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3 Download: 0

중학교 통합학급에서의 전환지원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진로성숙도와 진학스트레스 및 경도 지적장애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itle
중학교 통합학급에서의 전환지원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진로성숙도와 진학스트레스 및 경도 지적장애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the Transition Support Program in an Inclusive Middle Class on Career Maturity and High School Entrance related Stress of Students and Self-Efficacy of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Authors
조가희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숙향
Abstract
최근 학교현장에서는 많은 장애학생들이 통합환경에서 비장애학생들과 함께 학교생활을 하고 있으며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장애학생들 대다수가 다시 통합 환경의 상급학교에 진학하고 있다. 상급학교로의 진학은 비장애학생들에게도 많은 어려움을 경험하게 하는데 장애학생들은 장애라는 특수성이 주는 어려움이 더해져서 더 힘든 전환을 경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의 전환은 다른 학교급간 전환에 비해 유사한 체계로의 변화라는 인식 때문에 관심의 대상에서 많이 제외되었다. 그러나 다른 학교급간 전환 못지않게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의 전환도 많은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들이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적절한 전환지원프로그램을 제공해주는 것이 교육적으로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들이 함께 교육받는 중학교 통합환경에서 고등학교로의 성공적인 전환을 지원하기 위한 전환지원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시기적으로 매우 필요한 중학교 3학년 통합학급 학생들에게 실시함으로써 전환지원프로그램이 통합학급 학생들의 진로성숙도와 진학스트레스 및 장애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에 위치한 N중학교의 경도 지적장애학생이 소속된 3학년 두 학급으로, 실험집단 31명(비장애학생 30명, 장애학생 1명)과 통제집단 30명(비장애학생 29명, 장애학생 1명)으로 구성되었다. 중학교 통합학급에서의 전환지원프로그램 적용을 위해 실험집단 통합학급 학생들을 대상으로 해당 중학교 특수교사인 연구자가 실험집단의 학급에서 3학년 2학기 창의적 체험활동 수업 시간에 12회기에 걸쳐 전환지원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전환지원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필요에 따라 장애학생에게는 별도의 시간에 개별적인 지원이 제공되었다. 통제집단 학생들은 정규교육과정에 따라 창의적 체험활동 담당교사가 수업을 진행하였다. 중재를 마친 후, 전환지원프로그램이 통합학급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비장애학생들의 진로성숙도와 진학스트레스 사전·사후검사 점수의 변화를 두 독립표본 t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장애학생은 진로성숙도와 진학스트레스 및 자기효능감 사전·사후 검사 점수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통합학급에서의 전환지원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비장애학생들은 통제집단의 비장애학생들에 비해 진로성숙도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으며 이러한 변화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고, 4개의 하위영역(계획성, 독립성, 자기이해, 진로탐색 및 준비행동)에서 유의한 수준의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냈다. 실험집단의 장애학생도 통제집단의 장애학생에 비해 진로성숙도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으며 7개의 하위영역(계획성, 직업에 대한 태도, 독립성, 자기이해, 합리적 의사결정, 희망직업에 대한 지식, 진로탐색 및 준비행동)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냈다. 둘째, 중학교 통합학급에서의 전환지원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비장애학생들은 통제집단의 비장애학생들에 비해 진학스트레스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으며 이러한 변화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고, 2개의 하위영역(진학 불안감, 진로 불확실성)에서 유의한 수준의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냈다. 실험집단의 장애학생도 통제집단의 장애학생에 비해 진학스트레스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으며 2개의 하위영역(진학 불안감, 진로 불확실성)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냈다. 셋째, 중학교 통합학급에서의 전환지원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장애학생은 통제집단의 장애학생에 비해 자기효능감에서 더 많은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으며 특히 일반적 자기효능감 하위영역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중학교 통합학급에서의 전환지원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진로성숙도와 진학스트레스 및 경도 지적장애학생의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그동안 소홀하게 다뤄진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의 학교급간 전환을 위해 통합학급의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 모두에게 성공적인 전환을 준비하기 위한 유용한 방법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transition support program, which was designed for inclusive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ir career maturity and high school entrance related stress, and self-efficacy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th-grade students of N middle school located in Seoul. The inclusive Class with 31 students(1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30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was assigned to be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inclusive class with 30 students(1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29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was assigned to be the control group. Several dependent variables were measured for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before intervention using career maturity test and stress test related to high school entrance. In addition, self-efficacy test was conducted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For the intervention, transition support program in an Inclusive Middle Class was appli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e program was implemented a total of 12 sessions during fall semester of 2016. A special education teacher as a researcher implemented the program for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a general education teacher implemented regular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for the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After the intervention, post-tests were conducted using same measures used for the pre-te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transition support program, showed positive changes in career maturity compared with those in the control group, and thi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a student with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positive changes in career maturity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group. Second,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transition support program, showed positive changes in high school entrance related stress compared with those in the control group, and thi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a student with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positive changes in high school entrance related stress compared with that in the control group. Third, a student with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transition support program, showed positive changes in self-efficacy compared with that in the control group.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transition support program in an Inclusive Middle Class was effective in enhancing career maturity and reducing high school entrance related stress of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n addition, this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self-efficacy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