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7 Download: 0

Gendering Contemporary South Korea

Title
Gendering Contemporary South Korea
Authors
Chiang, Phoebe T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Kyong-Mi D. Kwon (권경미)
Abstract
Contemporary Korean masculinity has been previously portrayed through prominent entertainers in South Korea's dominant popular culture such as KPOP, Korean dramas, and Korean movies in the early 2000s. Through the examples portrayed by popular Korean culture, three types of masculinity have been put on display for native as well as global consumption. The first model was the projection of soft masculinity, the second of postmodern masculinity, and the third of a non-national hybrid masculinity that mixed Western-pop masculinity with Korean masculinity. However, the appeal of hip-hop as a music style and culture has increased due to the socioeconomic issues in South Korea to the younger generation that is in search of an escape. The growth of interest in hip-hop in turn leads to public interest in the Korean hip-hop scene in different ideas of masculinity, formerly unfamiliar to Koreans are portrayed. The rappers in the 'underground' scene especially flaunt the concepts of the 'underground' and the ideas of black masculinity tied to it. Whether it is the ideas of swag, realness, authenticity, or thug life, the core concepts of black masculinity have become glocalized into the Korean hip-hop scene. The artists do not simply reproduce black masculinity in their music, image, and speech, but also combine it with existing Korean notions of masculinity, creating a new hybridity. This paper studies the current formation of hybrid masculinity in Korea's 'underground' hip-hop scene.;2000년대 초부터 현대 한국 남성성은 한국대중문화 (케이팝, 드라마, 영화)를 통하여 묘사되어 왔다. 이러한 매체를 통해 국내-외에서 동시로 소비되고 있는 한국대중문화는 세 가지의 남성성을 제시한다. 첫번째 모델은 온유한 (soft) 남성성을 투영하고, 두번째 모델은 포스트모던 남성성을 전시한다. 세번째의 모델은 서양 대중문화적 남성성과 한국적 남성성이 혼합되어 무국적인 일명 혼성 남성성을 투영한다. 그러나 한국의 사회경제적인 요인으로 인해 현실 도피의 대상을 찾기 시작한 청소년들에게는 힙합 문화와 음악이 더욱 강한 호소력을 지닌다. 힙합에 대해 관심이 생긴 개개인은 언더그라운드 씬에서 형성된 생소한 남성성에 노출된다. 특히 언더그라운드 씬의 랩퍼들은 언더그라운드의 개념과 흑인 남성성의 개념을 과시한다. 스웩, 진정성, 정통성, 혹은 갱스터의 생활 방식("thug life") 등 흑인 남성성의 핵심 개념들은 한국 힙합 씬에 현지화되고 있다. 아티스트들은 단순히 자신들의 음악, 이미지 그리고 화법을 통해 흑인 남성성을 복제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한국적인 남성성과 결합시켜 새로운 혼성 남성성을 제시한다. 이 논문은 현재 한국 언더그라운 힙합씬의 혼성 남성성의 형성을 연구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