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선희-
dc.contributor.author이민정-
dc.creator이민정-
dc.date.accessioned2018-04-04T11:58:01Z-
dc.date.available2018-04-04T11:58:01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310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3109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191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간접 인용 표현의 사용 양상과 의미 기능의 습득을 고찰하는 것이다. 간접 인용은 의사소통 활동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사회 구성원 모두와 함께 구성된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사회언어학적 측면에서 가장 핵심적인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간접 인용은 그 형태·통사적인 복잡성으로 인해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형태 위주의 교수가 강조되어 왔다. 하지만 지나치게 형태에만 집중한 교수는 학습자들이 간접 인용 표현을 어떠한 상황 맥락에서 사용해야 하는지는 제대로 다루지 못해 실제로 간접 인용 표현을 사용해야 하는 맥락에서 간접 인용 표현을 적절하게 사용하지 못하는 상황을 유발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간접 인용 표현의 의미 기능에 대해 살펴보고 한국어 학습자들의 간접 인용 표현 습득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Ⅰ장에서는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기술하고 관련 선행 연구를 고찰하여 연구 문제를 도출하였다. 본고의 연구문제는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간접 인용 표현 의미 기능 습득 양상이 한국어 모어화자와 비교했을 때 숙달도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Ⅱ장에서는 연구 문제 검증을 위해 필요한 이론적 배경을 검토하였다. 먼저 한국어 간접 인용의 개념과 형태에 대해 살펴본 후 한국어 간접 인용 표현의 다양한 의미 기능을 알아보고 교재와 선행 연구들에서 나타난 다양한 의미 기능을 종합하여 간접 인용 표현이 사용되는 상황 맥락을 원발화자에 따라 세 가지로 나누고 각각의 맥락 별로 3개의 의미 기능을 추출하여 총 9개의 의미 기능을 설정하였다. 본고에서 살피고자 하는 간접 인용 표현의 의미 기능은 자신의 발화 또는 생각을 인용하는 경우의 [생각 전달], [계획 드러내기], [불평], 대화 상대자의 발화 또는 생각을 인용하는 경우의 [확인], [놀람], [불평], 제 3자의 발화 또는 생각을 인용하는 경우의 [전달], [확인], [불평]이다. Ⅲ장에서는 모어화자와 학습자 집단의 간접 인용 표현 습득을 확인할 수 있는 검사 도구 개발을 비롯한 연구 절차와 관련된 내용을 기술하였다. 연구 문제 검증을 위해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 집단을 숙달도 평가 점수를 기준으로 중급과 고급의 두 집단으로 나눈 후 모어화자, 고급 학습자, 중급 학습자 집단에서 간접 인용 표현 사용 양상과 습득 정도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사용된 수용성 판단 과제 검사 도구는 각각의 대화 상황에서 알맞은 표현을 복수 선택할 수 있도록 해 각 집단에서의 간접 인용 표현 수용도와 선호도를 추가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Ⅳ장에서는 수집된 실험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기술하였다.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간접 인용 표현 의미 기능 습득 양상은 원발화자에 따라 구분한 모든 상황 맥락에서 한국어 모어 화자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단, 고급 학습자와 중급 학습자 간에 유의한 차이는 제3자의 발화 또는 생각을 인용한 경우에만 나타나 간접 인용 표현의 의미 기능 습득에 한국어 학습자의 숙달도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한국어 학습자는 간접 인용 표현이 사용되는 대화의 상황을 이해하지 못한 경우에 맥락과 전혀 상관없는 표현이라고 하더라도 익숙한 형태의 표현을 선택하는 경향을 보여 그간 형태 위주로만 이루어졌던 간접 인용 표현 교육을 의미 기능 위주로 변화시킬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전달’의 기능을 수행해야 하는 상황에서 모어화자 집단과 학습자 집단은 간접 인용 표현과 단정적이고 직접적인 양태 표현을 모두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인용 표현을 교수할 때 이와 같은 내용을 반영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Ⅴ장에서는 Ⅰ장부터 Ⅳ장까지의 내용을 종합하여 기술하고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에 대해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간접 인용의 형태에 집중했던 그간의 연구 경향에서 벗어나 간접 인용 표현의 의미 기능을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실험 연구까지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하지만 실험에 참여한 학습자의 수가 40명으로 연구의 내용을 일반화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고 실험에 사용한 검사 도구의 모든 문항에서 기준이 될 수 있는 한국인의 간접 인용 표현 선택 비율을 100%로 통제하지 못하였다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모어 화자와 학습자의 실제적인 간접 인용 표현 사용 실태를 파악하고 다양한 중간 언어적 양상을 관찰할 수 있도록 말하기 또는 쓰기 테스트를 통한 의미 기능 습득 연구를 후속 연구 과제로 남겨 놓았다.;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the practical usage of indirect quotation expression and the acquisition of sematic function for Korean-learning Chinese. Indirect quotation, in a social linguistic context, can be seen as the utmost essential part of the grammatical expressions considering the fact that every member in a society is involved in linguistic communication activities rather than just one particular individual. Due to its syntaxical, morphologic complexity, teaching method focusing on morphology has been emphasized. However, educational strategies that put abnormally excessive attention in morphology may cause problem in case of practically applying indirect quotation expressions if learners do not have enough opportunity to obtain the actual context of situations of when to use such expressions. With that being said,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the sematic function and the acquisition of indirect quotation expression of Korean-learning Chinese. In chapter I, the research need is described as well as the research question developed from the precedent studies of the related themes. In fact,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observe the difference in the significance function acquisition of indirect quotation expression compared to Korean native speakers depending on Korean-learning Chinese's fluency in Korean. In