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5 Download: 0

한국 문화 이해 교육을 위한 <국제시장> 활용 방안 연구

Title
한국 문화 이해 교육을 위한 <국제시장> 활용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use of movie in teaching Korean culture understanding education
Authors
김다인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훈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suggest a way to use the movie as a tool for understanding Korean culture. The number of foreigners living in Korea is increasing, and there is a corresponding need to make an understanding of the culture more accessible. In addition to this, there is a need on the Korean part to be able to understand and disseminate the 'Cultural Literacy', and this is essential in any society of people with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Currently, there are some studies about teaching foreigners Korean culture within studies of the Korean as Foreign language. Yet most of the methods remain cursory attempts at cultural education, since they are often overshadowed by the focus on lingual education. This is one of the reasons why the idea of using movies as a method of culture understanding and education has been suggested, especially outside the realm of language instruction. Movies are excellent reflections of societal value systems, and convey historical facts to us. Indirect experience of certain period of time is possible through viewing movies, and one can discover the aspects of individuals in history by empathizing with them. Familism in Korea has been transformed and fortified through the Korean war,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and became one of the essential values in understanding Korean culture. Being expanded into Quasi-familism, it has worked as one of the central principles of Korean society and culture. We can find some aspects of Korean people adapting themselves to the tectonic changes, through the movie’s historical incidents and behaviors of the main characters. It is also possible to comprehend cultural codes by discovering the course of development of Korean familism and value system. Some of the following are the historical facts and implications found in the movie , which are codes and elements contributing the current state of Korean culture, namely being that: the family unit worked as a safety net for most people during the Korean war; the lives of family members were of the highest priority; the role of women in wartime was outstanding; there was an eagerness to continue the education of talented individuals, even during the time of war, being supported by family members; many young women left home and worked at factories to support their family members; two well-know cases included the operation of coal mines in Germany and combating the Vietnam War; both of the aforementioned cases worked for many young Korean men as a means of escaping poverty; working hard to the family was perceived as the service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untry; TV programs like did help to shape the communal notion of "we" in the minds of Korean people; Korean "weness" is an extended form of familism, sharing at the time internal cohesion and strong hostility toward the outside; these elements contributed to the continuation of cultural mores to this day. This study neither covers every cultural phenomenon that can be found in the movie , nor does it suggest methods that can be readily applied to the actual process of education. However, the substantial value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understanding Korean culture can be made possible through the medium of movies. Finally, it is a call for more pragmatic methods and diverse plans for the edification of the public in the future regarding Korean culture.;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문화 이해교육을 위한 자료로 영화 <국제시장>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의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은 한국에 정착하며 살아가기 위해 한국 문화 이해에 대한 높은 요구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외부로부터의 수요뿐만 아니라, 오늘날 한국이 국제적으로 여러 분야에서 위상을 높이고 있는 이 시점에 우리는 우리의 문화를 스스로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는 '문화이해능력(Cultural Literacy)'을 지녀야 할 것이다. 또한 이는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함께 살아가는 환경에 필수적인 시대적 과제이기도 하다. 한국문화 교육 수요의 최전선에 서 있는 한국어교육에서 문화 교육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수요자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단편적인 문화 전달에 그치고 있다. 이는 언어 교육이라는 틀에서 진행되는 문화 교육이 갖는 근본적 한계라고 볼 수 있다. 이에 언어를 배제한 채 문화 이해를 교육하기 위한 방안으로 영화를 활용하는 방안을 고찰해 보았다. 영화는 사회와 가치관을 반영하는 영상물이며 역사적 사실을 전달하기도 하는 역사적 기록(historical documents)의 역할을 한다. 나아가 경험해 보지 못한 역사적 사실이 영화를 통해 재현됨으로써 역사의 현장을 간접적으로 체험하고, 영화 속 등장인물들의 행동에 공감함으로써 역사의 변화 속 개인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게 된다. 한국 문화 이해에 있어 필수적인 가치(value), 즉 가족주의(Familism)는 근대 국가 형성 후 겪은 6.25 전쟁, 급격한 도시화와 산업화 등을 통해 변형되고 강화되었다. 한국의 가족주의는 유사 가족주의(Quasi-Familism)로 확장되어 한국 사회와 문화의 중심 원리로 작동한다. <국제시장>에 배경으로 등장하는 역사적 사건과, 이를 겪어 나가는 주인공 덕수의 모습을 통해 격변하는 역사 속에서 적응하며 살아가는 한국인의 모습을 찾을 수 있다. 또한 그 과정에서 자리 잡게 된 한국인의 가치관과 한국의 가족주의의 형성과정을 살펴봄으로써 문화적 코드를 읽어낼 수 있다. <국제시장>을 통해 알 수 있는 한국의 역사와 문화적 코드는 다음과 같다. 제도적·국가적 안정망이 부재했던 6.25 전쟁에서 가족은 최소의 안전망으로 작용했으며, 모든 것을 파괴 시킨 전쟁의 폐허 속에서 가족의 생존을 위해 무슨 일이든 해냈다. 피난지에서는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는 여성의 역할이 두드러졌으며, 난리 중에도 교육을 통해 가족의 안정망을 확보하려는 교육열을 보인다. 이후에도 교육열은 이어져, 어려운 가정 형편 속에서 가장 공부를 잘 하는 자녀를 위해 다른 가족 구성원들은 돈을 버는 역할 분담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많은 여성들이 상경하여 여공이나 가정부가 되었으며 덕수는 파독 광부가 된다. 파독 광부는 개인적·가족적 차원뿐만이 아닌 국가적으로도 빈곤을 벗어나려는 염원을 담아 낸 결과물이었다. 이는 파독 광부뿐만 아니라 베트남 전쟁을 전쟁이 아닌 가난을 극복할 수 있는 기회로 여긴 것과 같은 맥락에 서 있다. 개인·가족·사회·국가가 하나가 되는 것은 경제적 수준에만 머물러 있지 않고 생활 전반에 퍼져 구체적인 행동 지침이 규정되기에 이른다. 결국 가족을 위해 개인은 열심히 일을 하고, 이는 곧 국가의 발전과 연결되었던 시대였다. <이산가족찾기> 방송을 시청하며 함께 슬퍼하고 감동하는 한국 국민들은, 같은 시대적 상황에서 힘든 시기를 겪어 온 가족 같은 감정을 공유하며 '우리'의식을 형성한다. 이에 한국의 '우리주의'는 '가족주의'의 확장성을 지니다. 이러한 '우리주의'는 강한 내부 결속성을 지니지만, 반대로 '우리'밖에는 강한 배타성을 보인다. 오늘날까지도 '고아 수출국'이라 불리는 한국이 그 모습을 증명한다. 본 연구는 그 외에도 <국제시장>을 통해 알 수 있는 문화 현상을 전부 다루지 못하고, 실제 교육에 바로 적용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지 못했다는 큰 한계를 지니나, 영화를 활용해 한국 문화를 이해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발견한 것에 의의를 두며, 앞으로 보다 실용적이고 다양한 한국문화 이해교육 방안이 마련되길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