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75 Download: 0

보완대체의사소통(AAC) 활용 교사 연수 프로그램이 지체장애 특수학교 교사의 AAC 지식 및 활용 능력과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itle
보완대체의사소통(AAC) 활용 교사 연수 프로그램이 지체장애 특수학교 교사의 AAC 지식 및 활용 능력과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s of Teacher In-service Education Using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on The Teaching Efficacy, Knowledge and Utilization Ability for The AAC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uthors
이재신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은혜
Abstract
학교는 사회의 축소판이라는 말이 의미하듯 많은 사람들과 관계를 맺으며 배움이 일어나는 공간이다. 학교의 주요 구성원인 교사와 학생은 서로 의사소통을 하며 사회적 관계를 이루어 간다. 특히 교육활동에서 의사소통은 정보와 메시지를 주고받음으로써 교사와 학생 상호 간에 공통된 이해를 이루고, 서로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교사에게는 학생의 행동이나 지식 등의 계획적인 변화를 일으키는데 중요하다. 즉, 교사와 학생 간에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지는지의 여부가 교육적 성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학령기 장애학생 중 특수학교에 재학하는 지체장애학생의 장애 정도가 중도․중복화 되고 있는 실정에서 비구어 지체장애학생의 비중도 높아짐에 따라 교육활동에서 의사소통의 어려움도 증대되고 있다. 구어로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에 보완대체의사소통(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이하 AAC)을 사용하여 생각이나 의견, 요구, 감정 등을 표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AAC가 필요한 학생에게 AAC를 가르치는 교사가 기기 관련 지식과 활용 및 지도에 자신감이 없으며, 학교 및 교육청의 지원도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비구어 장애학생을 가르치는 교사를 위한 AAC 사용 사례나 전략에 대한 교사 연수 및 정보 제공을 통한 교사 전문성 향상이 시급하다. 2016년에 8월에 국립특수교육원은 ‘장애학생 의사소통(보완대체)지도 역량 강화 과정’30시간의 직무연수를 실시하였다. 그러나 전국의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참여를 원하는 다수의 교사들을 모두 수용하는데 제한적이었으므로 특수교사가 근무하는 학교와 학급의 장애학생의 특성에 알맞은 의사소통 방안을 적용하기 위한 학교별 AAC 연수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시의 공립 지체장애 특수학교의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AAC 활용에 대한 연수를 시행하여, 교사의 AAC에 대한 지식 및 활용 능력과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공립 지체장애 특수학교에 근무 중인 11명의 특수교사에게 8월부터 10월까지 8회기의 연수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AAC 교사 연수 프로그램’은 크게 AAC에 대한 기초지식과 실제 활용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AAC에 대한 기초지식에서는 특수교육에서 보완‧대체의사소통 교육의 필요성, 의사소통 발달 순서에 대한 지식과 비상징적 의사소통 방법, AAC 활용을 위한 진단평가, AAC 상징과 기기의 종류 및 활용 방법, 중재전략을 통하여 실제 상황에서 AAC 활용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하였다. 활용 단계에서는 교과수업과 학교생활 전반에서 AAC를 활용할 수 있도록 참여 교사가 가르치는 학급의 학생을 대상으로 활용한 내용을 토의하며 상호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one-group pretest-posttest control design) 설계를 사용하였다. 종속변인인 특수교사의 AAC 관련 지식과 활용 능력 및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지를 제작하여 연수가 시작되기 전과 후에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를 통하여 수집된 사전-사후 검사 결과는 SPSS statistics 24를 이용하여 사전-사후 변화에 대한 종속표본 𝑡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AC 활용 연수를 실시한 결과 특수교사의 AAC에 관한 지식과 활용 능력이 증가하였다. 이는 연구 참여 교사들이 모두 지체장애 특수학교에서 AAC가 필요한 중도‧중복 비구어 지체장애학생들을 가르치고 있었으므로 연수 내용을 바로 교육에 활용하였으므로 지식과 더불어 활용 능력도 증가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둘째, AAC 활용 연수를 시행한 결과 특수교사의 교사효능감도 증가하였다. 공립 지체장애 특수학교의 특성상 경력이 많은 교사라도 중도중복 비구어 지체장애학생을 가르치는 데 겪는 어려움이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전문 지식이 요구되지만, AAC 활용 연수를 통하여 의사소통 전문적 역량이 증가하였을 때 교사로서 효능감이 높아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AAC 활용 교사 연수가 AAC에 대한 지식 및 활용 능력을 향상시키고, 교사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AAC가 필요한 중도‧중복 비구어 장애학생을 가르치는 교사에게 AAC에 대한 연수를 제공하여 지식과 활용능력을 높이고 수업과 학교생활에서 교사와 학생의 의사소통이 향상됨에 따라 교사효능감도 높아질 수 있도록 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The school like the miniature of human society is the space where the learning is taken place and relations among various people are happened. The major constituents of the school, teacher and students, have built social relations through their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in educational activities has made common understanding between the teacher and each students that affects their behavior. Especially for the teacher, it is important to create planned changes on the behavior or knowledge of the students. Hence, it is close relationship with educational achievement that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teacher and the students has been well accomplished. Among the handicapped students, since the disability level of the students who are enrolled in special-education school is comparatively severe, the difficulty in communication steeply grows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the students having a difficulty in oral communication. In that case, it is possible to represent thinking, expression, demand and feeling using the