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899 Download: 0

중학생의 화장품 성분에 대한 인식 및 교육 요구

Title
중학생의 화장품 성분에 대한 인식 및 교육 요구
Other Titles
Middle School Students' Recognition of Cosmetic Ingredients and Necessity of Education about It
Authors
이현란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주소현
Abstract
본 연구는 소비자의 화장품 전성분 표시제 활용을 위한 화장품 성분교육의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중학생 남녀를 대상으로 전성분 표시제에 대한 인식, 화장품 관련 지식과 인식을 파악하고, 일반적 특성과 화장품 성분에 대한 관심과 지식이 화장품 성분 교육 요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이 조사는 2016년 9월부터 10월에 진행 되었으며, 서울과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중학생 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남자 153부, 여자 202부로 총 355부를 본 연구의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과 변수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교차분석,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 방법으로는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분석은 SPSS v.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화장품 전성분 표시제에 대한 인식 및 확인 여부를 알아본 결과 17.7%만이 화장품 구매 시 전성분 표시를 확인하였고, 나머지 82.3%는 확인하지 않고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확인하지 않는 이유로 용어가 어렵고 표시된 성분과 유해성분이 무엇인지 알지 못해서라고 응답하여 중학생이 화장품 성분 용어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성분 표시제도의 실효성이 중학생 소비자들에게는 낮은 것으로 확인 되었다. 둘째, 중학생의 화장품 화학성분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19.7% 만이 화장품 제조에 화학성분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고, 화학성분 품질 효과에 대해서는 16.3%만 화학성분이 화장품의 품질을 향상시킨다고 응답하여 화장품 화학성분에 대해 대체로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생 전체의 24.5%가 화장품 성분에 관심은 있었으나, 지식의 정도를 알아본 결과 화학명칭의 지식정도는 평균 0.39점, 사용목적의 지식정도는 평균 2.42점으로 낮게 나타나 관심에 비해 지식의 정도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화장품 화학성분에 대한 안전성 인식을 분석한 결과 중학생 11.5%만이 안전하다고 하였고,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로 이미 안전성 연구를 거쳤을 것이라 생각하고, 본인이 부작용 경험을 한 적이 없기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중학생 47.3%가 화장품 화학성분이 안전하지 않다고 하였고, 안전하지 않은 이유로 부작용 유발, 화장품 제조업자 불신, 안전성 연구의 불충분으로 응답하여 화장품 성분에 대한 불안감과 불신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화장품 성분 교육 시행 시 요구하는 교육내용으로도 안전성이 62.5%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넷째, 중학생 77.5%가 화장품 성분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고, 건강한 피부를 위해 화장품 성분교육이 필요하다고 65.8%가 응답하여 소비자의 교육 요구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적절한 교육대상으로 중학생 42.8%과 초등학교 고학년(4-6학년)학생 40.8%이 선정되었고, 효과적인 교육방법으로 실험 실습이 36.1%, 학교수업이 29.0%로 조사되었으며, 화장품 성분에 대한 교육내용으로 62.5%가 안전성을 선택하여 대체적으로 안전성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화장품 관련 교육이 시행될 시 안전성에 대한 정확한 정보(31.5%)가 소비자에게 전달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 소비자의 알권리 신장 및 화장품 사용의 안전성 제고를 목적으로 시행된 화장품 전성분 표시제가 중학생 소비자들에게는 실효성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성분 표시제의 활성화와 소비자의 안전을 위해 정부는 안전성이 검증된 성분만을 사용하도록 정책을 강화해야 하며, 화장품업계는 안전한 원료의 사용과 전성분 표시제도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제도의 활성화를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가정에서는 제품의 유의사항을 숙지한 후 실천해야 하며, 소비자는 정보 획득을 통해 안전성을 확보하고 소비자의 권리를 행사하기 위해 화장품의 관련 규정 및 정보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행동해야 한다. 화장품 성분뿐만 아니라 생활 속 화학성분과 관련된 정보를 생활 속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학교현장에서 의무교육으로 전달되어야 한다. 소비자의 교육요구를 수용하여 학교 정규 교육과정의 일부분으로 포함되어 일반지식으로 거듭나길 요구하는 바이다. 본 연구의 교육요구도 분석결과 화장품 성분에 관하여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화장품 성분교육 시행 시 유해성분 목록, 성분의 허용량, 성분표시의 확인방법, 화학성분이 인체에 미치는 위해성 등 안전적인 측면의 내용들을 중점적으로 다뤄야 할 것이며, 실험실습과 영상자료를 활용하는 방법 등 교육적 요구사항을 고려한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 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of cosmetic ingredient education for consumers to use all ingredients of cosmetic ingredients. In this study,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all ingredient labeling and their knowledge and perception about cosmetics were identified. The effects of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ir interest in cosmetic ingredients on the educational needs of cosmetic ingredients were analyzed.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to October, 2016, and the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area. Total 355 data sheets of 153 (men) and 202 (women) were used as the final analysis of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and crossover analysis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variables. And one-way ANOVA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were used. Duncan test was used for post-test.