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9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소효정-
dc.contributor.author서승연-
dc.creator서승연-
dc.date.accessioned2018-03-26T16:30:02Z-
dc.date.available2018-03-26T16:30:02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4844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48449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1392-
dc.description.abstract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lasses utilizing various multimedia are carried out, stability of utilization of multimedia contents tends to increase. Especially moving pictures utilizing multimedia give positive influence such as moving picture, video, voice, etc. effect, such as fairy tale comprehension, linguistic interaction etc. which provides actual feeling of excitement and helps the child's interest. In addition, the use of smart devices is increasing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is due to the use of a portable interface and ease of use. Activities utilizing smart pads of smart appliances increase the learning effect of infants and make the concentration keep time relatively long. Multimedia and smart pads have positive aspects as well as negative aspects. But now is the tim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which convergence and change are brought about by advanc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at is, rather than discussing the positive and negative dimensions, research is needed to find ways to make use of high quality content that is appropriate for the characteristics of child development. In addition, through these research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smart pads contents that teachers demand. Therefore, in this research, by looking at the multimedia fairy tale that stimulates the understanding and language ability of young children, they are active using the paper and the new tool, Smart pad, which is a tool used conventionally for expansion activities, The infant analyzed the story. It is classified as "fictional narrative" which is a story about an incident in which an infant does not have a fiction. Through analyzing the fictional narrative of an infant, he knows other aspects of smart pad and paper activity, and is about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of paper and smart pad utilization contents from now on. The specific research problems of this research reflecting these objectives are as follows. Research problem 1: How will the fictional narrative(level of structure development, component, logic coalescing device) of the talking of an infant who activated the smart pad in multimedia fairy tale expansion activities appear? Research problem 2: How will the fictional narrative(level of structure development, component, logic coalescing device) of the talking of an infant who activated the paper in multimedia fairy tale expansion activities appear? In this study, it was divided into secondary research. The institution that conducted the study actually used the smart pad for classroom instruction. The first study consisted of 20 students, the second was 10 students, and all 30 infants were analyzed for hypothetical narratives. The fictional narrative is analyzed by the level of structural development of the fictional narrative, components, logic cohesion device, etc. In the second research, statistical analysis including measurement of vocabulary frequency of expression is further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the conclusions derived from this result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smart pad activity The fictional narrative of an infant was displayed with new content not following the plot of the existing fairy tale, and the expression vocabulary was high. This analyzed that the experiences of smart pad 's augmented reality content increased infant' s immersive feeling, supported imagination and creativity and influenced expression expression. On the other hand, the fictional narrative of the activity of the paper became a fictional narrative made up of the content which cooperated with exact experience of the fairy tale accurately or with his own experience. The infant painted a story on a paper with the same attribute as the act. This was an activity that had no boundaries on paper as a matter of action. It is interpreted that the part of the structural concept which seeks to solidify the structure of the repeated talk on paper has developed. Also, smart pad activity infants showed that they interactively find answers and construct common knowledge rather than asking teachers while doing activities. This has been confirmed by increase the rate of learner-led activities and activate the classroom atmosphere. In this research, young children enjoyed writing activities on the paper and smart pads, including acts. Infants who took action on the paper performed accurate image expressions with writing tools of various kinds and colors, and infants who worked on smart pads enjoyed drawing and writing by changing the color of the brush. This was able to confirm the experience of using various writing tools and the process by which the infant is naturally immersed in language learning.