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7 Download: 0

발표 담화에 나타난 캄보디아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응결 장치 사용 연구

Title
발표 담화에 나타난 캄보디아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응결 장치 사용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use of cohesive devise in the presentation discourses of advanced Cambodian learners of Korean
Authors
송효숙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해영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캄보디아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발표 담화에서의 응결 장치 사용 양상을 분석하여 캄보디아인 한국어 학습자 대상 말하기 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시사점을 찾는 데 있다. 본 연구는‘문법적 응결 장치’와‘어휘적 응결 장치’를 통해 캄보디아인 한국어 학습자의 응결 장치 사용 양상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캄보디아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의 동일한 주제의 발표 담화를 전사하여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캄보디아인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 두 집단으로 나누어 두 집단 간의 사용 양상을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구성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 목적을 밝히고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의 발표 담화 연구, 응결 장치 사용 연구를 검토하였다. 지금까지 발표 담화 연구는 담화표지에 치우쳐서 논의되고 있고, 응결 장치 연구 역시 문어 텍스트의 응결 장치 사용 양상 연구가 구어 텍스트 응결 장치 사용 양상 연구보다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상태이다. 응결 장치는 각 언어권마다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특정 언어권 학습자를 한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캄보디아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자체가 드물 뿐만 아니라 많은 연구가 대조언어학의 관점에서 이루어진 문법 연구로 담화 분석 연구는 문법 연구에 비해 부족한 실정이다. Ⅱ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발표 담화의 특징, 텍스트성과 응결 장치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Ⅲ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 방법을 구상하고 캄보디아 고급 한국어 학습자들의 응결 장치 사용을 관찰하기 위한 실험 도구를 마련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한국 소재 대학원에서 유학 중인 캄보디아인 고급 학습자로 TOPIK 5급 이상 소지한 자로 선정하였다. 한국어 모어 화자 역시 국어국문과나 한국어교육을 전공한 학위 소지자로, 서울, 경기 지역에 거주한 자로 한정하였다. 두 집단에게 모두 동일한 주제를 제시하여 발표 담화를 녹취 후 전사하여 수집된 자료를 문법적 응결 장치인 지시와 접속, 어휘적 응결 장치의 세 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Ⅳ장에서는 앞서 분석한 캄보디아 고급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의 응결 장치 사용 양상을 보았다. 먼저 1인당 문장 수, 어절 수, 응결 장치 사용 빈도를 살피고, 세부적으로 집단별 응결 장치 사용 빈도와 응결 장치 기능별로 사용 빈도를 보고, 마지막으로 응결 장치 사용에 있어 두 집단이 어떠한 표현을 사용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Ⅴ장에서는 응결 장치 사용 양상 결과를 바탕으로 캄보디아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구어 텍스트 응결 장치 사용 양상을 연구했다는 데 일차적인 의의를 갖는다. 이와 더불어 캄보디아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담화 연구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그러나 연구 참여자의 수가 적어 이 결과를 일반화하기는 어렵다는 한계를 가진다.;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aspects of the use of cohesive devices in the presentation discourses of advanced Cambodian learners of Korean and to find implications utilizable in the speaking education for Cambodian learners of Korean. This study would explain three cohesive devices of ‘grammatical cohesion and lexical cohesion’ in Cambodian learners of Korean. For this purpose, discourses of presentation on the same topic by advanced Cambodian learners of Korean and Korean native speakers were transcribed and collected. Dividing the research participants into two groups, Cambodian learners and Korean native speakers,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aspects of the use between the two groups with the collected data. The configuration and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hapter I revealed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study and reviewed studies on presentation discourses and the use of cohesive devices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ill now, research on presentation has been discussed in inclination to discourse markers, and also in research on cohesive devices, too, research on the aspects of the use of cohesive devices of written text is conducted more actively than research on the aspects of the use of cohesive devices of spoken text. Since cohesive devices have characteristics in each language space,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with learners in a specific language space.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with Cambodian learners, and many studies are research on grammar achieved from the perspective of Contrastive Linguistics while there are insufficient studies of discourse analysis as compared to research on grammar. Chapter II summarized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this study, including the characteristics of presentation discourses, textuality and cohesive devices. Chapter III designed the research methods of this study and prepared the experimental tools to observe the used of cohesive devices of advanced Cambodian learners of Korean. Research participants were advanced Cambodian learners studying in a graduate school located in Korea, those holding TOPIK Level 5. Korean native speakers were the holders of a degree i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or Korean Education,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The same topic was presented to the two groups; their presentation discourse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and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dividing them into three, reference, conjunction and lexical cohesion. Chapter IV examined the aspects of the use of cohesive devices between advanced Cambodian learners of Korean and Korean native speakers previously analyzed.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number of sentences, the number of phrases and the frequency of the use of cohesive devices per person, examined the frequency of use of cohesive devices by group and by the function of the cohesive devices in detail and lastly, investigated the two groups’ expressions in the use of cohesive devices. Chapter V presented the implications that could be utiliz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Cambodian learners of Korean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aspects of the use of cohesive devices. This study has a primary significance that it investigated the aspects of the use of spoken text cohesive devices. Along with this, this study has a meaning that it is research on discourses with Cambodian learners of Korean. However, it has a limitation that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se findings since there are a small number of research participa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