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4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난숙-
dc.contributor.author최희진-
dc.creator최희진-
dc.date.accessioned2018-04-04T11:57:58Z-
dc.date.available2018-04-04T11:57:58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385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3859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1892-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actual conditions of part-time work of youth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part-time work status and experienc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youths, and to analyze effects of changes in part-time work experience(career and work ethics, awareness of money and labor, social life and human relations, and problem solving capability and sense of responsibility) on self-esteem, work ethics,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of youths. Data collected for "Study on the status of youth part-time work and research on policy measures I" as a part of 2014 NYPI Cross-Sectional Survey provided by the NYPI Youth and Children Data Archive (http://archive.nypi.re.kr/) were used for analysi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4,023 youths who were in the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ade of high school.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heffe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when analyz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more male students than female students and there more general high schools than the other school levels. In the case of the parents' academic attainment, fathers’ were mostly higher than the college graduates and mothers’ were mostly lower than high school graduates. The percentage of students with moderate level of achievements was the highest. In the case of economic level, middle class showed the highest response rate. According to location, Gyunggi Province showed the highest response rate. According to size of the city, large cities showed the highest response rate. Second, when looking into the actual conditions of part-time work experiences of students, it was found that the most students responded 'Yes' to the question asking part-time work experience during the recent one yea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responding to the submission documents to a company or an employer at the start of the part-time work, the requirements of a contract were not fulfilled very well. When looking into whether they had everyday problems after working part-time, it was found that part-time work did not make many problems in their everyday life, as most of students answered ‘No' to questions asking if they felt asleep during classes, if they could not do their homework on time, if they had lower scores in exam, and if they had less time for their friends. To sum up the results of responding to the experience of unfair treatments during part-time work, many students reported that they were not able to cope properly even if they did not receive their wages or were cursed. Third, the analysis of part-time work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youths show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working period and the working hours according to sex. However, there was difference in average wages and female students received higher wages in average than male students.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ere higher in working period, while middle school students were higher in average wage.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working time and school level. Additional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working period, working hours, and average wage according to school grade and economic level. Fourth, the analysis result of the statistical difference in changes due to part-time work experienc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youths show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career and work ethics, perception on money and labor, social life and human relations, development of problem solving capability and sense of responsibility according to sex, academic achievements, and economic level. According to school level,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higher scores in career and work ethics, perception on money and labor, social life and human relations, and development of problem solving