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3 Download: 0

초등학생의 체육수업에 대한 흥미도와 선호도 연구

Title
초등학생의 체육수업에 대한 흥미도와 선호도 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elementary students’ interest and preference levels regarding physical education.
Authors
정홍지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함정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level of interest and preference elementary students have towards physical education and the related variables, and to put into perspective how extra-curricular sports activities differs from regular in-school physical education for each gender and age classes. Furthermore, this research aims to seek middle and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programs to help students sustain their interest towards physical activities even after graduating elementary school and continue on lifelong physical activities. To achieve this goal of this research, a survey was conducted to 350 3rd-4th grade, and 5th-6th grade students from 2 mixed-gender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Gyeonggi region. The survey tool used 5 points Likert scale based on the questions used in the following researches; Jeon Ahrim(2011), Jeong Hyungyeong(2001), Sing Hangmi(2006), Kwon Hyungjin(2003), Back Youngja(1999). Multiple response analysis was utilized for cause of physical education preference. SPSS statistics 23.0 program was used to process the collected data and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general information of the research subjects. For physical activities, other than gender and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dependent sample testing was used. One way ANOVA analysis was carried out for grades. To find out reasons why elementary students prefer physical education, multiple response analysis was conducted for each group depending on gender, grade, and experience of extra-curricular sports activities. Moreover, bivariate analysis was carried out to find correlations between levels of interests for physical education and specific sports preferences for each group depending on gender, grade, and experience of extra-curricular sports activities. Lastly, sim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physical education interest level to preference level of specific sports depending on experience of extra-curricular sports activ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conducted as above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physical education interest level depending on students’ grade, gender, and experience of extra-curricular sports activiti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ifferent grade averages. However, gender and experience of extra-curricular sports activiti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average interest levels. Second, there was substantial difference regarding the physical education preference level depending on students’ grade, gender, and experience of extra-curricular sports activities. Sport events that showed substantive average differences depending on grades were gymnastics, apparatus gymnastics, expression, seasons, folklore, and stamina, with overall 3rd-4th grades having higher preference average than 5th-6th grade. Different genders showed differences on average preference level and sport events that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were athletics, games, and expressions. For experience of extra-curricular sports activities, substantial average differences could be seen every specific sports event except for expression events. Third, when comparing physical education preference reasons of elementary students depending on grade, gender, and experience of extra-curricular sports activities, 3rd and 5th grades chose ‘can play fun sports’ options the most, while 4th and 6th grades chose ‘can experience various sports’ option the most. For the least picked options differed across grades. 3rd grade chose ‘teacher is nice or fun’, 4th grade chose ‘don’t have to study’, 5th grade chose ‘because they are outdoor activities’, and 6th grade chose ‘because free time is good’ options the least. On gender, boy students chose ‘can play fun sports’ the most while girl students chose ‘can experience various sports’ the most. On the other hand, the least selected option was ‘don’t have to study’. Experience of extra-curricular sports activities showed no difference as both groups chose ‘can experience various sports’ the most. For the least chosen option, the group with experience of extra-curricular sports activities chose ‘don’t have to study, and the group without experience of extra-curricular sports activities chose ‘because they are outdoor activities'. Fourth, all relations between interest and preference levels on physical education depending on grade, gender, and experience of extra-curricular sports activities showed static correlations. In terms of each grades, 3rd grade showed meaningful correlations for all sport events except for athletics, games, apparatus gymnastics. 4th grade showed meaningful correlations for all sport events except for coefficient correlations between games and physical education interest level, gymnastics, apparatus gymnastics and game, expression and game, stamina and game. 5th grade showed meaningful correlations for all sport events except for expressions, games, seasons, and gymnastics. 