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5 Download: 0

CPS모형을 적용한 디자인 수업이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CPS모형을 적용한 디자인 수업이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the Design Class with CPS Model Application on Creative Artistic Expression : Focused on the 3rd grade of the Middle School
Authors
김수연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윤정
Abstract
‘21세기 중심에 선 예술교육’이라는 주제로 2010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가 서울에서 성공적으로 개최되었다. 개막식에서 기조연설을 한 Root-Bernstein 부부는 “21세기는 새로운 창의적 상상력을 요구한다”며“우리가 무엇을 얼마나 알고 있느냐가 아니라 얼마나 창의적으로 생각하고 행동하느냐에 좌우 된다”고 지적했다. 또한 “지구온난화와 기아, 빈곤, 질병 같은 복합적이고 고치기 힘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상력과 창의성을 위한 교육이 중요하며, 예술교육을 통하여 사회 전반의 창의·혁신 역량을 강화하여야한다”고 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 민간이 함께 사회·문화적 복지 향상을 위해 노력할 것을 촉구 하였다(매일경제, 2010). 이러한 창의성 교육의 필요성으로 2009 개정 교육과정은 인성교육을 바탕으로 창의성을 갖춘 인재양성을 강조한다. 미술과 교육과정에서도 느낌과 생각을 창의적으로 표현하고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미술과 목표로 제시하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11). 미술교과는 학생들로 하여금 자유로운 발상을 하도록 도와주며 주제를 창의적으로 표현 할 수 있는 능력을 신장시켜줄 수 있다는 점에서 창의성 교육에 적절한 교과이다. 이처럼 미래사회를 대처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지식과 사고방법을 답습하는 교육이 아닌 창의적인 사고를 돕는 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미술과에서 창의성 교육 실시를 위한 수업연구로 CPS(Creative Problem Solving)모형을 적용한 디자인수업을 개발하고 실제 학교 현장에 적용하여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공익광고 디자인 수업에서 문제해결 과정을 바탕으로 창의적 표현을 이끌어 내기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공익광고 디자인 수업 과정에서는 CPS모형 단계를 수정·보완하여 적용하였다. 관련 문헌과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창의적 표현력과 CPS모형 및 중학교 디자인 교육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으며, 2009 개정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중학생의 특성과 교육목표를 인지하였다. 미진사의 중학교 미술교과서에 기초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알맞은 시각디자인 단원을 선정하였으며, CPS모형을 적용한 공익광고 디자인 교수-학습 지도안을 작성하여 실험집단에게 처치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 용산구에 위치한 A중학교 3학년 59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28명, 통제집단 31명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은 2016년 9월 14일부터 10월 21일까지 총 8차시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실험에 들어가기에 앞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미술영역에 대한 흥미도, 시각디자인에 대한 이해도와 경험도 영역에 대한 동질성 검사를 통한 통계분석으로 두 집단이 동질집단임을 확인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CPS모형을 적용한 디자인 수업을 총 8차시에 걸쳐 진행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전통적인 교수법으로 총 6차시에 걸친 디자인 수업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3학년의 창의적 표현력 평가를 위해 Lowenfeld(1993)의 창의성 평가요소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미술과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김은주(2008), 윤성연(2013)의 디자인 창의성 평가도구 개발의 연구를 참고하여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번안하여 제작하였다. 결과물의 평가는 공정성을 기하기 위해 연구자 본인과 현직 미술교사 2인을 포함하여 총 3인이 실험 처치 결과물을 공동 채점하였다. 평가한 결과물은 통계처리를 통하여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창의적 표현력 차이를 검증하였다. 수집된 자료처리는 통계프로그램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20.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였고, 빈도분석, X2,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유의수준은 p<.05, p<.01, p<.001 에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인 두 집단의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해 동질성검사를 실시하고 측정된 결과물을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동질한 집단임이 밝혀졌다. 둘째, CPS모형을 적용한 공익광고 디자인 수업을 실험 처치한 결과 분석을 통하여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창의적 표현력의 각각의 평가문항과 창의적 표현력의 하위 영역인 주제표현, 표현방법, 조형요소와 원리의 영역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고, 전체적인 평균(실험: M=3.54 ,SD=0.72 ,통제: M=2.51 ,SD=0.78 )에서도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높게 측정되어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사후 설문을 통하여 실험집단이 공익광고 디자인 수업과정 내용의 이해와 만족도, 수업참여도, 학습단계와 자료 제시의 도움 정도 측면에서 높게 측정되었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실험집단 학습자들의 공익광고 디자인 표현수업에서 수업내용 및 수업과정에 대한 만족도와 참여도, 관심도 등의 영역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냈음을 통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자기평가와 수업만족도평가를 통해 실험집단의 학생들은 CPS모형을 적용한 공익광고 디자인 수업과정에서 발상능력, 표현능력, 적극성, 만족도 등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공익광고 디자인 수업에서 CPS모형 적용을 통해 중학교 3학년의 창의적 표현력이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으며 학습자가 수업진행 과정에 대해서도 긍정적 반응을 나타내었음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따라서 미술교과의 디자인 수업에서 학습자의 문제해결력과 창의적 표현력 향상을 위한 CPS모형의 적용은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도 디자인 수업뿐만 아니라 다양한 미술과 영역에서 좀 더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창의적 문제 해결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적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겠다.;In 2010, the UNESCO World Conference on Arts Education was successfully held on a theme of ‘Building Creative Capacities for the 21st Century’ in Seoul. The Root-Bernstein couple who had the opening keynote speech, saying “the 21st century demands renewed attention to creative imagination,” addressed that “success is based not only on what you know or how much you know, but on your ability to think and act creatively.” Also, they stressed that “solutions to intractable problems such as global warming, hunger, poverty, systemic injustice and eradicable disease will require thinkers and doers who can bring to bear new combinations of knowledge and know-how in economic, political and cultural arenas.” Finally, Root-Bernstein called on the public and private to put efforts together on social and cultural welfare improvement to solve those problems(Maeil Business Newspaper, 2010). With the needs of creativity education,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9 emphasizes cultivation of creative talents based on character education. The