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훈-
dc.contributor.author이진아-
dc.creator이진아-
dc.date.accessioned2018-04-04T11:58:06Z-
dc.date.available2018-04-04T11:58:06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255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2559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195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유행 중인 도심 ‘골목길 투어’가 등장하게 된 배경과 그 의미를 살펴보는 것에 있다. 특히 2016년 4월에 운영되기 시작한 서울시 중구의 골목길 투어‘을지유람’사례를 통해 낙후된 도심의 골목이 새로운 관심의 대상이 되는데 기여하는 여러 주체들의 이야기를 소개함으로써, 골목길 투어를 둘러싼 주체들의 의도와 인식이 어떠한지를 확인하고, 이것을 어떻게 해석할 수 있을 것인지 생각해 보았다. 사례지인 을지로는 고층 건물이 즐비한 서울 중심지에 각종 기계, 공구, 건설자재 상가와 소규모 제조공장이 밀집되어 있는 독특한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나, 30년 넘게 물리적인 개선 없이 낙후된 지역으로 유지되어 왔다. 하지만 최근 도시재생 기획의 한 부분으로 해설사와 함께 과거 산업화시대의 흔적을 둘러보는 ‘을지유람’이라는 이름의 골목길 투어가 시작되면서 을지로는 새로운 인기를 끌고 있다. ‘을지유람’ 이외에도 지역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골목길 투어는 각 지자체에 의해 전국적인 범위에서 운영 중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단순한 유행으로서가 아니라 좀 더 자세히 골목길 투어의 현상을 알아보았다. 도시에 대한 새로운 일반인의 인식변화와 지역의 담론을 구축하기 위한 정책의 기획이 맞닿는 지점에서 골목길 투어의 문화가 나타나고 있다는 가정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II장에서 골목길 투어가 등장하게 된 배경을 문화적 도시재생, 도시의 경제적 가치, 그리고 도시를 탐방하는 문화의 유행으로 정리하였다. III장에서는 ‘을지유람’을 분석하기에 앞서 을지로의 역사적 변천과정과 이 지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최근의 도시재생 기획을 기술하였다. IV장에서는 ‘을지유람’과 관련된 기획자로서의 중구청의 의도, 해설을 통한 스토리텔링 방식, 언론 보도의 홍보 중점 내용, 그리고 ‘을지유람’에 참여한 일반인들의 블로그에서 재현되고 있는 ‘을지유람’과 도시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V장에서는 II장의 배경과 IV장의 분석을 기초로 골목길 투어가 가지는 의미를 고찰하였다. 일반인들의 인식의 토대는 지역발전을 위해 지역의 정체성을 구축하고 있는 정책의 기획에서 바탕이 되었지만, 일반인들의 도시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등장하였다는 사실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골목길 투어를 통해 일반인들은 도시의 의미를 읽는 활동을 하고 있고, 도시를 일상생활의 공간이 아닌 여가공간으로 향유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문화는 도시의 다층성을 인식하고 비판적 시각을 보이는 도시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의 단초가 등장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background and meaning of the urban Alley Tourism which has got the popularity these days. Especially, through the case of ‘Eulji-Yuram’, one of the alley tour program run by Jung-gu, Seoul, since April in 2016, this study could identify the intention and perception of the concerned, and consider how to interpret them in presenting the narratives of the main agents who contribute to attracting the new attention to the old run-down district. In the case area, Eulji-ro has formed the unique place where the shops and small factories of various machine, tool, and construction material are concentrated densely, but has remained as deprived area without any physical improvement over 30 years. Recently, Eulji-ro became a tourist attraction with launching the alley tour program, ‘Eulji-Yuram’, in the part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in which people meander around the trace of industrial age accompanied by a tour guide. Other than ‘Eulji-Yuram’, many alley tour services are being provided in order to revitalize a region by local governments all over the