6th grade showed meaningful correlations for all sport events except for correlations between game and gymnastics, expressions and physical education interest level, expression and game, and folklore and gymnastics.On gender, boy students showed meaningful correlations for all sport events except for coefficient correlations between gymnastics and games, and expressions and games. For girl students, all correlations were positive. The group with experiences of extra-curricular physical activities showed meaningful correlation except for coefficient correlations between games and gymnastics, and expressions and games. Lastly, the group without experiences of extra extra-curricular physical activities showed results for all correlations. Fifth, the data shows substantial statistical influence by experience of extra-curricular physical activities dependent interest level on preference level of every specific sport events. The group without experience of extra-curricular physical activities also showed meaningful influence on preference level of every sports events. Meanwhile, the group without extra-curricular physical activity experience had stronger relevance between physical education interest level and preference level. Through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t was found that elementary students' interest and preference levels of physical education differ and are altered depending on grade, gender, and experience of extra-curricular physical activities.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should strive as a starting point for diverse and high quality physical education and it should be encouraged that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ould not lose interest in physical education and continue on as a stepping stone to lifelong sports participation.;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체육수업에 관한 흥미도와 선호도를 분석하고 그에 대해 어떠한 영향을 주는 알아보고자하며 성별, 학년별, 초등학생들의 체육수업활동 외의 체육활동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보고자하였다. 더불어 학생들이 초등학교졸업 후에도 체육에 대한 흥미를 잃지 않도록 중·고등학교 체육수업 방안을 모색하며 평생체육으로 나가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서울𐩐경기에 소재한 남녀공학 초등학교 총 2곳을 선정하여 3~4학년과 5~6학년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도구는 전아림(2011), 장현경(2001), 송행미(2006), 권형진(2003), 백영자(1999) 등의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문항을 기초로 5점 Likert 척도를 사용하였다. 또 체육수업 선호이유는 다중응답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 statistic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사항에 대해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성별, 체육수업 이외의 체육활동 여부의 경우 독립표본 검정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학년의 경우 일원분산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초등학생들이 체육수업을 선호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살펴보기 위하여 성별, 학년, 체육수업 이외의 체육활동 여부에 따른 집단별로 다중응답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성별, 학년, 체육수업 이외의 체육활동 여부에 따른 집단별로 체육수업에 대한 흥미도와 세부 종목별 선호도 간의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이변량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체육수업 이외의 체육활동 여부에 따라, 체육수업에 대한 흥미도가 세부 종목별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에 따라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학년별, 성별, 학교체육수업 이외의 체육활동에 따른 체육수업에 대한 흥미도에 관련하여 먼저, 학년별의 평균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별과 체육수업 외의 체육활동은 평균에 유의한 차이를 보여 흥미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의 학년별, 성별, 학교체육수업 이외의 체육활동에 따른 체육수업에 대한 선호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학년별 선호도의 경우 평균차이가 유의하게 나온 종목은 체조, 기계체조, 표현, 계절, 민속, 체력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3𐩐4학년이 5𐩐6학년에 비해 선호도 평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성별의 경우 선호도 평균의 차이가 존재하였으며 유의미한차이가 있는 종목으로는 육상, 게임, 표현으로 나타났다. 체육수업 외의 체육활동의 경우 표현종목을 제외하고 모든 세부 종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의 학년별, 성별, 체육수업 이외의 체육활동 유무에 관한 체육수업에 대한 선호이유를 비교한 결과, 학년에서는 3학년과 5학년이‘재미있는 운동을 할 수 있다’를 가장 많이 선택하였고 4학년 6학년에서는‘여러 가지 운동을 경험 할 수 있다’를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그리고 가장 적게 선택한 응답은 학년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3학년의 경우‘선생님이 좋아서 또는 재밌어서’, 4학년은 ‘공부를 안 해도 된다’, 5학년은‘밖에서 하는 수업이라서’, 6학년은‘자유시간이 좋아서’를 각각 적게 선택하였다. 성별에서는 남학생의 경우 ‘재미있는 운동을 할 수 있다’를 가장 많이 선택했고 여학생의 경우 ‘여러 가지 운동을 경험할 수 있다’를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반면, 가장 적게 선택한 응답은 ‘공부를 안 해도 된다’로 나타났다. 체육수업 이외의 체육활동 여부에서는 체육수업 이외의 체육활동을 하는 학생과 그렇지 않은 학생 모두 ‘여러 가지 운동을 경험할 수 있다’를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또 가장 적은 응답의 경우, 체육수업 이외 체육활동을 하는 학생은 ‘공부를 안 해도 된다’이며 그렇지 않은 학생은 ‘밖에서 하는 수업이라서’로 나타났다. 넷째, 초등학생의 학년별, 성별의 체육수업에 대한 흥미도와 선호도 간의 관계에는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학년의 경우, 3학년은 육상, 게임, 기계체조와 표현을 제외하고 모든 종목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4학년은 게임과 체육수업 흥미도, 체조, 기계체조와 게임, 표현과 게임, 체력과 게임의 상관계수를 제외하고 모두 유의미하였다. 5학년은 표현과 게임, 계절과 체조를 제외한 모든 상관관계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그리고 6학년은 게임과 체조, 표현과 체육수업 흥미도, 표현과 게임, 민속과 체조를 제외한 모든 상관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나타났다. 성별의 경우, 남학생은 체조와 게임, 표현과 게임의 상관계수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유의한 관계가 나타났다. 여학생의 경우에는 모든 상관계수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체육수업 이외의 체육활동을 하는 집단의 경우는 게임과 체조, 표현과 게임 간 상관계수를 제외한 모든 상관계수들이 유의하게 나왔으며, 마지막으로 학교체육수업 이외의 체육활동을 실시하지 않는 집단의 경우는 모든 상관계수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다섯째, 체육수업이외의 체육활동 여부에 따른 흥미도가 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여부에서는 학교체육수업 이외의 체육활동 집단의 경우, 모든 세부 종목별 선호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지 않은 집단의 경우 또한 모든 세부 종목별 선호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체육수업이외의 체육활동을 미실시한 집단이 체육수업에 대한 흥미도가 선호도를 더 많이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초등학생의 체육수업에 대한 흥미도와 선호도는 대체적으로 학년별, 성별, 학교체육수업 이외의 활동에 따라 서로 차이를 보이고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초등학교체육수업에서부터 다양하고 분화되어 체육수업의 질을 높이고 아이들이 흥미를 잃지 않도록 하며 중𐩐고등학생들에게까지 연계되어 학교체육이 활성화되고 평생체육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장려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