arts curriculum also presents its aim as developing ability to express and communicate the feelings and thoughts creatively (MEST: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011). The arts curriculum is a decent subject for creativity education as it helps students think up with ideas freely and boost the ability to express a subject creatively. Thus, to manage the future society, what is needed is the education that helps creative thinking, not the one that follows the old knowledge and way of thinking. Hence, this research developed a design class using the CPS(Creative Problem Solving) model as a method of teaching for implementation of creativity education in arts, and tried to examine the effects on creative expression of 3rd graders in a middle school where the model was appl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pplication of CPS model on creative expression of 3rd grader in a middle school’s public advertisement design class and the possibility of using CPS model in arts class. This research suggested a teaching-learning program to induce creative expression based on problem-solving process in public advertisement design class. The steps of CPS model were modified and supplemented when it was applied in public advertisement design class. We analyzed the creative expression, CPS model and design education in middle school based on related publications and precedent studies, with the recogni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characteristic and educational objectives on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9. Also, we selected a proper chapter in Mijinsa publisher’s middle school arts textbook, which reflecte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nd applied the teaching-learning guidance for public advertisement design class using CPS model to subjects. For this research, 59 students of 3rd grade in A middle school located in Yongsan-gu, Seoul were studied as two groups, one with 28 students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with 31 as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took the class for 8 times from September 14th to October 21st, 2014. Before the experiment,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confirmed as a homogeneous group with the statistical analysis of homogeneity test in degree of interest in arts and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in visual desig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tudied with the 8-time design class that used CPS model, while the control group was studied with the 6-time design class by traditional teaching. In this research, Lowenfeld’s creativity evaluation criteria (1993), arts achievement standards and levels based on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9 (Kim, Eun-Joo, 2008), and study on developing evaluation measure of design creativity (Yoon, Seong-Yeon, 2013) were modified and adapted as references to evaluate the creative expression of 3rd graders in middle school. For a fair evaluation, the works of subjects were scored by three people as this researcher and two art teachers. The evaluated works proved the difference in creative expression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by statistical data.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by a statistics program called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20.0, and the frequency analysis, X2 and t-test of independent samples were conducted by it. The data was examined within the significance level of p<0.05, p<0.01, and p<0.001. Here is the summary of results on this research. First, as a result of homogeneity test of two groups of subjects,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proved as a homogeneous group, not hav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positive change in each evaluation criterion on creative expression and its sub-areas including theme expression, expression method, and modeling elements and principles than control group through the analysis of results on experimenting public advertisement design class with CPS model. The overall average (experimental group: M=3.54, SD=0.72, control group: M=2.51, SD=0.78) was also calculated higher in experimental group than control group with a statistically relevant difference. Third, through a post questionnaire survey, understanding of class contents, satisfaction, class participation, learning process and helpfulness of materials in public advertisement design class were evaluated higher in experimental group with a statistically relevant difference. Thus, it was statistically confirmed that learners in experimental group showed positive change on satisfaction, participation, interest and etc. in the contents and process of the public advertisement design expression class. Fourth, by the self-evaluation and class satisfaction evaluation, the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showed positive reaction to idea thinking, expressiveness,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in the process of public advertisement design class using CPS model. In conclusion, creative expression of middle school 3rd graders in public advertisement design class using CPS model showed relevant change, and it was statistically proved that the learners had positive reaction to the process of class as well. Thus, it was found out that the application of CPS model is effective on improving problem-solving ability and creative expression of learners in design class of art subject. Various studies and efforts will be required to achieve more systematic and constant application of creative problem-solving teaching-learning program not only in design class but also in various arts area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