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3 Download: 0

GI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이 중학교 3학년의 세계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

Title
GI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이 중학교 3학년의 세계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a Sustainable design Classes Applying the GI model on the Global citizenship of Students in the third year of Middle school
Authors
현민정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효정
Abstract
Today we live in a world that faces series of international crisis formed by combinations of various environmental, societal, and cultural causes. World issues such as environmental pollution, human rights, famine and a long list of others, are viewed and dealt with by diverse views, which make them complicated for a single nation to solve. To solve such issues which require collaborative efforts from people all around the world, it is important to make individuals think of themselves as a world's citizen (and not merely a citizen of a nation), and develop their sense of 'global citizenship' which cultivates their responsibility and critical mind towards global issues. Along with the concept of 'global citizenship', 'sustainable development' is an effort to search for resolutions to global issues in an international manner, and it is an international objective being researched and discussed extensively under the leading role of UN. 'Sustainable development' urges every nation to pour effort into fundamentally resolving environmental, societal, cultural, and economical global issues by classifying them in a detailed manner and applying integrative solutions. Thus, the goals that are being set by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which is constantly rising as one of the essential values of 21st century) are unachievable by the effort of only one nation but requires in-depth collaboration and dependence in between multiple nations. Such a global trend is influencing diverse nations' education, which is responsible for raising future talents. Amendments of Korean educational policies in 2009 and 2015 clearly states the values one needs as a global citizen. For a learner to obtain the right point of views towards global issues as a global citizen, it is important to put emphasis on positive collaborative efforts and sense of communal identity than competitiveness which is prevalent throughout our society. Such values can be more easily achieved by utilizing cooperative learning models, which base themselves to positive interdependence of different members, and their importance is being increasingly emphasized over time. There is an extensive approach in utilizing cooperative education for enhancing the sense of global citizenship in collaboration with curricula such as environmental studies, social studies and others. However, efforts in connecting and developing cooperative education with art curriculum is still scarce and the demand for such is rising. Thus,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sustainable product design class by applying the GI Cooperative Model which maximizes the freedom and discretion of the students, and examine the effects of the class on the students' sense of global citizenship. The class was planned out to direct students to come up with solutions to global matters and ultimately achieve a higher objective of the class. Through such sessions, students were guided to not only concentrate on their subgroups' objectives but to learn about the joint objective of the whole class and to achieve it by cooperation rather than competition. It was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that the freedom, democratic decision-making process and interdependence of the students while accomplishing the assignments in this GI Cooperative Educational Model-based clas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in enhancing their sense of global citizenship, and therefore, the class was designed accordingly. To summarize, this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ustainable product design class applying the GI Cooperative Model on the students' sense of global citizenship. The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analyz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es related to concepts such as 'sustainable development', 'global citizenship', and 'cooperative learning model', we studied the possible correlation between the concepts and considered the need to study them. Second of all, by analyzing the 2009 amendment of korean educational policy, we discussed the need for a 'GI Model-based sustainable design class' and developed an educational tool from such basis. Third of all, we selected two classes (66 students) of third grade students in S Middle School of Yongin City, Kyeonggi Province, and divided them into an experimental and a control group. A revised version (revision by Sung Jae-Do in 2015) of 'A Questionnaire on the Factual Research of Teenagers' Qualification on Global Citizenship' by Research Center for Adolescents of Korea(2003) was used to examine the degree of equivalence in between the groups prior to the experiment. Fourth of all, we gave 6 sessions of experimental classes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GI Model-based sustainable design class'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of 33 students, and the 'traditional small-group art class' to the control group of 33 students. Finally, a post examination of the sense of global citizenship in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was conducted, and the data went thorugh comparative analysis via the use of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19.0 statistical software. The results went under quality assessment to draw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The result of implementing the class sessions is as follows. First, when we look at the post-experiment results of both groups, we can see that the sense of global citizenship in the experimental group has enhanced far more than