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0 Download: 0

캄보디아인 한국어 학습자의 조건관계 연결어미 습득 연구

Title
캄보디아인 한국어 학습자의 조건관계 연결어미 습득 연구
Other Titles
Cambodian L2 Acquisition of Korean Conditional Connective Ending ‘­(eu)myeon’ and ‘­keodeun’
Authors
Sin, Kannika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선희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Cambodian learners' acquisition of Korean conditional connective ending ‘­(eu)myeon’ and ‘­keodeun’ in different syntactic contexts. Chapter I state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The research question is clarified after reviewing prior researches on usage of Korean conditional connective endings in sytactic, semantic and discourse level and on L2 learners' acquisition of them. The research quest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if the Cambodian learners' use of ‘­(eu)myeon’ and ‘­keodeun’ is differentiated depending on proficiency of Korean language. Chapter Ⅱ provides theoretical background. First section of this chapter reviews linguistic contexts where ‘­(eu)myeon’ and ‘­keodeun’ can appear in syntactic level; it examines constraints on types of subject, tense, sentence types, negative statement. Second section compares Korean conditional connective endings with Cambodian conditional connective endings. Chapter Ⅲ sets out the research methodology.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25 native speakers of Korean(NKs) and 50 Cambodian learners of Korean (CKs), and CK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proficiency: high CKs and low CKs. The task of the study was grammaticality judgement test;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judge whether each sentence which contains ‘­(eu)myeon’ and ‘­keodeun’ is grammatical or not. ANOVA on the scores of ‘­(eu)myeon’ and ‘­keodeun’ has been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there exist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ree groups in different syntactic contexts. Chapter Ⅳ describes the test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in most of syntactic contex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cores of ‘­(eu)myeon’ and ‘­keodeun’ in three groups. The scores of high CKs in ‘­(eu)myeon’ approximates to those of NKs in most syntactic contexts (excluding promissory sentence and declarative sentence) while the scores of high CKs in ‘­keodeun’ in most syntactic contexts does not. It can be concluded that even advanced Cambodian Learners of Korean have difficulty in using ‘­keodeun’. Chapter Ⅴ summarizes the results of the study and its implication for Cambodian L2 learners of Korea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investigated Cambodian L2 learners' use of Korean conditional connective ending ‘­(eu)myeon’ and ‘­keodeun’ in different syntactic contexts. The syntactic contexts in which ‘­(eu)myeon’ and ‘­keodeun’ can appear are not explicitly instructed in Korean education.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it is necessary to instruct the various syntactic contexts which can contain ‘­(eu)myeon’ and ‘­keodeun’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모어 화자와 캄보디아인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 맥락적 조건에 따른 한국어 조건관계 연결어미 ʻ-(으)면ʼ, ʻ-거든ʼ 사용이 언어 숙달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데에 있다. 한국어에는 연결어미가 있으나 캄보디아어에는 연결어미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처럼 한국어와 캄보디아어가 가지고 있는 서로 다른 특징으로 인해 캄보디아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한국어를 학습할 때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캄보디아인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어 조건관계 연결어미 ʻ-(으)면ʼ, ʻ-거든ʼ의 사용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캄보디아인 학습자 대상 한국어 교육 자료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성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I 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국어학 및 한국어 교육 분야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인 모어 화자와 캄보디아인 한국어 학습자 간의 언어 맥락적 조건 별로 한국어 조건관계 연결어미 사용이 언어 숙달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연구 문제로 삼았다. II 장에서는 한국어 조건관계 연결어미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한국어 조건관계 연결어미 ʻ-(으)면ʼ, ʻ-거든ʼ의 통사적 특성을 정리하였고, 그것을 바탕으로 한국어 조건관계 연결어미와 캄보디아어 조건 표현을 대조해 보았다. 본 연구는 특히 한국어 조건관계 연결어미 ʻ-(으)면ʼ, ʻ-거든ʼ의 주어 제약, 문체법 제약, 부정문 제약을 집중적으로 살폈다. 주어 제약은 동일 주어 제약과 비동일 주어 제약으로, 비동일 주어 제약은 다시 후행절 주어 [-유정문]와 후행절 주어 [+유정문]으로 나뉜다. 문체법 제약은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청유문, 약속문으로, 부정문 제약은 선행절 ʻ안ʼ 부정문과 후행절 ʻ-지 말다ʼ 부정문으로 분류된다. 통사적 특성에 있어서 ʻ-(으)면ʼ은 주어 제약, 문체법 제약과 부정문에 제약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ʻ-거든ʼ은 ʻ-(으)면ʼ에 비해 비교적으로 많은 제약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ʻ-거든ʼ은 평서문과 의문문, 그리고 후행절 주어가 [-유정물]일 때 제약이 나타나고 후행절 주어가 [+유정물]일 경우에도 1인칭과 3인칭을 허용하지 않는다. III 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 방법 및 절차에 대해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인 모어 화자와 캄보디아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조건관계 연결어미 사용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 문항 48개와 혼란 문항 12개를 개발하였다. 또한, 캄보디아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숙달도를 검사하기 위하여 숙달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 도구를 개발한 다음 캄보디아인 한국어 중급 학습자 25명, 고급 학습자 25명과 한국인 모어 화자 25명, 총 75명을 모집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통계분석 프로그램 IBM SPSS 23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험 결과를 처리하였다. 조건관계 연결어미 테스트 결과 차이의 유의미함을 밝히기 위하여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실험 참여자들의 응답 입력 코드는 실험자가 선택하는 답이 정답일 경우의 값은 ʻ1ʼ이고 정답이 아닐 경우의 값은 ʻ0ʼ로 입력하여 실험자들의 조건관계 연결어미 사용 오류를 확인하였다. IV 장에서는 실험을 통해서 얻은 결과들을 분석하여 기술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학습자 한국어 조건관계 연결어미 ʻ-(으)면ʼ의 사용은 한국인 모어 화자와 약간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언어 숙달도가 향상됨에 따라 캄보디아인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 조건관계 연결어미 ʻ-(으)면ʼ을 한국인 모어 화자와 같은 수준으로 사용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캄보디아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인 모어 화자의 한국어 조건관계 연결어미 ʻ-거든ʼ의 사용 양상에서도 차이가 나타났다. 일부 제약인 약속문, 선행절 부정문과 후행절 부정문 문항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그 외 다른 제약에서는 고급 학습자와 모어 화자의 차이가 뚜렷하게 드러났다. 이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언어 숙달도가 향상이 되어도 한국인 모어 화자만큼 한국어 조건관계 연결어미 ʻ-거든ʼ을 자유롭게 사용하지 못한다는 것으로 한국어 조건관계 연결어미 ʻ-거든ʼ에 대해 적극적으로 교수 및 학습을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V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고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본 연구는 한국어 조건관계 연결어미에 대한 연구와 한국어 교육 및 특정 국적을 가진 한국어 학습자의 조건관계 연결어미 습득 연구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어를 공부하는 데에 어려움을 많이 겪고 있는 캄보디아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조건관계 연결어미 습득 연구가 아직까지 없다는 점에서 출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인 모어 화자와 캄보디아인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 맥락적 조건에 따른 한국어 조건관계 연결어미 사용이 언어 숙달도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살펴본 최초의 연구라는 의의를 가진다. 본고는 실험을 통해 캄보디아인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 조건관계 연결어미를 습득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언어 맥락적 조건에서 가장 어려움을 겪는지를 밝혔다. 연구 결과가 캄보디아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조건관계 연결어미 학습에 유의한 시사점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