교사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하여 시작단계에 불과하다. 전문상담교사의 정체성은 학생들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천 활동의 주요 준거이며, 전문상담교사로서 헤쳐 나가야 할 복합적인 문제 해결의 방향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므로 전문상담교사의 직업정체성 형성은 학교상담의 성패를 헤아려 짐작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다. 이에 전문상담교사의 직업정체성 형성 과정에 관한 경험 연구를 통해 학교상담의 핵심적인 주체인 전문상담교사의 직업정체성 형성을 도모함으로써 학교상담의 발달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기존에 연구되지 않은 전문상담교사의 직업정체성에 관한 주제를 탐색하기 위해서는 양적 연구방법으로는 표현될 수 없는 살아있는 심층적 정보를 수집하고 탐구함으로써 복잡한 현상에 대한 풍부한 묘사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연구방법이 필요하였다. 특히 연구 참여자의 개인적 속성보다 공통적인 속성을 찾는 방법이면서도 직업정체성 형성 과정을 하나의 경험적 사실로 간주하고 그 사실적 구조를 밝히기 위한 연구 방법이 필요하였다. 그러므로 경험의 사실적 구조와 의미를 탐구하기 위한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채택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현재 서울 공립 중학교에 5년 이상 근무하고 있는 전문상담교사 8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Colaizzi(1978)의 연구방법에 따라 심층 면담을 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런 과정은 대학원 박사과정생 2명과 지도교수의 지속적인 토론과 지도를 받으면서 진행하였다. 분석으로 5개의 범주, 12개의 대주제, 28개의 소주제를 도출함으로써 전문상담교사의 직업정체성 형성 과정에 대한 사실적 구조를 파악하였다. 전문상담교사들은 직업정체성 형성을 저해하는 다차원적인 맥락적 상황에 놓여있었다. 먼저 개인적으로 참여자들은 일반상담과 차별화된 학교상담의 전문성 부족을 경험하고 있었다. 즉 반응적 서비스와 예방적 서비스 사이에서의 갈등, 필요하지만 자신 없는 학교상담 개입방법, 특별한 관심이 필요한 학생에 대한 이해 부족과 소통의 어려움으로 전문성 부족을 경험하고 있었다. 학교 조직적 차원에서 참여자들은 극적인 행동변화를 요구하는 교사들의 비현실적인 기대, 변화무쌍한 중학생들의 발달적 특성, 상담보다 업무가 먼저인 학교 업무 배분으로 인해, 제도적으로는 자격지심과 전문성 부족을 느끼게 하는 전문상담교사 양성제도, 존재감과 위상 정립을 저해하는 비체계적인 상담인력 임용방법, 권고사항일 뿐인 업무지침으로 인해 전문상담교사로서의 정체성 혼란을 겪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문상담교사들은 늘 긴장감을 가지고 학생들에게 전념하는 학교생활, 교사로서 부당한 대우와 상대적 박탈감을 감내하는 학교생활 속에서도 직업정체성 형성을 저해하는 맥락적 요인들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참여자들의 직업정체성 혼란과 위기를 극복하려는 노력 과정은 전문상담교사로서의 직업정체성을 구성해 가는 과정이었다. 이들은 먼저 개인적인 차원에서 스스로 상담의 전문적 지식과 기법 습득, 인간적 자질 향상을 통해 전문성을 향상시키는 노력을 기울였다. 학교 조직적 차원에서는 참여자들은 각개격파 투쟁으로 상담영역 지키기, 교사들의 상담에 대한 바꾸기와 교사들과의 관계형성을 위한 헌신적인 노력을 통해 교사들과의 협력 기반 만들기, 학생과의 생활 속에서 전문상담교사로서의 역할을 찾기 위해 고군분투하였다. 그러나 참여자들은 제도적 차원에서의 극복 노력을 포기하거나 체념하고 있었지만 확고한 직업정체성 형성을 위한 제도적 개선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참여자들의 이런 지치고 힘든 실천 노력들을 지속할 수 있게 하는 힘은 학생들과의 배려관계 형성과 학생들의 변화와 성장, 가족과 교사들의 지지와 인정 그리고 참여자들의 소명의식이었다. 이러한 요인들로 참여자들은 감동과 보람, 행복을 느끼면서 전문상담교사로서의 존재의 이유를 발견하였다. 즉 이러한 요인들은 참여자들의 직업정체성 형성을 촉진하는 중요한 힘이었다. 참여자들은 직업정체성 혼란과 위기를 극복하는 이러한 실천과정을 통해 전문상담교사로서의 직업정체성을 구성해가고 있었다. 그리하여 현재 전문상담교사들은 자신들을 상담자이자 교육자로서, 함께 버텨주는 버팀목으로서의 전문상담교사, 그리고 학생들과 일상을 같이하는 전문상담교사, 학교 협력문화를 만들어가는 전문상담교사로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참여자들은 학교상담의 확고한 주체로서 직업정체성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담영역의 확장과 전문상담교사의 협의체 구성을 위한 노력 그리고 모든 학교에 전문상담교사 배치, 전문성과 소진 예방을 위한 체제지원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 연구는 전문상담교사의 직업정체성 실체를 처음으로 밝히려 했다는 점, 전문상담교사의 직업정체성 발달 체험을 개인적, 학교 조직적, 제도적 차원에서 종합적이고 심층적으로 탐색하였으므로 이후 전문상담교사로서의 정체성 형성 과정에 대한 이론을 구축하는데 기초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서울, 공립 중학교 전문상담교사로 연구 참여자를 제한하였으므로 전문상담교사의 직업정체성을 보다 종합적이고 심층적으로 연구하기 위해서는 후속 연구로 지역과 학교 급별 전문상담교사의 직업정체성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학교 내의 다른 상담전문 인력들의 적응과 직업정체성 형성의 어려움을 살펴보는 후속연구를 통해 상담인력 간의 협력을 통한 학교상담의 발달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전문상담교사제도가 시행된 지 10여년이 지난 시점에서, 우리 사회와 교육현실에 맞는 학교상담은 무엇인지를 탐색하려는 연구가 필요하다. 지금까지 진행되어온 학교상담에 대한 연구들을 기반삼아, 우리 실정에 맞는 토착적인 학교상담을 모색하려는 전문상담교사, 상담학계와 교육학계의 공동 연구가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