the control group's. Second of all, in most sub categories related to the sense of global citizenship,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significant enhancement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Especially, for the cognitive category, 'comprehension of global issues'; in value category, 'love for mankind'; in attitude category, '(international) social participation'; and in function category, 'higher order thinking' it was apparent that the experimental group enhanced far more than the control group. Third of all, as the result of the post-experimental 'global citizenship' analysis show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especially in sub-categories such as 'comprehension of global issues', 'understanding of the alternative solutions for problem solving' of the cognitive category; and '(international) social participation', and 'higher order thinking' sub-category of the attitude category. Fourth of all, through quality assessment of the resulting assignments of the students, it was shown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generally acquired a better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counterparts. Finally, according to the attitude assessment criteria, the experimental group concentrated more in class than the control group. To sum up the overall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shown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e applied the GI cooperative educational model as the variabl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nhancement in both the overall categories and the sub-categories of global citizenship.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raw the conclusion that the GI Model-based sustainable design class positively affects the development of learner's sense of global citizenship.;현재 우리 사회는 환경, 사회, 문화 등 여러 분야에서 야기된 심각한 국제적 문제들을 대면하고 있다. 환경오염, 인권문제, 빈곤, 기아 등의 세계문제는 다양한 관점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단일 국가의 노력만으로는 해결이 불가능하다. 세계 구성원 공동의 노력이 요구되는 세계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개인을 개별 국가의 시민을 넘어 더 넓은 세계의 시민으로 인식하고, 책임감과 문제의식을 가지게 하는 태도인 ‘세계시민의식’의 함양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세계시민의식과 맥락을 같이 하는 ‘지속가능발전’은 세계문제에 대한 범국가적 접근을 통해 해결을 모색하려는 노력으로, UN(United Nations)의 주도하에 국제적 목표로 선정되어 꾸준히 논의되고 있는 개념이다. 지속가능발전에서는 환경적,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분야의 세계문제를 세부적으로 분류하고 이에 대한 통합적 접근을 바탕으로 모든 국가가 근본적 해결을 위한 노력을 기울일 것을 촉구하고 있다. 이렇듯 21세기의 주요한 가치로 대두되는 지속가능발전에서 제시하는 목표는 한 국가의 노력만으로는 성취가 불가능하며 국가 간의 면밀한 상호 협동과 의존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국제적 흐름은 미래 인재의 양성을 책임지는 각국의 학교 교육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우리나라 역시 2009개정 교육과정과 2015개정 교육과정에 세계시민으로서 갖춰야 할 덕목을 명시하고 있다. 학습자가 세계시민으로서 세계적 이슈들에 대해 인지하고 올바른 태도를 갖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현재 사회에 만연한 경쟁의식이 아닌 긍정적인 협동능력과 공동체의식의 함양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가치는 구성원 간의 긍정적인 상호의존성을 바탕으로 하는 협동학습 모형을 통해 성취가 용이하며, 학교 교육에서도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세계시민의식의 함양을 위한 협동 교육은 환경, 사회 등의 교과와 연계해 다양한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여전히 미술 교과에서의 연계 및 프로그램 개발 등은 미비한 실정이며 다양한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자율성과 결정권을 최대한 보장하는 GI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지속가능한 제품 디자인 수업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학습자의 세계시민의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학습자는 제시된 실질적 세계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모색하며 결과적으로 학급 전체의 상위목표를 성취할 수 있도록 수업을 계획하였으며 이를 통해 개별 모둠의 목표 뿐 아니라 전체가 추구하는 공동의 목표에 대해 인식하고 경쟁이 아닌 협력의 태도를 함양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때 GI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업에서 학습자가 가지는 자율성과 민주적 결정권 및 상호의존성을 통해 주도적으로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세계시민의식을 함양시키는 데 효과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고 연구를 설계하였다. 정리하자면 본 연구는 GI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이 학습자의 세계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한 연구방법과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가능발전과 세계시민의식 및 협동학습모형에 대한 국내와 국외 문헌의 연구를 통해 해당 개념들이 가지는 연계성 및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둘째, 2009개정 중학교 미술교육과정의 분석을 통해 GI협동학습을 적용한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의 필요성에 대해 고찰하고 수업도구를 개발하였다. 셋째, 연구의 대상으로 경기도 용인시 소재의 S중학교 3학년 2개 학급 66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하고, 한국청소년개발원(2003)이 개발하고 도성제(2015)가 재구성한‘청소년 세계시민 자질에 관한 실태조사 설문지’를 활용해 세계시민의식에 대한 사전 동질성 검사를 통해 집단 간 동질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넷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6차시에 걸친 실험수업을 진행하였다. 이 때 실험집단에는 GI협동학습을 적용한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을, 통제집단에는 전통적 소집단 학습방식을 적용한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을 적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세계시민의식에 대한 사후검사를 진행한 뒤,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19.0 프로그램을 통해 비교분석하고 결과물에 대한 질적 평가를 통해 연구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수업처치 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별 사후 검사 결과를 볼 때, 실험집단의 세계시민의식이 통제집단의 세계시민보다 크게 향상된 점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세계시민의식의 하위 항목 전반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냈으며, 인지 영역에서는 국제적 이슈 이해, 가치 영역에서는 인류애, 태도 영역에서는 (국제)사회 참여, 기능 영역에서는 고등 사고력 항목에서 특히 높은 향상을 보였다. 셋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세계시민의식 사후 검사 비교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특히 인지영역의 국제적 이슈 이해, 문제해결을 위한 대안이해, 태도영역의 (국제)사회참여, 고등사고력 부분에서 통제집단과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실기 결과물의 질적 평가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전반적으로 우수한 점수를 받았다. 다섯째, 태도평가 기준에 비추어볼 때,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수업에 대한 높은 집중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볼 때, 변인인 GI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세계시민의식에서 전체 영역과 항목의 사후 검사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GI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이 학습자의 세계시민의식을 함양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