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5 Download: 0

비디오 모델링 과제분석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수학적 개념을 포함한 포장기술에 미치는 영향

Title
비디오 모델링 과제분석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수학적 개념을 포함한 포장기술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video modeling task analysis on the packaging skills included mathematical concepts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uthors
한은실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소현
Abstract
지적장애 학생들이 학교를 졸업하고 사회로 나아가 사회의 구성원으로 역할을 수행하고 지역사회에 참여하며 독립적으로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직업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직업은 우리의 삶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고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영역이기 때문에 지적장애 학생들에게 직업교육을 제공하는 것은 이들을 위한 교육현장에서의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직업교육은 구체적인 특정 직무기술뿐 만이 아니라 기초적인 글 읽기 및 쓰기, 수 관련 영역, 대인관계기술, 의사소통기술 등과 같이 여러 기술들과 관련되어 있다. 그러나 지적장애 학생들은 제한된 인지기능으로 인하여 특히 수학적인 부분을 이해하고 적용하는 데에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고 오류를 범하기 쉽다. 이러한 점에서 지적장애 학생들의 효과적인 직업교육을 위해서는 수학적 개념을 포함하는 특정 직무기술과 함께 수세기, 측정하기, 분류하기 등과 같은 수학적인 개념도 다루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수학적 개념을 포함한 포장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비디오 모델링 과제분석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중재로 적용된 비디오 모델링 과제분석은 세 명의 지적장애 고등학생들이 수학적 개념을 포함한 포장기술을 습득하기 위하여 과제분석을 통해 단계별로 나눈 내용을 비디오 모델링으로 제시하는 중재 방안이다. 본 연구는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 고등학생 세 명을 대상으로 진로와 직업 교과 시간에 학교 내의 직업생활실에서 진행되었으며, 실험은 2016년 8월 29일부터 2016년 12월 23일까지 17주간 진행되었다. 실험 실시 전에 먼저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진로와 직업 교과 내용에 맞는 내용을 선정하고, 교수적 수정을 통해 수학적 개념을 포함한 포장기술을 목표기술로 선정하였다. 수학적 개념을 포함한 포장기술에 대한 과제분석을 실시하여 총 12단계로 나누어 동영상 자료를 제작하였다. 동영상 자료 제작 시, 수학적 개념을 시청각적으로 강조하고 자막을 넣어 편집하였다. 그리고 연구 참여자들이 기초선, 중재, 유지 단계에서 참고할 과제분석지를 만들어 제공하였다. 실험설계는 대상자 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를 사용하였으며, 중재는 과제소개 및 목표설정, 비디오 모델링 과제분석 단계별 제시, 과제수행, 교사의 피드백 제공 순으로 실시되었다. 관찰은 기초선-중재-유지의 단계로 모두 동일한 조건에서 실시하였으며, 유지 검사는 중재가 종료되고 3~7주가 지난 후에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 명의 지적장애 고등학생들에게 비디오 모델링 과제분석을 적용하였을 때 수학적 개념을 포함한 포장기술의 독립적인 수행률이 향상되었고 향상된 독립적인 수행률은 중재가 종료된 이후에도 유지되었다. 둘째, 세 명의 지적장애 고등학생들에게 비디오 모델링 과제분석을 적용하였을 때 수학적 개념을 포함한 포장기술의 정확도가 향상되었고 향상된 정확도는 중재가 종료된 이후에도 유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비디오 모델링 과제분석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에 대한 수학적 개념을 포함한 포장기술의 독립적인 수행률 및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었으며, 이러한 향상은 중재가 종료된 이후에도 유지되었음을 증명하였으므로 의미가 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비디오 모델링 과제분석이 지닌 장점을 토대로 긍정적인 성과를 입증할 수 있었고, 다양한 직무기술 중 포장기술에 수학적 개념을 포함하여 실질적인 직무기술을 다루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뿐만 아니라, 지적장애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자연스러운 환경인 학교 내에서 비디오 모델링 과제분석을 적용함으로써 효과적인 교수전략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한 점과 나아가 지적장애 학생이 사회에서 한 구성원으로 직업을 갖고 생활할 수 있도록 시기에 적절한 직업교육의 활성화와 중요성을 강조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video modeling task analysis on the packaging skills included mathematical concepts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one an 18-year-old and two a 17-year-old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the vocation living room at the school for a total of 17 weeks. This study used a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to determine if a video modeling task analysis would improve the packaging skills included mathematical concepts. The experimental conditions included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Before doing the experiment, the researcher selected the tasks based on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hrough instructional adaption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dvices. The tasks consisted of packaging skills included mathematical concepts such as counting, classification, measurement, sequence・location・direction with 12 steps. During the baseline, three participants received only task analysis sheet without any intervention or prompts. After the baseline was stabilized, intervention was introduced. During the intervention period, the participants performed the tasks after watching each step of the video modeling task analysis video produced by the researcher. Intervention was terminated when both the independent performance and the accuracy were more than three times 100%. To examine whether the intervention effect was maintained, the maintenance data were collected 3~7weeks later after the end of the interven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ting three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able to improve the independent performance through video modeling task analysis and to maintain the improved level of independent performance even after the intervention was completed. Second, the participating three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able to improve the accuracy through video modeling task analysis and to maintain the improved level of accuracy even after the intervention was complet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video modeling task analysis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packaging skills included mathematical concepts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addition, through this study the video modeling task analysis suggested high possibility a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inally, this study emphasized the need for practical and systematic vocation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further research related to vocational education should be continued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