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is study, SPSS v. 21.0 program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iddle school students' awareness and confirmation of the cosmetic ingredient labeling system showed that only 17.7% of all students checked the labeling of all ingredients when purchasing cosmetics and 82.3% did not check it. The reason they did not identify all the ingredients was that many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 term was difficult and they did not know what ingredients and harmful ingredients were displayed. As a result, we could see that middle school students had little information on cosmetic ingredient terms. The effectiveness of the all-ingredient labeling system turned out to be low for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ercep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bout the chemical composition of cosmetics, only 19.7% of them answered that chemical composition is necessary for cosmetics production. In terms of the chemical quality effect, only 16.3%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chemical improves the quality of cosmetics. This shows that respondents are generally perceived to be negative about the chemical composition of cosmetics. 24.5%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were interested in cosmetic ingredients, bu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level of knowledge, the average knowledge level of chemical name was 0.39 and the level of knowledge of use was 2.42, which is low compared to their interest. Third, by analyzing students' perception of safety in cosmetic chemical composition, only 11.5% of respondents considered it safe. The reason they thought it was safe was that it had already undergone safety studies. And they responded that they had never experienced side effects themselve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47.3% answered that the cosmetic chemical ingredients were not safe, and the reasons for not being safe were adverse side effects, distrust of cosmetic manufacturers, and insufficient safety studies. This showed their anxiety and distrust about the cosmetic ingredients. Safety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responding to the contents of education required for education of cosmetic ingredients, with 62.5%. Fourth, 77.5% of middle school students answered that they need education about cosmetic ingredients. Of the respondents, 65.8% answered that they needed cosmetic ingredient education for healthy skin, which indicates that the consumer's educational needs are high. 42.8%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40.8% of senior primary school students (grades 4-6) were selected as appropriate education subjects. In response to questions about effective teaching methods, laboratory practices accounted for 36.1%, and school classes accounted for 29.0%. When asked about the content of education on cosmetic ingredients, 62.5% of the respondents chose safety, which indicates that respondents generally regard safety as the most important. When education related to cosmetics is implemented, accurate information on safety (31.5%) should be communicated to consumer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cosmetic ingredient labeling system, which was implemented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consumers' right to know and safety of use of cosmetics, was not effective for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e activation of all ingredient labeling and consumer safety, the government should strengthen its policy to use only ingredients that are proven safe. In addition, the cosmetics industry should strive to revitalize the system by improving the use of safe raw materials and problems with the labeling system of all ingredients. At home, people should be aware of product precautions and practice. Consumers should actively act with interest in the relevant regulations and information of cosmetics to secure safety through information acquisition and exercise customer rights. In addition to the ingredients of cosmetics, information related to chemical composition in daily life should be conveyed to compulsory education at school. It is necessary to accept the educational needs of consumers and to be included as a part of regular school curriculum and be reborn as general knowledg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educational need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safety concerns about cosmetic ingredients were the greatest.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safety aspects such as list of harmful ingredient, allowable amount of ingredient, method of confirming ingredient indication, risk of chemical ingredient on human body, etc. It is necessary to tak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students through the class considering requirem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