country. In this context, this study intended to explore more closely the phenomenon of alley tourism, not merely as a kind of trends. It started the assumption that the alley tourism would emerge at the point where both elements meet: the change of public attitudes regarding the city and the plan of government to establish the discourse of the city. In turn, this study consisted of the following; In chapter II, it discovered the background of alley tourism, as the cultural urban regeneration, the economic value of the city and the popularity of urban exploration. In chapter III, it described the historical change of Eulji-ro and the planning of the recent urban regeneration in this area. Chapter IV analyzed the intention of Jung-gu as the planner, the ways of storytelling in the commentary, the emphasis of media campaign, and the perception of ‘Eulji-Yuram’and the city represented on the individual blogs. In chapter V, on the basis of the background in chapter II and the analysis in chapter IV, it considered the meaning of alley tourism. The foundation of public perception derived from the planning of the policy to establish the local identity for regional development, while the fact was confirmed that the new public attitudes toward the city appeared. Through the alley tour, people are reading and enjoying the city not as the everyday space but as the recreational space. Also, this kind of culture can be interpreted as the emergence of humanistic reflexivity and the insights into multiple properties about the c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배경 1 B. 연구목적 및 대상 2 C. 연구방법 및 구성 4 D. 선행연구 9 II. 골목길 투어의 등장 배경 15 A. 정책적 배경 문화적 도시재생 15 B. 경제적 배경 새로운 상품으로서의 도시와 도시관광 19 C. 사회적 배경 새로운 유행으로서의 도시 21 III. 을지로의 역사개략과 대상지 일대의 도시재생 24 A. 을지로의 역사 24 1. 조선시대, 일제 강점기 24 2. 1945년 ~ 1960년대 후반 25 3. 1968년 ~ 1970년대 후반 26 4. 1979년 ~ 2000년대 초반 30 5. 2006년 ~ 현재 32 B. 을지로동 일대의 도시 재생 기획 35 IV. 을지유람과 관련된 의도와 인식 37 A. 을지유람의 기획자 중구청 37 1. 정책의 의도 1: 을지로의 도시 재생과 을지유람 37 2. 정책의 의도 2: 예술과 산업의 협업과 미래가치 39 3. 정책의 의도 3: 마지막 전시관으로서의 을지유람 41 B. 을지유람의 해설 44 1. 해설의 스토리텔링 1: 을지로에 원래 있던 이야기 45 2. 해설의 스토리텔링 2: 맛집 50 3. 해설의 스토리텔링 3: 을지로의 새로운 이야기 51 C. 을지유람과 관련된 언론보도 54 1. 언론의 홍보 1: 과거의 흔적과 오늘날의 변화가 공존하는 장소 56 2. 언론의 홍보 2: 근대화의 역사를 이끈 산업역군의 집적지 57 3. 언론의 홍보 3: 주변산업과 예술가가 함께 을지로 지역 재생 59 4. 언론의 홍보 4: 산업 종사자들이 이용했던 맛있고 값싼 오래된 맛집 60 D. 을지유람 방문객의 인식 61 1. 방문객의 인식 1: 지적 차원 지적 도시 탐방 62 2. 방문객의 인식 2: 감성적 차원 - 노스탤지어 65 3. 방문객의 인식 3: 감각적 차원 - 체험하고 경험하는 공간 68 4. 방문객의 인식 4: 사회적 성찰 - 사는 곳에 대한 성찰 71 V. 골목길 투어의 의미 74 A. 가장 강력한 담론 형성자로서의 정책 74 B. 장소성의 발견과 변화 75 C. 일반인들의 도시에 대한 인식 변화 77 1. 텍스트로서의 도시 읽기 77 2. 일상공간과 일탈공간의 공존 혹은 분리 78 3. 자본주의 고도화의 양면 78 4. 현대적 도시 감각의 일반화 대중화 80 VI. 결론 82 참고문헌 84 ABSTRACT 9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2697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골목길 투어’의 배경과 의미-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을지유람’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Background and Meaning of Alley Tourism : Focus on ‘Eulji-Yuram’-
dc.format.pagevi, 9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국제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