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2 Download: 0

LT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이 초등학교 4학년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LT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이 초등학교 4학년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Art Class Applied with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 on Communication Skills : Fourth Grades in Elementary School
Authors
조현주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숙환
Abstract
학교폭력 문제의 심각성에 따라 인성회복에 대한 공감대가 확산되고, 공동체 사회에서 타인과 협력하고 소통하며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인재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 학교 현장에서는 인성교육, 공감, 의사소통 향상에 대한 교육적인 인식이 높아지는 추세이다. 이에 교육부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의사소통역량을 핵심역량 중 하나로 제시하며, 다양한 상황에서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타인의 의견을 존중하며 경청하는 태도를 갖춘 사람을 기르고자 한다. 이는 학교 교육현장에서 의사소통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연구수업의 필요성을 뒷받침해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LT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을 개발·적용하고 실효성 검증을 통하여 초등학교 4학년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절차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의사소통능력의 개념과 필요성을 알아보았다. 또한 협동학습의 개념과 모형, LT모형의 개념과 특징, 수업절차를 살펴보고 협동학습의 교육적 의의를 고찰하였다. 이어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3~4학년 미술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강원도 강릉시에 소재한 J초등학교 4학년 2개 학급 총 53명으로, 사전 의사소통능력 검사를 통해 동질성이 검증된 실험집단 27명과 통제집단 26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수업의 학습주제는 '나무이야기를 담은 북 아트'로 선정하여 교수-학습 지도안을 작성하였다. 실험집단은 8차시 동안 LT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을 진행하고, 통제집단은 6차시동안 전통적인 모둠학습을 적용하여 미술수업을 진행한 뒤 사후 의사소통능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의사소통능력 검사 도구는 이석재(2003)가 개발한『초등학생용 의사소통능력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LT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이 초등학교 4학년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사전, 사후에 실시한 의사소통능력 검사를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Ver.19.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두 집단의 사전·사후 의사소통능력 검사지 분석 외에도 실기 결과물의 질적 분석, 실험집단의 수업 만족도 평가지를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LT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전통적인 모둠학습 미술수업을 받은 통제집단보다 의사소통능력 사후검사에서 높은 향상도를 보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의사소통능력이 향상되었으나 사후 의사소통능력 검사 결과 하위 능력요소 다섯 가지 영역(해석능력, 역할수행능력, 자기제시능력, 목표설정능력, 메시지 전환능력)과 전체 의사소통능력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LT협동학습을 적용한 미술수업이 초등학교 4학년 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실기 결과물을 질적 분석한 결과, LT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을 받은 실험집단이 전통적인 모둠학습 미술수업을 받은 통제집단에 비해 평균적으로 더 높은 실기 평가 점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LT협동학습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개별책무성, 목표 상호의존성을 가지고 상호 소통하는 과정에서 실기 표현력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을 의미한다. 셋째, LT협동학습을 적용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실시 한 후 실험집단에게 실시한 수업 만족도 평가지에서 모둠 내 소통여부에 대해 85%가 의견교환이 잘 이루어진 것 같다고 응답하였다. 모둠활동을 통한 실기 결과물에 대해 85%가 만족한다고 응답하였고, 모둠활동 미술수업에 재참여하고 싶다는 응답이 88%였다. 따라서 본 LT협동학습을 적용한 미술수업은 초등학교 4학년 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수업에 대한 흥미와 실기 결과물에 대한 만족도를 높였음을 알 수 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LT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은 초등학교 4학년 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효과적이며 이는 실기 결과물과 수업 흥미도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검증하였다는데 의의를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강원도 강릉시에 소재한 J초등학교 4학년 2개 학급 총 53명의 학생만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향후 후속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의 범위를 확대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또한 미술 교육현장에서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지속적인 노력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Since school violence has become a serious problem in our society, the importance of building up students' characters is growing. Society now requires talented individuals who can communicate and cooperate in a community. The importance of teaching character, sympathy, and communication skills has been recognized in school. Humans develop through relationships with other people by expressing their feelings or ideas and listening others. Therefore, the Ministry of Education proposed communication skills as one of core competencies in the 2015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They want their students to become a person who can express his/her ideas and feelings in various circumstances, with an attitude of respect for other people's opinions. This supports the importance of instructional research on improving communication skills in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how an elementary art class where the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 is applied influences a 4th grader's communication skills by developing and applying the instruction and through effectiveness verification. The Procedure and method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concept and need of communication skill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introduced as a theoretical framework. Different models of cooperative learning, the fundamental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LT model, and instructional procedures are examined to discover their educational value. The 2009 revision of the Elementary Art education curriculum along with 3rd and 4th grader's art textbooks were analyzed. 4th graders from "J"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angneung City were chosen for this research. The 4th grader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27 students), and a control group(26 students). In order to verify the homogeneity of the two groups, a communication skills survey was given beforehand. The Teaching-Learning Method was established followed by the thesis subject: creating a folded book art project with a tree themed story. The experimental art class applied the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 for 8 periods, while the control group attended an art class using the traditional group learning model for the 6 period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fe-Skills: Communication, Problem Solving, and Self- Directed Learning" by Sukjae Lee(2003) was used as testing tool for communication skills. In order to observe how an elementary art class applied with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 influenced a 4th grader's communication skills, the pre and post test results were analyzed using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21.0. Also apart from the analysis of the pre and post test results of two groups, qualitative analysis of activity outcomes and satisfaction evaluation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final result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mmunication skills for the experimental group where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 was applied improved more than the traditional learning control group. Both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improved their communication skills, however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5 sections of subordinate qualities (interpretation, role performance, self-presentation, establishment of goal setting, and message switching) and overall communication skills. This proved that when the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 is applied to a 4th graders art class, communication skills of students improved therefore the results were positive. Second, qualitative analysis of activity outcomes from both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showed that group with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 achieved higher scores on assessments in art expression than the traditional learning group. This proved that experimental group using the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 improved on their individual accountability and goal interdependence which caused positive improvements on their art expression abilities. Third, satisfaction evaluation surveys given after performing the Teaching-Learning Program applied with LT cooperative learning showed that 85% of students agreed their opinions were successfully exchanged throughout the class, and 88% of students answered they are willing to participate group project art class next time. Therefore, the art class using the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 not only improved their communication skills, but also had increased interest in class participation and higher satisfaction in the outcomes of activities. In summary, the art class using the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 significantly improved 4th graders' communication skills and provided a positive influence on interest in class participation and activity outcomes. However, these results are limited to generalizations since this study was only performed for 53 4th grade students from J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angneung city. Future studies should include more varied subjects of research with great numbers of participants. The significance of communication skills should be emphasized further in art education and continuous efforts to apply this learning should be encourag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