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상근-
dc.contributor.author김민정-
dc.creator김민정-
dc.date.accessioned2018-04-04T11:57:17Z-
dc.date.available2018-04-04T11:57:17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846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8464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1601-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ffects of an international exchange program using a real-time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CMC) tool on Korean EFL high school students’ speaking proficiency and affective aspect. Another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hanges in students’ general understanding of English as an international language(EIL). For this study, twelve students of grade 1 and 2 participated in the speaking activities. The experiment was administered during two semesters of the 2016 academic year. Participants took a pre-speaking test and filled out two questionnaires in the first and second week of the study, and were required to complete a list of questions before starting a speaking activity which requires them to exchange their writings with Taiwanese students. The participants repeated the procedure of answering to a list of questions and doing speaking activities for 16 weeks. Including an extra survey, a post-speaking test and survey were conducted in the 19th and 20th week. The major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nglish learners made significant gains on speaking test and the improvement of speaking proficiency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to them. It was found that participants were able to acquire through practicing writing on the lists of questions and speaking. Second, both the high English proficiency group and the low proficiency group mad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accuracy, fluency, and complexity of speaking and the improvements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to both group. Third, the English learners made an improvement in attitudes toward English speaking, but the improvement was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Fourth, the English learners made an improvement in awareness to EIL, but the improvement was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Lastly, in the extra survey, the participants’ responses to the use of the CMC tool in participating an international exchange program were very positive. It was found that participants found themselves improved in their English proficiency. At the same time, they showed confidence in their English abilities and were motivated in studying English after practicing speaking with Taiwanese students. Overall, the experimental result indicates positive effects of an international exchange speaking program through a CMC tool on Korean EFL high school students’ speaking proficiency and affective aspect. Based thes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an international exchange program using a CMC tool would be an effective approach for high school learners in output poor EFL condition to enhance speaking ability and foster positive attitudes toward English speaking. Thus, it is recommended that an international exchange program using a CMC tool should be widely implemented in Korean high school classrooms in that it provides opportunities for practicing speaking with meaning contexts, and it also cultivates learners’ positive attitudes toward English speaking.;국제교류활동은 학습자 간 직접 혹은 간접적인 접촉을 통해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으로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을 신장시키고 말하기에 대한 정의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김소영, 2014; 박종란, 2012; 손기정, 2007; 손창훈, 2008). 국제교류활동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지만,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장기간 국제교류활동을 관찰하면서 영어 말하기 능력이 향상되고 말하기에 대한 정의적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는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고등학생 12명을 대상으로 16주간 국제교류활동을 실시하여 국제교류활동이 영어 말하기 능력과 말하기에 대한 정의적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으며, 더불어 국제어로서의 영어에 대한 인식도 함께 알아보고자 한다. 