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7 Download: 0

체육교사 교수법에 따른 중학생의 체육수업 몰입도와 만족도

Title
체육교사 교수법에 따른 중학생의 체육수업 몰입도와 만족도
Other Titles
A study on Physical education class immersion and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eaching method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Authors
박미혜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함정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eaching methods and the consequent immersion and satisfaction and to understand the teaching methods pursued by students, providing necessary materials for future class. For this purpose, the study selected 4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after dividing Seoul into 4 regions – Gangdong, Gangseo, Gangnam, Gangbuk. Total 480 female and male students attending the four schools were designated as the targets of the study. The collected survey questionnaires were 470; however, total 438 questionnaires were used and analyzed excepting insincere, double-marked, or unanswered questionnaires.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SPSS statistics program. Also, t-test,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also conducted. The findings from these analysis procedure’s and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ce in democratic behavior type, and male students’ perception was higher than female students. The differences in the immersion and satisfac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according to gende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l factors, and male students perceived the differences higher than female students. The differences in the teaching method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ccording to grad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democratic behavior type, and the differences i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immers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l factors. The differences of the the differences in teaching method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mmersion and satisfaction of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according to region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l factors. Second, the democratic behavior type and instruction behavior type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self-objective experiences and immersion in class contents. The positive behavior type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self-objective experiences. Third, the democratic behavior type, positive behavior type, teaching and instruction behavior types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physical education class operation and contents,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eaching methods, and physical education class environments. Fourth,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eaching methods and middle school students’ physical education class immersion and satisfaction, valid judgement was verified considering that the coefficients were less than 1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It was found that the correlation among relevant variables was positive. Fifth, the self-objective experiences and immersion in class contents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physical education class operation and contents,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eaching methods, and physical education class environments. It was also found that the coherence between class behavior and class consciousness had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teaching methods. To integrate all results above, the teaching method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immersion and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physical education class. Therefor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hould not apply one-sided teaching methods centered on teachers but various teaching methods appropriate to their characteristics, class situations and environments of students. It is expected that these teachers' efforts would enable high quality class and increase students' commitment and satisfac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 소재 일부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체육교사 교수법에 대한 인식과 그에 따른 체육수업 몰입도와 만족도를 조사하고, 학생들이 추구하는 체육교사의 교수법이 무엇인지 파악하여 앞으로의 수업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시에 소재한 중학교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서울시를 강동, 강서, 강남, 강북으로 나누어 각 지역별로 무작위 추출방법을 사용해 총 4개의 학교를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중학교에 의뢰하여 재학 중인 남·여 학생 총 480명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476부였으나, 이 중 응답에 중복 표시, 응답에 참여하지 않거나 불성실하게 답한 설문지를 제외한 후 438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t-검정과 일원변량분석, 다중회기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절차와 연구방법을 통해 체육교사의 교수법에 따른 중학생의 체육수업 몰입도와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체육교사 교수법에 대한 인식, 체육수업 몰입도와 만족도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성별에 따른 체육교사 교수법에 대한 인식 차이는 민주적 행동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게 인식하였다. 성별에 따른 체육수업 몰입도와 만족도의 차이는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게 인식하였다. 학년에 따른 체육교사 교수법에 대한 인식 차이는 민주적 행동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2학년, 3학년, 1학년 순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체육수업 몰입도의 차이는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자기 목적적 경험과 수업 내용에 대한 몰두는 2학년, 3학년, 1학년 순으로 높게 인식하였으며, 수업 행동과 의식의 일치는 2학년, 1학년, 3학년 순으로 높게 인식하였다. 지역에 따른 체육교사 교수법에 대한 인식 차이는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강동, 강서, 강북, 강남지역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에 따른 체육수업 몰입도의 차이는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자기 목적적 경험은 강동, 강북, 강서, 강남지역 순으로 나타났고, 수업 내용에 대한 몰두는 강동, 강서, 강북, 강남지역 순으로 나타났다. 수업 행동과 의식의 일치는 강북, 강동, 강서, 강남지역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지역에 따른 체육수업 만족도의 차이는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강동, 강서, 강북, 강남지역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육교사 교수법이 중학생의 체육수업 몰입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주적 행동형과 교수와 지시행동형은 자기 목적적 경험과 수업 내용에 대한 몰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 행동형은 자기 목적적 경험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육교사 교수법이 중학생의 체육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주적 행동형, 긍정적 행동형, 교수와 지시행동형은 체육수업 운영 및 내용, 체육교사 교수법, 체육수업 환경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체육교사 교수법과 중학생의 체육수업 몰입도 및 만족도의 관계에서 상관계수들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1보다 낮게 나타나 판별타당성이 입증되었다. 관련 변인간의 상관관계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생들의 체육수업 몰입도가 만족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 목적적 경험과 수업 내용에 대한 몰두는 체육수업 운영 및 내용, 체육교사 및 교수법, 체육수업 환경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 행동과 의식의 일치는 체육교사 및 교수법에 유의한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체육교사의 교수법은 중학생의 체육수업에 대한 몰입도와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체육교사는 교사중심의 일방적인 수업방식이 아닌 학생들의 특성과 수업 상황, 환경에 맞는 다양한 교수방법을 수업에 적용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교사의 노력은 질 높은 수업을 가능하게 하고, 이를 통해 학생들의 체육수업 몰입도와 만족도를 높이는 효과를 가져 올 것이라 생각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