Augmentative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However, there is lack of confident in guidance of the teachers, knowledge and utilization of the devices by them. Also there is shortage in assistance from the school and the office of education. Therefore, it is urgent to enhance the expertise of the teachers who have taught the students having difficulty in oral communication by means of providing the example or strategies for using AAC through the training course for them, if possible. In August 2016, the 30 hours education training course which was called “the course for strengthening guidance capability for severe disability students” had been taking place at the Korea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 But, there was limited capacity in accommodating the teachers who want to participate, since the target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national wide. It was necessary to provide AAC training curriculum for each school where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 in order to apply plausible communication methods that were well suited to the specific school and the characteristic of each class in it. Therefore, in this thesis, it had been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training for the utilization of AAC for the teachers at public special-education school in Seoul on the knowledge and utilization ability for the AAC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the efficacy of the teachers. In order to accomplish it, there had been 8 training courses for the 11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ve worked in public special-education school in Seoul area. The AAC training programs for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is thesis were composed of two parts that were the basic knowledge and practical utilization for the AAC. In the basic knowledge about AAC, the ability of AAC utilization was acquired to the teachers through the necessity of education for the augmentative alternative communication, the knowledge about the development sequence of communication, the level testing evaluation, the symbol of AAC, the type of devices with utilization methods and interventional strategy. In the practical utilization process, the feedback about the content used in classroom teaching by the participating teachers in this project was provided for using AAC throughout the everyday classroom life. In this thesis, one-group pretest-posttest control design for the same group had been used. In order to find out the AAC related knowledge and the utilization ability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were the dependent variable, the before and after examination had been performed using the prepared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e examination both before and after were processed by the dependent sample t, testing hypothesis using SPSS statistics 24.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the followings: First, the knowledge and utilization ability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d been increased as the result of AAC related training. Since every participating teachers had taught the special students who need AAC because of moderate overlapped non-verbal disorder at the special school, the content of the training in this study could be directly applied to the field education. Thus it had caused the result that enhanced knowledge and utilization ability. Secondly, as the result of AAC utilization training for teachers, the efficacy of the teachers had been increased. Although the teachers who had much experience at public special schools, they had felt difficulty in teaching the moderate overlapped non-verbal disorder students that required expertise in various areas. When the communication expertise had been increased through the AAC utilization related training,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icacy of the teachers was highly achieved. In this study, as the result of AAC utilization training for teachers, the knowledge about the AAC and utilization ability had been increased. And it had brought positive effect on the efficacy of the teachers, since the training about the AAC had been provided to the teachers who had taught the moderate overlapped non-verbal disorder students. Thus,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ce of improving the efficacy of the teachers through enhancing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teachers and students by means of the knowledge and utilization of the AAC.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