capability and sense of responsibility than general an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Fifth, influences of self-esteem, work ethics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on part-time work experience (career and work ethics, perception on money and labor, social life and human relations, and problem solving capability and sense of responsibility) were analyzed with multi-regression, it was found that school level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had statistical influence on career and work ethics of youths. It was also found that middle school students had higher career and work ethics than high school students and those who had higher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had higher level of career and work ethics. The school level and self-esteem of youths had influences on awareness of money and labor. It was higher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han among high school students. Those who had higher self-esteem showed higher level of awareness of labor and money. In the case of social life and human relations, level of school and self-esteem made effects.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better social life and human relations than high school students. Those who had higher self-esteem had higher awareness of money and labor. Finally, in the case of problem solving capability and sense of responsibility, school level, self-esteem,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made effects.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higher problem solving capability and sense of responsibility than high school students. When they had higher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they showed higher problem solving capability and sense of responsibility. Conclusively, school level made effects on changes due to part-time work,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nd self-esteem also made effects on changes due to part-time work more or less. Since middle school students had higher changes due to part-time work than high school students, it would be more effective if contents related to the part-time work are taught to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ir Home Economics classes. Based on the above,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Home Economics is a curriculum with a practical nature focusing on fostering the competencies and attitudes of living that can be used to solve problems in real life and fusing necessary knowledge through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It is the subject which is most closely related to real life. In particular, through the ‘Resource Management and Self-reliance' section of th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in 2015 Revised Curriculum, youths can prepare for economic independence, improve capability to solve practical problems, to live independently, and to build relationship. Among them, ‘Capability to live independently' is the ability to determine and practice issues in everyday life as a subject of life by building self-identity. In Home Economics curriculum, it can play a role of core subject in relation to part-time work related education. In other words, Home Economics can intervene in students' development effectively so that they can make economic activities for themselves through part-time work, and have positive self-esteem, right work ethics and high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in the process.;본 연구는 청소년 아르바이트 실태를 파악하고,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아르바이트 실태와 아르바이트 경험으로 인한 변화가 달라지는 지 알아보고, 청소년의 아르바이트 경험으로 인한 변화에 자아존중감, 직업의식, 학교생활만족도가 영향을 미치는 지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는 한국아동청소년 데이터 아카이브(http://archive.nypi.re.kr/)에서 제공되는 NYPI횡단조사 중 2014 조사로 ‘청소년 아르바이트 실태조사 및 정책방안 연구Ⅰ’을 위해 수집된 자료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전국의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1, 2, 3학년에 재학 중인 총 4,023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t-test, ANOVA, 사후검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는데,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관한 분석 결과, 성별의 경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많았다. 학교는 인문계고등학교가 가장 많았으며, 부모의 최종학력의 경우 아버지의 최종학력은 전문대 졸 이상이 많았으며 어머니의 최종학력은 고졸이하가 많았다. 학업성적은 중위권의 성적을 가진 학생들의 비율이 높았으며, 경제적 수준은 중간계층의 응답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역은 경기에서, 지역규모는 대도시의 응답률이 높았다. 