참가자 12명은 서울의 한 고등학교 동아리 1·2학년 학생들로, 2016학년도 두 학기 동안 대만 동급생들과 동시성(synchronous) 컴퓨터 매개 의사소통(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CMC) 도구를 활용하여 국제교류활동을 수행하였다. 교류활동은 양국 학생들이 특정 주제에 관한 영어 질문지를 사전에 개별적으로 작성한 후, 전자칠판 혹은 컴퓨터 화상을 통해 서로에게 질문을 묻고 답하는 식의 말하기 활동이었다. 한국의 동아리 학생들의 경우 매주 진행되는 학교 동아리 모임 시간을, 대만의 학급은 정규수업 시간을 이용하였으며 한 학기 당 네 차례씩 총 8차시에 걸쳐 활동을 진행하였다. 매 차시 말하기 활동 시간은 60분이었으며, 3~4인으로 구성된 3~4개의 모둠에게 약 15분의 말하기 시간이 제공되었다. 대만과의 모임이 없는 주에는 학생들로 하여금 영어 질문지에 대한 피드백을 담당교사로부터 자율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국제교류활동이 고등학생의 영어 말하기 능력, 말하기에 대한 정의적 태도, 그리고 국제어로서의 영어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말하기 능력 검사, 발화 전사 분석, 그리고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사전․사후 집단의 말하기 능력, 말하기에 대한 정의적 태도, 그리고 국제어로서의 영어에 대한 인식 변화를 분석하였다. 더불어 대만과의 국제교류활동에 대한 학습자들의 다양한 반응과 의견을 심도 있게 알아보기 위해 사후 심화 설문을 실시하였다. 16주간의 원격 국제교류활동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사후 말하기 능력 평가점수를 비교한 결과 사전에 비해 사후 말하기 능력 평가점수가 전반적으로 향상되었다. 학습자들은 영어 질문지에 대한 답을 사전에 작성하고 피드백을 받는 과정에서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표현하고 구성하는 연습을 통해 정확성과 복잡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실제 말하기 활동에서 유창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사전․사후 말하기 능력 평가에서의 상위 학습자와 하위 학습자 발화를 비교한 결과, 상․하위 학습자 모두 사전에 비해 사후 발화에서 오류가 없는 절(error-free clause)의 수과 AS-unit(analysis of speech unit: 발화 분석 단위)의 수가 증가하여 정확성(accuracy)과 유창성(fluency)이 향상되었다. 유일하게 하위 학습자의 발화 복잡성(complexity)은 감소하였는데, 이는 사전에 비해 사후 발화의 양이 많아져 새로운 종류의 단어가 비교적 덜 쓰였기 때문에 복잡성을 보여주는 어휘의 다양성인 TTR(type-token ratio: 타입 수를 토큰 수로 나눈 비율)이 낮아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국제교류활동이 말하기에 대한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사전․사후 설문 결과를 비교한 결과 말하기에 대한 흥미, 자신감, 태도, 그리고 학습 욕구 영역에 대한 점수가 사전에 비해 상승하였다. 이는 비원어민 화자인 대만 학생들과의 자유로운 상호작용 활동이 학습자의 영어 말하기에 대한 정의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국제교류활동이 국제어로서의 영어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사전․사후 설문 결과를 비교한 결과, 국제사회 공용어로서의 영어 인식과 한국식 영어에 대한 선호도 점수가 사전에 비해 상승하고 영미권 영어에 대한 선호도 점수가 사전에 비해 감소하여, 대만 학생들과의 교류 활동이 국제어로서의 영어에 대한 인식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사후 심화 설문 결과 대부분의 학습자들은 대만과의 국제교류활동이 영어 말하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으며, 이는 말하기 능력 평가점수와 전사 분석 결과와도 일치한다. 더불어 국제교류활동을 통해 자신감, 영어 학습 동기, 발음의 다양성 인식 등 영어에 대한 정의적 태도 및 인식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의 결과는 비원어민 화자인 대만 고등학생들과의 원격 국제교류활동이 한국 고등학생의 영어 말하기에 대한 정확성, 유창성 및 복잡성 향상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그 과정에서 말하기에 대한 정의적 태도 및 인식 향상에도 효과적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4 A. 이론적 배경 4 1. 국제교류활동 4 2. 동시성 CMC 기반 영어 학습 7 3. 국제어로서의 영어교육 10 B. 선행 연구 12 1. CMC를 활용한 국제교류 영어 학습 효과에 관한 연구 12 2. 국제어로서의 영어 인식에 관한 연구 17 Ⅲ. 연구 방법 21 A. 연구 질문 21 B. 연구 대상 21 C. 연구 자료 22 1. 국제교류 말하기 활동 자료 22 2. 사전·사후 말하기 능력 평가지 24 3. 사전·사후 말하기에 대한 정의적 태도 설문지 26 4. 사전·사후 국제어로서의 영어에 대한 인식 설문지 27 5. 사후 심화 설문지 28 D. 연구 절차 29 1. 실험 이전 절차 29 2. 실험 주요 활동 31 3. 실험 이후 절차 33 E. 연구 자료 분석 37 1. 말하기 능력 평가지 채점 37 2. 말하기 전사 분석 40 3. 정의적 태도 설문지 결과 분석 43 4. 국제어 인식 설문지 결과 분석 44 5. 심화 설문지 분석 44 6. 통계 분석 44 F. 연구의 제한점 45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47 A. 국제교류활동이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48 B. 사전·사후 말하기 발화 분석 49 1. 정확성의 측면 49 2. 유창성의 측면 52 3. 복잡성의 측면 55 C. 국제교류활동이 말하기에 대한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56 D. 국제교류활동이 국제어로서의 영어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59 E. 심화 설문지 분석 61 Ⅴ. 결론 및 제언 69 참고문헌 73 부록 83 ABSTRACT 10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5229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원격 국제교류활동이 한국 고등학생의 영어 말하기 능력 및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s of International Exchange Program on Korean EFL High School Students’ Speaking Proficiency and Affective Aspect-
dc.format.pagex, 10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