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59 Download: 0

중등 특수학급 교사의 체육수업 지도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Title
중등 특수학급 교사의 체육수업 지도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Other Titles
The narrative about the physical education instruction experience of the secondary special class teachers
Authors
김소연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함정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operation of the physical education in the special class. Data were collected for about 6 months through in-depth interviews, document collection, e-mail, telephone, and messenger for 5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d experience teach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middle and high school special classes. Through the collected data, explored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special class physical education class, examined the need for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found out the meaning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s role and activating method of physical education clas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tents were obtained about the experience of physical education instruction of the secondary special class teachers. First, the contents of the special class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the matters to be considered. The methodology of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place of enforcement, the number of times, the use of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connection with the general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the assessment were used to discuss the application of the class and the matters. It was possible to know how to conduct physical education class through the application of various physical education class including regular class time away. Second, it was a discussion about the necessity of special class physical education class deriv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felt that the need for physical education classes was high as a process of preparation for physical education, physical fitness, and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through actual cases. Third,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claimed that the quality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was determined by the effort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at the quality of physical education should be improved through training. Fourth,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talked about the expansion of training related to special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 awarenes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administrators, and the promotion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specialties through the practical experiences of special class. It was necessary to improve awareness of not only special education teachers but also all important people 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administrators. In order to promote the specialization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adapted physical activity training should be done and class study should be don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may be a practical reference material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want to carry out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special class an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want to carry out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in connection with special class physical education.;본 연구는 특수학급에서 주요 교과목 및 직업 교과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특수교사의 체육수업 운영 경험을 연구하여 체육 활동에 대한 필요성을 인지하고 활성화 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으로 중등 특수학급 교사의 체육 수업 지도 경험에 대해 내러티브 탐구를 실시하였다. 중 ‧ 고등학교 특수학급에서 연구자를 포함하여 체육 수업의 지도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 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 문서수집, e-mail, 전화, 메신저를 통하여 약 6개월간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통해 특수학급 체육 수업의 실제 적용 모습에 대하여 탐색하고 체육 수업에 대한 필요성을 고찰하며 특수교사의 역할 및 체육 수업 활성화 방안에 대해 주제어를 찾아 재구성하는 과정을 거쳐 의미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중등 특수학급 교사들의 체육 수업 지도 경험에 대해 다음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었다. 첫째, 특수학급의 체육 수업 실제와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한 내용이다. 체육 수업의 방법, 시행 장소, 시수, 체육 교구의 사용, 일반 체육교과와의 연계성, 평가를 통해 수업의 적용 모습과 그에 따라 고려해야 할 사항들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파악하였다. 단편적인 특수학급 체육 수업 틀에서 벗어나 정규 수업 시간을 포함한 다양한 체육 수업의 적용 모습을 통해 체육 수업의 실시방법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의 지도 경험에서 도출된 특수학급 체육 수업의 필요성에 관한 논의였다. 특수교사들은 실제적인 사례를 통해 인성교육, 체력 증진, 통합 체육의 준비과정으로서 체육 수업의 필요성이 높다고 느꼈다. 셋째, 특수학급 체육수업을 위해 필요한 교사의 노력에 대한 내용이다. 특수교사는 체육 수업의 질은 특수교사의 노력에 의해 결정이 된다고 하였으며 연수의 이수, 자격증 취득, 수업 연구를 통하여 체육의 질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넷째,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은 특수학급 체육 수업의 실제 경험을 통한 활성화 방안으로 특수체육 수업 관련 연수의 확대, 체육교사와 특수교사 및 관리자의 인식, 특수체육 전문성 증진을 이야기하였다. 특수교사뿐만 아니라 체육교사와 관리자 등 장애학생의 중요한 주변인 모두의 인식 개선이 필요하며 특수체육의 전문성을 증진하기 위하여 특수체육 연수 이수 및 수업 연구를 통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는 특수학급에서 체육 수업을 실행하려는 특수교사들과 특수학급 체육과 연계한 체육활동을 실시하려는 체육 교사들에게 실제적인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