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5 Download: 0

PBL을 활용한 디자인 수업이 고등학교 1학년 학습자의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PBL을 활용한 디자인 수업이 고등학교 1학년 학습자의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High School's Design Classes using PBL Method on 9thGraders' Creative Expressions
Authors
임성연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효정
Abstract
현 사회는 지식기반화사회로 복잡하고 다변화하는 시대를 현명하게 대처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을 위하여 교육현장에서는 단편적으로 지식을 답습하는 방식이 아닌 학습자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및 비판적 사고를 키울 수 있는 교육적 접근이 필요하다. 과학 기술의 발달로 많은 지식을 축적하고 보유하는 것은 더 이상 의미가 없어지고 지식과 정보를 선별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따라 2003년 OECD의 DeSeCo(The Definition and Selecion of key Competences)프로젝트에서 생애핵심역량이 제시되었고 이후 국․내외 연구에서 창의적 능력과 문제해결능력, 공감능력 등을 포함하는 ‘역량’이 미래사회 대비를 위한 필수 요건임을 강조되어지고 있다(이동국 외, 2014). 우리나라의 2009 개정 교육과정을 보면, 논리적이고 비판적 사고를 바탕으로 ‘새로운 발상과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사람’을 인간상으로 제시하고 있다. 특히 2009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는 학습자의 ‘느낌과 생각을 창의적으로 표현하고 소통하는 능력’을 미술과 목표로 언급하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11).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는 교과역량 중 하나로 ‘창의‧융합 능력’을 교과 역량으로 강조하고 있다(교육부, 2015). 따라서 미술교과에서 학습자들의 자기주도적인 학습과 창의적 사고력을 바탕으로 창의적인 표현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최근 창의적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습 방법으로 학생들이 자기주도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인 문제중심학습 모형(Problem-Based Learning:이하 PBL이라 함)이 폭넓게 활용되고 있으며, 미술과에서도 PBL모형을 적용한 연구가 기존교육의 방법적 대안을 제시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PBL을 활용한 디자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제 교육 환경에 적용하여 학습자의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배경으로 창의성과 PBL의 이론을 고찰하고 미술과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교육적 의의와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연구 수업을 위해 2009 개정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토대로 디자인 영역과 PBL을 적용하기 적합한 단원을 정하고 연구 수업 도구를 마련하여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작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경기도 S시의 H고등학교 1학년 2집단 총 83명, 실험집단(42명), 통제집단(41명)을 선정하고 동질성 검사를 실시하여 동질한 집단임을 확인하였다. 실험 집단에는 PBL을 적용한 디자인 수업을 8차시에 걸쳐 실시하고, 통제 집단에는 전통 강의식의 디자인 수업을 6차시에 걸쳐 실시하였다. 두 집단의 결과물을 측정하기 위하여, 창의적 표현력 검사도구로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 기준 및 도구 개발 연구(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98)’와 용재현(2008)의 연구를 수정‧보완한 오진석(2010)의 연구와 윤성연(2013), 이송현(2015)의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kage for Social Science) Ver 21.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통해 기술통계분석을 하였고, 질적 분석을 통해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PBL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이 전통적인 강의식의 수업을 받은 통제집단의 학생들보다 주제표현 면에서 더 높은 평가를 받았다. 둘째, PBL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이 전통적인 강의식의 수업을 받은 통제집단의 학생들보다 표현방법 면에서 더 높은 평가를 받았다. 셋째, PBL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이 전통적인 강의식의 수업을 받은 통제집단의 학생들보다 조형요소와 원리 면에서 더 높은 평가를 받았다. 네 번째, PBL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이 전통적인 강의식의 수업을 받은 통제집단의 학생들보다 표현재료와 용구 면에서 더 높은 평가를 받았다. 다섯째, PBL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이 전통적인 강의식의 수업을 받은 통제집단의 학생들보다 수업에 대한 자기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결론적으로 보았을 때, PBL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이 전통적인 강의식의 수업을 받은 통제집단의 학생들보다 창의적 표현력 전체 면에서 더 우수한 평가를 받았고,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이를 통해, PBL을 적용한 디자인 수업이 고등학교 1학년 학습자에게 창의적 표현력과 수업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작한 교수‧학습방법이 교육현장에서 실질적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후속연구를 통해 학습자의 창의적 표현력을 키울 수 있는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이 개발되기를 기대한다.;Current society needs to have a new perspective in educating more talented people as it becomes to be rapidly changing, complicated and knowledge-based society. It should improve the learners' creative, problem-solving, self-learning skill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in the way, not teaching the learners in one-sided, cramming way. As technology develops, only gaining and having a lot of knowledge has become meaningless. However, selecting and using good knowledge and information has become more beneficial and is more required for our society. Because our society rapidly changes, OECD's DeSeCo (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es) project suggests that the learners should acquire various skills including creative, problem-solving, communication skills. It emphasizes that those 'skills' are necessary to prepare for future society. That is proved by many researchers in Korea and overseas. In 2009, South Korea's revision of school curriculum suggested that the best ideal person has new, innovative ideas and creative skill with his or her critical thinking skill. Moreover, Korea's revision of school curriculum in 2011 indicated that it targets to help the learners to express their feeling or thoughts creatively through their art pieces. In addition, its revision of school curriculum in 2015 argues that 'creatively and convergence' are the main capabilities. Thus, it is required to educate the learners by helping them to express their creativity based on their creative, thinking skill and self-initiated learning process. Problem-based learning (PBL) method has been widely used as a learning method to improve the learner's creative, critical thinking skill, and can be alternative method which replaces South Korea's traditional learning method. Byung-Yeon Choi and Bong-Nam Kang (2010) argue that problem-based learning (PBL) is one of the effective learning ways to develop the learner's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skill. The school curriculum based on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help the students to think more critically and creatively. This research's experiment aims to measure effects on how much the learners can express creatively in the design classes using PBL method. It was conducted in those following steps. First, the conductor understands the educational goals and needs of Korea's fine arts curriculum, and think theoretically about PBL's theory and creatively. Second, the conductor creates the class materials based on Korea's 2009 revision of school curriculum and selected textbook chapters to implement the PBL method. The experiment was consisted of total 83 students---the target group (42 students) and control group (41 students) at 'H' high school in Gyeonggi province, South Korea. Those participating students were all tested by equivalence checking and are proved that those groups are equivalent. While the target group had 8 design classes based on PBL curriculum, the control group had 6 design classes based on South Korea's cramming curriculum. To evaluate and compare both groups' creativeness, some research results were used for referenc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s 'Research on evaluation standard and tools based on South Korea's education'(KICE, 1998) and Jaehyun Yong (as cited in Oh, 2010). In addition, Sungyeon Yoon (2013) and Songhyun Lee (2015)'s researches were referred for this experiment's evaluation method. Moreover,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SPSS)'s statistics package program (version 21.0) was used to analyze this experiment and helpful in reaching the conclusion with its qualitative analysis. This PBL-used experiment's results are following: the first, the target group received higher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for theme-designed assignment. Second, the target group received higher scores for their flexibility of creative expression. Third, the target group's students received higher scores for their theoretical understanding and creativity of making design structures. Forth, the target group received higher scores for materials and tools in expressing themselves or others through the PBL-used design classes. Fifth, the target group's students obtained higher self-satisfaction. As a conclusion, the target group's students received better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s students. The result proved that PBL method is significant (in helping the students to express their feeling thru their design classes). Also, this proves that PBL method results positive effect to the learners who are 9thgrade in high school during the experiment; those participating students could improve their expression more creatively and satisfy their classes more. Lastly, it is hoped that this teaching guideline influenced by the experiment to be effective in Korean school's fine art classes and to contribute further research on improving the learners’creative express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