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38 Download: 0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과학 관련 활동 및 활동 목표 분석

Title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과학 관련 활동 및 활동 목표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science-related activities and activity aims of Guide for Educational Activities & Materials for Kindergarten : Focusing on Kindergarten Science Curriculum in NGSS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Authors
김지혜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물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성원
Abstract
유아는 무한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호기심이 많고 상상력이 풍부하다. 주변의 사물과 세계에 대하여 “왜”라는 질문을 통해 주변 세계를 끊임없이 탐구한다. 이에 유아는 타고난 과학자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과학적 소양을 갖춘 미래 인재를 육성하는데 있어 유아기는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우리나라도 유아시절부터 일상생활 속 문제를 창의적으로 합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과학적 소양을 기를 수 있도록 2012년에 개정 유아교육법과 영유아교육법에 근거하여 공통과정인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을 고시하였다(교육과학기술부, 2012). 이어 2013년에는 유아교사들에게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에 근거한 다양한 활동의 예시를 보여주기 위해 국가 수준의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를 발행하여 배포하였다.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는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으며, 새롭고 다양한 교육 활동을 적용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유아교사들에게 도움이 된다. 한편, 2013년 미국은 국가 공통 기준이 정립되어야 한다는 흐름 속에서 ‘Next Generation State Standards(이하 NGSS, 차세대 과학기준)’를 발표하였다. 차세대 과학 기준은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학생들이 배워야 할 과학 및 공학의 내용과 실천을 제시한다(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2012). 또 차세대 과학 기준은 학생이 알아야 할 것과 할 수 있어야 할 것을 수행 기대에 진술하였다. 수행 기대는 교육 활동의 구체적인 목표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과학·공학적 실천’, ‘연결 개념’, ‘학문의 핵심 아이디어’라는 과학 교육 체계의 3차원을 기준으로 하여 제시하고 있다. 이처럼 미국 교육과정의 경우, 큰 틀을 구성하여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과학이 연계될 수 있도록 체계를 구성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 과학교육의 경우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의 통합적 연계는 잘 이루어지고 있지만, 유아 과학교육과정과의 연계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그렇기 때문에 NGSS와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비교는 시사점이 많다고 생각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용 지도서 내 과학 관련 활동을 한국과 미국의 유아 과학교육과정에 관련하여 분석해 봄으로써 과학 관련 활동의 특성을 파악해 보는데 있다. 분석 대상은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10권, 4세 누리과정 지도서 11권, 5세 누리과정 지도서 11에 제시된 총 2,166개 활동들 중에서 1,106개의 과학 관련 활동 및 활동에 명시된 목표들이다. 본 연구에서는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과학 관련 활동들에 내포된 과학 지식을 NGSS 내 핵심아이디어로 분석한 후, 분석한 자료를 토대로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생활 주제별로 분석하고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와 더불어 과학 관련 활동 목표들을 NGSS 내 과학·공학적 실천으로 분석한 뒤, 그 분석 자료를 누리과정에서 제시된 ‘자연탐구영역’ 내용범주별로 다시 분석하여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과학 관련 활동이 포함하고 있는 과학 지식과 과학 목표만을 기준으로 하여 과학 활동을 분석하였기 때문에 NGSS 내 교차 개념을 기준으로 한 분석은 실시하지 않았다. 연구결과, 3~5세 과학 관련 활동 모두 각 생활 주제에 고르게 핵심 아이디어가 나타나지 않고, 특정 핵심 아이디어에 밀집되어 있었다. 특히 ‘동식물과 자연’, ‘환경과 생활’, ‘봄, 여름, 가을, 겨울’ 생활 주제와 관련된 활동은 핵심 아이디어‘지구계’와 ‘지구와 인간의 활동’에 밀집되어 나타났다. 3-5세 과학 관련 활동 목표의 경우, ‘자료의 분석과 해석’과학·공학적 실천에 해당하고, 자연탐구영역 내용 범주 내‘생명체와 자연환경 알아보기’에 해당하는 활동 목표가 주를 이루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 다음으로는 ‘정보의 습득·평가·교류’에 해당하는 활동 목표가 많이 나타났다. 유아의 나이가 올라갈수록 활동 목표에 다양한 과학·공학적 실천을 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내 과학 관련 활동 및 활동 목표의 개선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우리나라 과학교육과정이라는 큰 틀을 구성함에 있어서 유아과학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Early children are curious and imaginative with unlimited potential. In addition, they constantly explore the outside world and their surroundings through the short questions, which makes we call them as 'Natural-born scientists'. Therefore, education during early childhood is important to breed up future-talented people with scientific literacy. Accordingly, Republic of Korea developed a curriculum called 'Nuri-Curriculum' of science-related activity for the age of 3-5 based on the revised Early Childhood Education Law and Infant Care Law in 2012 (the Ministry of Education, Korea, 2012). Teachers for early childhood in Korea usually design and carry out their educational activities using ‘Guide for Educational Activities & Materials for Kindergarten(GEAMK)’ for 3-5 year old Nuri Curriculum. It shows the possibility that GEAMK is useful for important materials in field of childhood education. It also faithfully follows the national curriculum in kindergarten and contains various activities even if it is not a text book that teachers should use. Therefore, activities and activity aims described in GEAMK are important factors to implement the curriculum. The activities and activity aims in early childhood curriculum should be able to suggest promising perspectives and expected changes of early children with pointing concrete direction to select and organize the activities. Meanwhile, in 2013, the United States announced the "Next Generation State Standards" (NGSS) developed by the state in the trend of emphasizing national common standards. NGSS set benchmarks as "performance expectations" to emphasize the ability to apply knowledge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2). Performance expectations are based on disciplinary core ideas, the core knowledge of science, science and engineering practices, which apply knowledge, and crosscutting concepts which links science and technology engineering are all expressed and emphasized. Thus, in the case of the American curriculum, a large framework was formed to organize science so that it could be linked to kindergarten through high school. In addition, the performance criteria are presented as 'performance expectations' as a basis of evaluation and tend to present them in the integration with the related domains. However, in the case of science education in our country, the linkage between elementary school, junior high school and high school is well done, but the kindergarten linkage is insufficient. In addition, the content statement of the curriculum of Korea has been aiming at the achievement standard considering the evaluation dimension. Therefore, I think that the comparison between NGSS and Korean curriculum has many sugges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ivities and activities aims using by GEAMK for 3-5 year old Nuri Curriculum and NGSS. Among the 2,166 activities presented in the GEAMK, 1,106 science-related activitie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all of the science-related activities of 3-5 year-olds did not show the core idea evenly on each life topic, and the specific core idea was biased. In particular, activities related to life topics such as "flora and fauna and nature", "environment and life", and "spring, summer, autumn and winter" appeared concentrated on core ideas "Earth" and "Earth and human activities". In the case of 3-5 year-old science-related activity aims, we will see that the activities corresponding to the "analyzing and interpreting data" correspond to the science and engineering practice and correspond to the "explore life and nature environment" within the scope of nature inquiry area. Next, there were many activity aims corresponding to "obtaining, evaluating, and communicating information". As age increases, various scientific and engineering practices are increa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clarify the science-related activities and activity aims in GEAMK and to improve the science-related activities in GEAMK. Also, I think that I can sugges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activities related to early childhood science in the future.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of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in constructing the big frame of science education course in Kore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물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