chapter II, the theoretical framework has been clarified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question. First, the morphology and conception of Korean indirect quotation expression is observed. After collecting and analyzing various sematic-functions from the textbooks and precedent studies, the situational contexts have been separated into three different parts in accordance with the original speaker. From each context, three sematic functions are extracted ending up total number of nine sematic functions: citing the first person thoughts or spoken words [thought delivery], [plan revelation], [complaints]; citing the second person thoughts or spoken words [confirmation], [surprise], [complaints]; citing the third person thoughts or spoken words [delivery], [confirmation], [complaints]. From the third chapter, the research method development and study procedures with regard to the acquisition of indirect quotation expression for the Korean native speakers group are described. To verify the research question, Korean-learning Chinese participants are divided into two different groups according to their Korean fluency levels; intermediate and advanced. Experiment has been perform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on the practical usage of indirect quotation expressions and on the acquisition levels of indirect quotation expressions. The experimental method used for the acceptability judgment task allows the participants to choose multiple expressions aligned with particular situations to check further levels of preference and acceptability of indirect quotation expressions. In chapter 4, collected results are statistically analyzed and describe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direct quotation expression sematic function acquisition in every single situational context classified with the original speaker.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rmediate and the advanced groups appears only when they cite the third person thoughts or spoken words demonstrating that Korean-learning participants' language fluency does not necessarily affect their acquisition of indirect quotation expression sematic function. When Korean-learning participants do not understand the situational context they tend to pick familiar form of expressions even if those expressions are contextually awkward. In short, it can be inferred that morphology-focused teaching methods should be alternated with the sematic function-focused methods. In a situation where the speakers need a language to deliver messages, native Korean participants and Korean-learning participants preferred both indirect quotation expressions and directly decisive modality expressions, meaning that the educators should consider such tendency when teaching quotation expressions. The details from chapter one through four are outlined in the last chapter, along with the description of the significance and the limitation of the research. This particular research tries to break the norm of the existing studies on indirect quotation expression focusing mostly on the morphology in a way of organizing the sematic function of indirect quotation expressions and implementing associated experiment. The small sample size of 40 participants may be counted as one of the limitation; therefore it is hard to generalize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to the whole target of Korean-learning Chinese. Furthermore, some of the Korean native speakers have not picked the indirect quotation expressions for a couple of questions. In other words, the rate of Korean participants choosing the answers with indirect quotation expressions, which should be the baseline to compare with the rate of Korean-learning Chinese, is not 100% controlled. In the future studies, the researchers may want to take a thorough investigation on the reality of Korean native speakers and Korean-learning Chinese utilizing practical indirect quotation expressions and to examine a variety of interlinguistic aspects for further research on sematic function acquisition via speaking or writing tes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선행 연구 3 C. 연구 문제 10 Ⅱ. 한국어의 간접 인용 12 A. 간접 인용의 개념 12 B. 한국어 간접 인용의 형태 14 C. 한국어 간접 인용 표현의 특징 26 Ⅲ. 연구 방법 45 A. 예비 실험 45 B. 본 실험 46 Ⅳ. 연구 결과 53 A. 자신의 발화 또는 생각 인용 53 B. 대화 상대자의 발화 또는 생각 인용 63 C. 제3자의 발화 또는 생각 인용 72 Ⅴ. 결론 83 참고문헌 86 부록1. 숙달도 검사 도구 88 부록2. 간접 인용 표현 의미 기능 검사 도구 91 ABSTRACT 9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8884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간접 인용 표현 의미 기능 습득 양상-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Acquisition of Semantic Functions of Indirect Quotation Expression by Korean-learning Chinese-
dc.format.pagev, 10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국제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