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6 Download: 0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관형격조사 '의' 습득 연구

Title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관형격조사 '의' 습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acquisition of Adnominal case marker 'ui' of Chinese learners
Authors
전혜민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선희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관형격조사 '의'의 형태‧통사적, 의미적 조건을 구분하고 이를 중국어와 대조하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관형격조사 '의' 습득 양상을 고찰하는 데 있다. 관형격조사 '의'에 주목하게 된 것은 '의'에 존재하는 다양한 형태‧통사적, 의미적 맥락과 이에 따른 필수적 실현, 수의적 실현, 비실현을 제2언어 한국어 학습자들이 이해하고 이를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어렵다고 예상했기 때문이다. 또한 한국어와 중국어가 갖는 유형론적인 차이와 '의'의 중국어 대응 표현 '的'가 갖는 분포적 공통점과 차이로 인해 다양한 중간언어적 현상을 관찰하기에 적합하다고 판단했다. 먼저 Ⅰ장에서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의' 습득에 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연구 문제를 도출하였다. 본고의 연구 문제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관형격조사 '의' 사용 양상은 한국어 모어화자와 비교했을 때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이다. Ⅱ장에서는 '의' 분포에 관여하는 한국어 명사구 구성의 형태‧통사적, 의미적 특성과 중국어 '的'의 통사‧의미적 특성으로 나누어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의'에는 형태‧통사적, 의미적 조건에 따른 분포의 차이가 있음을 밝히고, 중국어 대응 표현 '的'와의 대조를 통해 '의' 습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모어 요인에 대해 검토하였다. '의'의 필수적 실현 환경의 형태‧통사적 조건에는 '논항구성: 동작주역(확장된 명사구)', '조사 결합 구조', '수량명사구-명사구'가 있으며 의미적 조건에는 '추상명사구 결합', '사물-위치‧장소', '제작자-제작물'이 있다. 수의적 실현 환경의 형태‧통사적 조건에는 '논항구성: 동작주역(타동성 서술명사)', '논항구성: 대상역(타동성 서술명사)', '논항구성: 동작주역(자동성 서술명사)'가 있으며, 의미적 조건에는 '집합 관계1: 소유주-피소유물', '집합 관계2: 전체-부분', '시간‧방위명사구 결합'이 있다. 마지막으로 비실현의 형태‧통사적 조건으로 '명사구-수량명사구', '동격구성', '합성어'가 있다. Ⅲ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통해 도출한 '의'의 형태‧통사적, 의미적 조건과 중국어 '的'가 이질적인 분포를 보인 항목들을 포함한 언어 맥락적 조건들을 바탕으로 문법성 판단 도구를 개발하였다. 실험은 수도권에 거주하는 한국어 모어화자 23명, 수도권에 위치하는 대학 및 대학 부속 언어 기관에 재학 중인 중국인 학습자 중 중급 학습자 20명, 고급 학습자 20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진행하였다. Ⅳ장에서는 한국어 모어화자와 중국인 중‧고급 학습자의 문법성 판단에 대한 평균 점수를 비교한 결과를 실현 환경에 따라 필수적 실현, 수의적 실현, 비실현으로 나누어 기술하였다. 첫째, 의무 맥락인 필수적 실현과 비실현 조건에서 학습자들은 모어화자의 수준에 근접하지 못했으며, 학습자 집단 간 숙달도 변인이 존재했다. 필수적 실현 환경에서 고급 학습자는 '제작자-제작물'에서 습득이 가능했으나 그 외, '사물-위치', '사물-위치‧장소', '추상명사구', '조사 결합', '논항구성: 동작주(확장된 명사구)', '수량명사구-명사구'에서는 습득에 이르지 못했다. 중급 학습자는 필수적 실현의 모든 하위 맥락에서 '의'를 습득하지 못했다. 비실현 맥락에서 고급 학습자는 '명사구-수량명사구'> '동격구성'>'합성어'순으로 높은 정답률을 보이며 모든 하위 맥락을 습득했다. 반면 중급 학습자는 '명사구-수량명사구'>'합성어'>'동격구성'순으로 정답률을 보이며 모든 맥락에서 습득에 도달하지 못했다. 둘째, 학습자들은 필수적 실현 맥락의 형태‧통사적 조건에서 모어화자의 사용 양상과 큰 차이를 보였고, 의미적 조건 맥락에서는 모어화자의 수준에 근접해 가는 양상을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형태‧통사적 조건과 의미적 조건 가운데 모어화자의 수준에 접근이 가능한 것은 의미적 조건인 '제작자-제작물' 1개 맥락에 불과했으며, 형태‧통사적 조건은 모어화자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수의적 환경의 경우, 학습자와 모어화자의 '의' 사용의 차이는 형태‧통사적 조건과 의미적 조건에서 그 양상을 달리했다. 모어화자는 수의적 환경의 6개 맥락 가운데 '논항구성: 동작주역(타동성 서술명사)', '논항구성: 동작주역(자동성 서술명사)', '집합 관계1: 소유주-피소유물' 3개 맥락에서 조사 실현형을 선호하였고 '논항구성: 대상역', '집합 관계2:전체-부분', '시간‧방위 명사구 결합' 3개 맥락에서 비실현형을 선호하였다. 학습자 집단은 '논항구성: 동작주역(타동성 서술명사)', '논항구성: 대상역', '논항구성: 동작주역(자동성 서술명사)', '집합 관계1: 소유주-피소유물'에서 조사 실현형을 선호하였고, '집합 관계1: 전체-부분', '시간‧방위 명사구 결합'에서는 비실현형을 선호하였다. 모어화자와 학습자 집단 간에 차이가 나타난 항목은 '논항구성: 대상역' 1개 맥락이었다. 그러나 모어화자는 실현형과 비실현형을 선택한 비율이 큰 차이를 보이며, 하위 맥락에 따라 조사 실현에 대한 선호도가 뚜렷하게 나타났지만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실현형과 비실현형을 유사한 비율로 선택해 모어화자만큼 경향성을 뚜렷하게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에서 명시적으로 교수‧학습되고 있지 않은 관형격조사 '의'의 실현과 비실현에 관여하는 형태‧통사적, 의미적 특성을 밝히고, 이에 따른 학습자의 습득 양상을 관찰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조사 '의'의 다양한 의미 관계 및 기능에 대해 교수하고 학습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밝혔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fferentiate the morphologic, syntactic and semantic conditions of adnominal marker 'ui' and to contrast this with Chinese to explore the acquisition of the adnominal marker 'ui' in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The reason for reviewing the adnominal marker 'ui' is because it was anticipated that it would be difficult for th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s second language to understand and appropriately utilize the morphologic, syntactic and semantic contexts and the following obligatory occurrence, voluntary occurrence and non-occurrence. Also, due to the typological differences of Korean language and Chinese language, and the distributional common characteristics and the differences of '的', the Chinese equivalent