둘째, 아르바이트 경험이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아르바이트 경험에 대한 실태를 살펴본 결과, 최근 1년간 아르바이트 경험 여부에 대해서는 ‘예’라고 응답한 학생들이 많았으며, 아르바이트 시작 시 회사나 고용주와의 제출 서류 여부에 응답한 결과를 보면 계약상황에서의 지켜져야 할 요건이 잘 이루어지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아르바이트 이후 일상생활 지장 여부에 대해 살펴보면, 아르바이트 이후 일상생활 지장 여부에서 수업시간에 잠을 잔 경우, 숙제를 제때 해가지 못한 경우, 성적이 떨어진 경우, 친구를 만나지 못하는 시간이 줄어든 경우 등에 ‘아니오’로 답한 학생이 ‘예’로 답한 학생보다 많아서 대체로 아르바이트가 일상생활에 지장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르바이트 중 부당한 일을 경험한 여부에 응답한 결과를 종합해보면 많은 학생들이 임금을 제대로 받지 못하거나 심한 욕설을 듣는 등 부당한 일을 겪어도 대부분의 학생들이 제대로 대처를 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아르바이트 실태를 분석한 결과 근무기간과 근무시간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며,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평균임금을 많이 받았다. 학교급에 따라서는 근무기간에서는 실업계 고등학생이, 평균임금에서는 중학생이 높게 나타났으며, 근무시간과 학교와의 상관관계는 보이지 않았다. 또한 학교성적과 경제적 수준에 따른 근무기간, 근무시간, 평균임금에서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넷째,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아르바이트 경험으로 인한 변화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진로·직업의식, 금전 및 노동에 대한 인식, 사회생활 및 인간관계, 문제해결능력 및 책임감 발달은 성별, 학교성적, 경제적 수준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학교급에 따라서는 진로·직업의식, 금전 및 노동에 대한 인식, 사회생활 및 인간관계, 문제해결능력 및 책임감 발달에서 중학생이 인문계 고등학생, 실업계 고등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직업의식, 학교생활만족도가 아르바이트로 인한 변화(진로·직업의식, 금전 및 노동에 대한 인식, 사회생활 및 인간관계와 문제해결능력 및 책임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청소년의 진로·직업의식에 청소년의 학교급과 학교생활만족도가 영향을 미쳤으며, 중학생의 진로·직업의식이 고등학생보다 높았으며 청소년의 학교생활만족도가 높을수록 진로·직업의식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금전 및 노동의식의 경우, 청소년의 학교급과 자아존중감이 영향을 미쳤으며 중학생의 금전 및 노동의식이 고등학생보다 높았으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금전 및 노동의식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사회생활 및 인간관계의 경우, 청소년의 학교급과 자아존중감이 영향을 미쳤으며, 중학생의 사회생활 및 인간관계가 고등학생의 사회생활 및 인간관계보다 높았으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금전 및 노동의식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청소년의 문제해결능력 및 책임감의 경우, 청소년의 학교급, 자아존중감, 학교생활만족도가 영향을 미쳤으며 중학생의 문제해결능력 및 책임감이 고등학생보다 높았으며 학교생활만족도가 높을수록 청소년의 문제해결능력 및 책임감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청소년의 학교급이 아르바이트로 인한 변화에 대체로 영향을 미쳤으며, 학교생활만족도와 자아존중감 또한 아르바이트로 인한 변화에 다소 영향을 미친 것을 알 수 있다. 중학생의 경우, 아르바이트로 인한 변화에서 고등학생보다 높기 때문에 가정교과가 필수과목인 중학교 교육과정부터 아르바이트에 대한 교육을 한다면 더 효과적일 것이다. 이상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실제적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가정교과는 실천적 성격을 가진 교과로 다양한 정보를 통해 필요한 지식을 융합하고, 이를 실생활의 문제 해결에 활용할 수 있는 생활의 역량과 태도를 기르게 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어 실생활에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교과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기술·가정 2015 개정 내용의 ‘자원 관리와 자립’단원을 통해 청소년들은 경제적 자립을 준비하고, 실천적 문제해결능력, 생활자립능력, 관계형성능력을 기를 수 있다. 그 중 ‘생활자립능력’은 삶의 주체로서 자아정체감을 형성하여 스스로 생활의 문제를 판단하고 수행할 수 있게 도와주는 능력으로 가정교과에서 청소년에게 아르바이트에 대한 교육과 관련해서 핵심교과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즉, 청소년이 아르바이트를 통해 스스로 경제적 활동을 하고, 그 과정에서 긍정적인 자아존중감, 올바른 직업의식, 높은 학교생활만족도를 가지고 아르바이트를 통해 긍정적인 변화를 겪을 수 있도록 가정교과는 효과적으로 개입할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6 Ⅱ. 이론적 배경 7 A. 청소년 아르바이트의 개념 7 B. 아르바이트 경험으로 인한 변화 10 1. 진로직업의식 10 2. 금전 및 노동에 대한 인식 12 3. 사회생활 및 인간관계 14 4. 문제해결능력 및 책임감 발달 15 C. 선행연구 고찰 17 1. 자아존중감과 아르바이트 경험 17 2. 직업의식과 아르바이트 경험 18 3. 학교생활만족도와 아르바이트 경험 20 Ⅲ. 연구방법 22 A. 분석대상과 자료수집 22 B. 측정도구 23 1. 자아존중감 23 2. 직업의식 24 3. 학교생활만족도 25 4. 아르바이트 경험으로 인한 변화 26 C. 자료분석 30 Ⅳ. 연구결과 31 A. 연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31 B. 주요 변수들의 기술 통계 34 C. 아르바이트 실태 35 D.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아르바이트 실태 39 1.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아르바이트 실태 39 2. 청소년의 학교급에 따른 아르바이트 실태 40 3. 청소년의 학교성적에 따른 아르바이트 실태 42 4. 청소년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아르바이트 실태 42 E.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아르바이트 경험으로 인한 변화의 차이 43 1.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아르바이트 경험으로 인한 변화의 차이 43 2. 청소년의 학교급에 따른 아르바이트 경험으로 인한 변화의 차이 44 3. 청소년의 학교성적에 따른 아르바이트 경험으로 인한 변화의 차이 46 4. 청소년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아르바이트 경험으로 인한 변화의 차이 47 F. 진로직업의식, 금전 및 노동의식, 사회생활 및 인간관계와 문제해결능력 및 책임감에 미치는 영향 48 Ⅴ. 결론 및 제언 52 A. 연구의 결론 52 B. 제한점 및 제언 55 참고문헌 57 ABSTRACT 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3426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청소년 아르바이트 실태와 관련변인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 6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