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5 Download: 0

퍼스널 컬러 시스템을 통한 색채미술수업이 학습자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Title
퍼스널 컬러 시스템을 통한 색채미술수업이 학습자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Color Art Lesson on the Self-Esteem of Learners through the Personal Color System : Focused on the Second Grade of High School
Authors
고보경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남시
Abstract
In the modern age, as interest in visual media has increased, interest in respect of color recognized through the eyes has increased. These colors are not only utilized in various design fields, but also become as a tool to express personal characteristics. As the importance of color has been emphasized, many researches have been done and focused on the personal color. Through the interest of the aesthetic effect of color among the psychological functions of color, the personal color, which reveals individual’s charm as a harmonious color, is recognized as important. Therefore, it is a learning to make the life with various colors by knowing an overall importance on colors and using the study of colors to increase the interest of the individual and to apply the color in his and her life. However, in today's art education, color education is not considered as important. In textbooks of art education, it appears only briefly in the sub-department or as an element of learning.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or art education in the present curriculum, it can be seen that the content of color education is centered on the basic color theory and still follows the traditional color art education. Moreover, in most textbooks, color learning has a limited understanding of color, less number of color education activities, and lack of artistic activities of origin. Furthermore, in the case of the older learners, there was less opportunity for lessons related to color, so they lacked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express. In this situation, researchers' research on color learning has had limitations. As a result of the previous studies,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studies on color education were based on children, and that they did not suggest various teaching methods related to color.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the researcher felt the need for new color education for senior students. Therefore, the motivation for this study is to develop a rich sense of color by using various methods of color education, and to suggest a teaching method which is applicable to real life. In this context, the importance of color learning through the personal color has the following learning effect. First of all,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interest of color to individuals. Second, it allows individuals to apply the personal color to express their charm while discovering colors in their lives. Lastly, it has the effect of enhancing self-esteem by express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with rich col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lor art education on the students' self - esteem by developing color art education through the personal color system for the second year students of high school. The personal color is not only used in the fashion or beauty area, but it can help pedagogically stimulate the learner's motivation and necessary emotional intelligence (Jung, Se-yeon, 2015). Based on this study, the order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theoretical study was made to suggest a method to introduce the personal color in color art class. Through this, I examined the necessity of color art education through the personal color system. After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 color and self - esteem, the lesson was designed and based on analyzing the color domain in the curriculum of textbook.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 classes of the second grade of J woman high school in Seoul, where the homogeneity was confirmed. A total of 64 learn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class and each of 32 students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the experiment group, the color art education was conducted through the personal color system. In the control group, the color class was taught through the color theory which is covered in the textbook. Experimental lessons were conducted 6 times from November to December 2016 for 3 weeks. Comparisons of self-esteem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between the groups were verified by pre-test and post-test, respectively. The self - esteem test was conducted by Choi, Bo-Ga and Jeon Gwee-Yeon (1993).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efore and after statistical analysis using SPSS Ver. 21.