of 'ui', it was considered to be appropriate for observing various interlanguage phenomena. First, in Chapter I, the purpose and the necessity of the study was clarified, and the prior studies on the acquisition of 'ui' was reviewed to induce research problems. The study problem of this paper is what differences the usages of adnominal marker 'ui' the Chinese learner of Korean language shows in comparison with Korean native language speaker. In Chapter II, the theoretical background was considered by dividing the composition of the Korean noun phrase taking part in the distribution of 'ui' in morphologic, syntactic and semantic conditions and the L1 factors that may influence the acquisition of 'ui' was reviewed in contrast with the Chinese equivalent expression '的'. In the morphologic and syntactic conditions of the obligatory occurrence environment of 'ui', there are 'argument structure: agent (extended noun phrase)', 'postposition combination structure', 'quantitative noun phrase-noun phrase', and in the semantic conditions, there are 'combination of abstract noun phrases', 'object-location/place', and 'producer-product'. The morphological‧syntactic conditions of voluntary occurrence environment include 'argument structure: agent(transitivity predicate noun)', 'argument structure: theme(transitivity predicate noun)', 'argument structure: agent(intransitivity predicate noun)', and the semantic conditions include 'Possessor-Possession', 'Whole-Part', and 'Time-Direction noun phrase combination'. Lastly, as the morphological‧syntactic condition of non-occurrence, there are 'noun phrase-number noun phrase', 'apposition composition', and 'compound words'. Chapter III developed the grammatical judgment tool based on the morphological‧syntactic and semantic conditions of 'ui' deducted through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linguistic contextual conditions including the items in which the Chinese '的' showed heterogeneous distributio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the 23 L1 speakers of Korean residing in the metropolitan area, 20 Chinese learners and intermediate learners and 20 advanced learners studying in universities and universities' language institutions in metropolitan area. Chapter IV describes the comparison of the average scores of Korean native speakers and Chinese intermediate‧advanced learners in obligatory occurrence, voluntary occurrence and non-occurrence. Firstly, in obligatory occurrence and non-occurrence conditions, the obligated context, the learners were not close to the level of native speakers, and there was the proficiency factor among the learner groups. In the obligatory occurrence environment, the advanced learners only could acquire in 'producer-product'. In the intermediate learners,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was 75% or lower that 'ui' was not acquired. In the non-occurrence context, the advanced learners showed high correct answer rate in all lower context. However, the intermediate learners showed correct answer rate, not reaching acquisition in all contexts. Secondly, learners showed much differences with the usages of the native speaker in morphologic‧syntactic conditions of obligatory occurrence context, and in semantic condition context, they showed being closer to the level of native speakers. Thirdly, in case of the voluntary occurrence environment, the different of usage of 'ui' in the learner and the native speakers was different in the morphologic‧syntactic conditions and semantic condition. The item showing difference between the native speakers and the learner group was one context of 'argument structure: theme'. However, the native speaker showed the difference of the proportion of people choosing realization form and non-occurrence form being high, and though the native speakers showed certain preference for postposition realization, the Chinese learner of Korean language selected realization form and non-occurrence form in similar proportion, not showing clear preference as the native speaker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has observed the morphologic‧syntactic, semantic characteristics intervening in the realization of the adnominal case marker 'ui' not explicitly instructed and learned in Korean education, It was revealed in this paper that there is the necessity to instruct and learn the various semantic relationships and functions of the postposition 'ui'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