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4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준식-
dc.contributor.author유영-
dc.creator유영-
dc.date.accessioned2018-04-04T11:57:56Z-
dc.date.available2018-04-04T11:57:56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309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3097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1881-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arrange the change of Korean people’s perception toward Arirang in current Korean history, Arirang has emerged in every historical event and has become a center for gathering the Koreans and has been continuously changed to a new form. Among various version of Arirang, the most widely known one is <Bonjo Arirang> which was created by Na Un-gyu in the 20th century. Therefore, this study focalized on the formation of <Bonjo Arirang> dividing it in to three periods; 20th Century, before and after of it. It analyzed the transition of the perception and the status of Arirang through historical events in each period. Also, the formative process of <Bonjo Arirang>, which is the focus of this study, has been examined together. In the second chapter of this study, it looked at the popularization of Arirang which was a local folk song before the 20th Century through the reconstruction of Gyeongbokgung Palace and it arranged the perception toward the song in the period according to written records. In chapter Ⅲ, it examined the process of Arirang being recognized as a representative song of the nation and being known to the world focusing on the Korean war and the screening of Arirang in the 20th century by Na Un-gyu. In chapter Ⅳ, it examined the Korean government’s effort to promote Arirang as the representative symbol of the nation to the world.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ascertained that Arirang was not the representative and symbolic song of Korean people at the first time. However, the song has appeared in every time of the national event and has gradually become recognized as a national song. In addition, it is found that the song has grown in stature as a symbolic song of global harmony and world peace as well as the nation and the people both internally and internationally. Based on this background, the government has recently launched an effort to develop Arirang as a national brand and to make it a song of the people in the world. This study has significance that it arranged the change of the recognition and of the status regarding Arirang as well as its recent change.;본 연구는 격변의 시기를 보낸 한국 근·현대사에서 나타나는 한국인의 아리랑에 대한 인식변화를 주요한 역사적 사건을 중심으로 알아보고 정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리랑은 역사적 사건마다 등장하여 한국인을 하나로 모으는 구심점이 되었고 계속해서 새로운 형태로 변화하며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다. 사람들에게 가장 널리 알려져 있고 한국인의 노래로 대표되는 <아리랑>은 20세기에 나운규에 의해 만들어진 <본조아리랑>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본조아리랑>의 형성을 중심으로 20세기 이전, 20세기, 21세기 이후 세 시기로 구분하고 각 시기의 역사적 사건과 함께 아리랑에 대한 인식과 위상이 변화하는 과정을 살펴보았으며, 연구의 중심이 되는 <본조아리랑>의 형성과정을 함께 살펴보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Ⅱ장에서는 20세기 이전 경복궁 중건을 중심으로 토속민요였던 아리랑이 통속화된 모습을 살펴보고, 이 시기 기록에 나타난 아리랑에 대한 인식을 정리하였다. Ⅲ장에서는 20세기 나운규의 영화 <아리랑> 상영과 한국전쟁을 중심으로 아리랑이 민족을 대표하는 노래로 인식되고 세계에 알려지는 과정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Ⅳ장에서는 21세기 이후 정부 주도로 아리랑을 한국의 대표상징으로 세계에 알리려는 노력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아리랑은 처음부터 우리 민족을 대표하고 상징하는 노래는 아니었지만, 역사적으로 국가가 큰 사건을 겪을 때마다 등장했고 점차 민족의 노래로 인식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나아가서는 대내적으로뿐만 아니라 대외적으로도 한국과 한국인을 상징하는 노래이자 세계의 화합과 평화를 상징하는 노래로 그 위상이 높아진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최근 정부 주도로 아리랑을 국가브랜드로 개발하고 한국인의 노래에서 세계인의 노래로 만들기 위한 노력을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인의 아리랑에 대한 인식과 위상의 변화를 정리하면서 이와 같은 최근의 변화를 포함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 연구의 대상 및 방법 2 C. 선행연구 4 II. 20세기 이전 아리랑에 대한 인식 7 A. 조선 말 경복궁 중건을 중심으로 8 1. 경복궁 중건과 아라리의 통속화 8 2. 아리랑 연행(演行) 기록 9 3. 한국인의 <아리랑> 관련 기록과 인식 13 4. 외국인의 <아리랑> 관련 기록과 인식 16 III. 20세기 아리랑에 대한 인식 22 A. 나운규의 영화 <아리랑>과 <본조아리랑>의 형성을 중심으로 23 1. 영화 <아리랑> 23 2. 영화 주제가 <아리랑> 27 3. <본조아리랑>과 음악 형성과정 30 4. <본조아리랑> 관련 인식과 민요화 40 B. 한국전쟁(6.25)을 중심으로 43 1. 한국전쟁과 <아리랑> 44 2. 외국 음악가들에 의해 연주된 <아리랑> 47 3. 세계에 알려진 <아리랑> 51 4. 북한의 <아리랑> 56 IV. 21세기 이후 아리랑에 대한 인식 59 A. 국가브랜드로서 <아리랑>에 대한 인식 59 B. 아리랑의 세계화 추진 62 1. 아리랑 국제 학술대회 62 2. 아리랑 페스티벌 및 음반제작 63 3. 유네스코 세계무형유산 등재 64 V. 결론 67 참고문헌 69 ABSTRACT 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0792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아리랑>의 인식과 위상의 변화에 대하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본조아리랑>의 형성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On the Change of Historical Status & Consciousness of Arirang : Centering on the formation of <Bonjo Arirang>-
dc.format.pageiii, 7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국제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