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The results of the test were evaluated along with the results of the tests and the effects of this study were verif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lor art education through the personal color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self - esteem in the second grade of high school. In the present study, the self-esteem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post-test, and the control group showed a meaningless level of difference, so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higher rate of increase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a learner who learns the personal color system could find out own color through the process knowing what the personal color is. Moreover, by expressing own image positively, it verified to be helpful to establish self-esteem of adolescence. Third, through the satisfaction test, it was foun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positive evaluation of interest,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of color. As a result, it was shown that the application of the personal color system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the learners of adolescents for the diversity of color art lessons. Especially,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self-esteem is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that the color lesson of the second grade of high school improved the self - esteem of learners. From now on, I hope that various color educations to improve an important self - esteem in the youth period have to be applied in a real life and a lecture. Furthermore, I also look forward to developing the instructional method of the color education which is able to bring the interest of the learner.;현대 사회에서 시각매체에 대한 관심이 증가됨에 따라, 눈을 통해 인식하는 색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러한 색채는 다양한 디자인 분야에서 활용될 뿐만 아니라 개인의 특징을 살려 표현할 수 있게 해주는 하나의 도구가 되었다. 색채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그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면서 색채의 심리적 기능 중 색채의 미적 효과에 대한 관심으로 개인의 고유한 매력을 조화로운 색채로써 드러내주는 퍼스널 컬러(Personal Color)가 중요하게 인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흐름을 알고 이를 활용한 색채학습은 개인의 흥미를 높이며 자신의 삶 속의 색채를 알고 적용할 수 있게 하여 학습자에게 풍부한 색이 입혀진 삶을 만들어주는 학습이라 본다. 오늘날의 색채교육은 미술교육에서 크게 부각되지 못하고 있다. 미술교과서에서 색채교육은 소단원에서 간략하게 제시되거나 학습의 한 요소 정도로만 나타나고 있다. 현 교육과정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색채미술교육을 분석한 결과, 색채교육에 대한 내용이 기본적인 색채이론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고, 아직까지도 전통적 색채미술 교육을 답습하고 있다는 사실을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색채학습은 색채에 대한 이해가 한정적이고, 활동의 수가 적으며, 활동지 또한 제공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게다가 고학년인 학습자들은 색채에 대한 수업의 기회가 적었기 때문에, 색채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이 결여되어 있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색채 학습 연구들도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선행연구들을 살펴본 결과, 색채교육은 아동을 연구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며, 색채에 관련한 다양한 수업방법이 나타나지 않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자는 고학년을 대상으로 한 새로운 색채 교육의 필요성을 느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동기는 색채교육을 통해 풍부한 색채 감각을 기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무엇보다도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교육방법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퍼스널 컬러를 통한 색채학습의 중요성은 다음과 같은 학습 효과가 있다고 본다. 우선, 개인들에게는 색채에 관한 흥미를 높일 수 있고 둘째, 개인들이 자신의 삶 속의 색채를 발견하면서 자신의 매력을 표현하는데 퍼스널 컬러를 응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셋째, 풍부한 색이 입혀진 개개인의 독특성을 표현함으로써 자아존중감을 고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퍼스널 컬러 시스템을 통한 색채미술교육을 개발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해 봄으로써 학습자들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퍼스널 컬러는 패션이나 미용영역에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교육학적으로 학습자의 동기부여와 필요한 정서지능 발달에 도움이 될 수 있다(정세연, 2015).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순서를 살펴보면, 우선 색채미술 수업에 퍼스널 컬러를 도입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이를 통하여 퍼스널 컬러 시스템을 통한 색채미술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고 퍼스널 컬러와 자아존중감, 이 두 가지의 관계를 살펴본 후, 수업 설계는 교육과정의 교과서 내의 색채 영역을 분석한 것에 근간하여 구체적으로 작성했다. 연구대상은 동질성이 확인된 서울시에 소재한 J여자고등학교 2학년 2개 학급이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여 각 32명씩 총 64명의 학습자가 연구수업에 참여하였다. 실험집단의 학급은 퍼스널 컬러 시스템을 통한 색채미술교육을 진행하였으며, 나머지 통제집단의 학급에서는 교과서에서 다루어지는 색 이론을 통한 일반적인 색채수업을 진행하였다. 실험수업은 2016년 11월부터 12월까지 3주 기간 동안 총 6차시에 걸쳐 실시되었다. 집단 간의 실험 전·후의 자아존중감의 비교는 각각 사전·사후검사를 통해서 검증을 했다. 자아존중감 검사지는 최보가·전귀연(1993)이 개발한 검사지를 사용하였으며, 통계분석은 SPSS Ver 21.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 전·후를 분석하였다. 검사결과와 함께 수업결과물 평가를 실시하여 본 연구의 효과를 검증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퍼스널 컬러를 통한 색채미술교육이 고등학교 2학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실험집단의 자아존중감 검사 점수가 사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통제집단에서는 무의미한 수준의 차이가 나타남으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서 높은 상승률이 나타났다. 둘째, 퍼스널 컬러 시스템을 학습한 학습자는 자신의 퍼스널 컬러를 찾는 과정을 통해서 자신에게 어울리는 색채를 발견하게 되고 자신의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표현할 수 있게 됨으로써 청소년 시기의 자아존중감 확립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셋째, 만족도 검사를 통해 실험집단이 색에 대한 흥미, 이해, 만족도에서 긍정적인 평가가 나왔음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색채미술수업의 다양성을 위해서 퍼스널 컬러 시스템의 적용이 청소년기의 학습자에게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시할 수 있었으며, 특히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자아존중감이 크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색채수업을 통한 학습자들의 자아존중감을 높여주었다는 데 의의를 갖는다. 앞으로 학습자의 흥미를 이끌어내는 색채교육에 대한 교육방법이 연구되어 청소년 시기에 중요한 자아존중감을 높여줄 수 있는 다양한 색채교육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