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When planning the activities of the infant paper activity in the structure, logic, recollection activities, smart pad activities can be applied to the activity part of imagination, creativity development activity. And these are to consider the use in a complex way. In addition, infants provide an indication that they must provide an environment that allows them to freely work by extending the range of experiences with sufficient material exploration time for integration activities. And the recommendations for this follow-up surve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n this study, 30 experimental infants aged 5 years old in DaeJeon City and Seoul City Early Childhood Education Organization were treated between 3 session and 4 session, respectively. Since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is whole study as a result of infants, it will be applied to various groups and long-term research will be conducted. Secondly, it is necessary to analyze diversified and carefully various considerations such as the linguistic environment of an infant's family, the educational level of parents, the experience of gender and fairy tale beforehand. Third, this study excludes literacy. Thus, children with high literacy read only for short sentences written during the same activity time, and low evaluation was found in fictional narrative analysis. In consideration of this, we need to give free time of activity time to understand the result. However, in this study, there is a limit as described above. However, the activities related to fairy tales which are frequent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different between smart devices and paper, and we found parts characteristic of the analysis of the displayed virtual story. Infants' reactions shown in the analysis of activities are based on this when teachers use smart pads, learners design materials developed based on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s and content development I hope for the fact.;최근 유아교육 현장에서는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수업이 이루어지며 멀티미디어 콘텐츠 활용이 꾸준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동화는 움직이는 영상, 그림, 음성 등의 효과로 실제감과 생동감을 제공해 유아의 흥미도와 동화 이해력, 언어적 상호작용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와 함께 유아교육 현장에서 스마트 기기 이용률은 높아지고 있는데, 이는 휴대성과 인터페이스 활용으로 인한 편리한 사용 등이 많은 영향을 미친다. 스마트 기기 중 스마트패드를 활용한 활동들은 유아의 학습 효과를 높여주고 집중 유지 시간을 상대적으로 길게 해 준다. 멀티미디어와 스마트패드는 긍정적 측면 뿐만 아니라 부정적 측면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첨단 정보통신기술로 인한 융합과 변화가 이루어지는 4차 산업혁명 시기에 기기나 콘텐츠에 대한 긍․부정적 차원의 논의 보다는 유아기 발달 특성에 적합하고 질 높은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 그러한 연구를 통해 교사들이 필요로 하는 양질의 스마트패드 활용 콘텐츠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의 이해력과 언어 능력을 자극해 주는 멀티미디어 동화를 보고, 확장 활동으로 기존부터 사용해 온 도구인 지면과 새로운 도구인 스마트패드를 활용해 활동한 다음, 유아들이 만들어 낸 이야기를 분석하였다. 유아들이 만들어 낸 이야기는 존재하지 않는 사건에 대한 이야기인 ‘가상적 내러티브’로 분류된다. 유아들의 가상적 내러티브 분석을 통해 스마트패드와 지면 활동에서의 다른 양상을 알고, 앞으로 지면과 스마트패드 활용 콘텐츠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반영한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멀티미디어 동화 확장 활동으로 스마트패드 활동을 한 유아의 이야기 꾸미기에서 가상적 내러티브(구조발달 수준, 구성요소, 논리적 응집장치)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연구문제 2: 멀티미디어 동화 확장 활동으로 지면 활동을 한 유아의 이야기 꾸미기에서 가상적 내러티브(구조발달 수준, 구성요소, 논리적 응집장치)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본 연구는 2차 연구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연구를 진행한 기관은 실제로 스마트패드를 기존부터 수업에 활용해 오던 곳으로 1차 연구에는 20명, 2차 연구에는 10명으로 총 30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가상적 내러티브 분석을 진행하였다. 가상적 내러티브는 가상적 내러티브의 구조 발달 수준, 구성 요소, 논리적 응집 장치 등으로 분석하으며, 2차 연구에서는 추가적으로 표현 어휘 빈도 측정도 포함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이를 통해 도출한 결론은 아래와 같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스마트패드 활동 유아들의 가상적 내러티브는 기존 동화의 플롯을 따르지 않는 새로운 내용으로 나타나며 표현 어휘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스마트패드의 증강현실 콘텐츠 경험이 유아의 몰입감을 증대시키고 상상력과 창의력에 도움을 주어 표현 발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하였다. 반면 지면 활동 유아들의 가상적 내러티브는 동화 플롯을 정확히 따르거나 자신의 경험과 연계된 내용으로 구성된 가상적 내러티브로 나타났다. 이는 활동지와 동일한 속성의 지면 활동을 하면서 이야기를 그리고, 활동지와 지면의 경계 없이 활동하며 반복적으로 구조를 다지다 보니 구조 개념 부분이 발달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또한 스마트패드 활동 유아들은 활동을 하면서 교사에게 질문하기보다 서로 상호작용으로 답을 찾으며 공동의 지식을 구성해 가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학습자 주도 활동 비율을 높이고 긍정적 수업 분위기를 조성하는 모습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유아들은 활동지를 포함한 지면과 스마트패드에 쓰기 활동을 즐겼다. 지면 활동을 한 유아들은 다양한 종류와 색상의 쓰기 도구로 정밀한 그림 표현을 하였고, 스마트패드 활동을 한 유아들은 브러시 색을 바꿔가며 글 쓰기, 그리기 등을 즐겨하였다. 이는 다양한 쓰기 도구 사용 경험과 함께 유아들이 언어 학습에 자연스럽게 몰입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나타내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유아들의 활동을 계획할 때 지면 활동은 구조적, 논리적, 회상적 활동에 배치하고 스마트패드 활동은 상상력, 창의력 발현 활동 부분에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은 복합적으로 사용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또한 유아들은 통합적 활동을 위해 재료 탐색 시간을 충분히 가지고 경험의 폭을 넓혀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그리고 이와 관련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대전시와 서울시 유아교육 기관 만 5세 유아 30명을 대상으로 각각 3차시, 4차시 동안 처치한 실험이었다. 이 연구를 전체 유아들의 결과로 일반화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므로 다양한 집단에 적용하여 장기간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유아들의 가정 언어적 환경이나 부모교육수준, 남녀 성별 및 동화의 사전 경험 등에 대한 다양한 고려 사항들을 다각적이고 심층적으로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문해성을 배제하고 진행된 연구다. 그러나 문해성이 높은 유아들은 동일한 활동 시간 동안 본인이 쓴 짧은 글만 읽음으로 가상적 내러티브 분석에서 낮은 평가들이 발견되었다. 이에 문해성을 고려하고 활동 시간을 자유롭게 주었을 때의 결과를 파악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한계점들을 가지고 있지만 유아교육기관에서 많이 이루어지는 동화 활동과 관련된 활동을 스마트기기와 지면 활동으로 다르게 한 후 발현된 가상적 내러티브 분석으로 특징적인 부분을 발견하였다. 활동 분석에서 나타난 각 활동에 대한 유아의 반응들은 추후 교사들이 스마트패드를 이용하여 수업을 설계할 때 혹은 연구자들이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콘텐츠 개발에 기초할 자료가 될 것을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5 C. 용어의 정리 6 1. 스마트패드 6 2. 멀티미디어 동화 6 3. 확장 활동 6 4. 지면 활동 7 5. 스마트패드 활동 7 6. 가상적 내러티브 8 Ⅱ. 이론적 배경 10 A. 동화 활동 10 1.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동화 활동 10 2. 멀티미디어 동화 활동 11 B. 동화 확장 활동 12 1.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동화 확장 활동 12 2. 스마트패드 활동 13 3. 증강현실 콘텐츠 14 C. 가상적 내러티브 분석 활동 16 1. 가상적 내러티브의 이론적 개념 16 2. 가상적 내러티브의 구조발달 수준 17 3. 가상적 내러티브의 구성요소 19 4. 가상적 내러티브의 논리적 응집 장치 20 D. 관련 선행 연구 22 1. 멀티미디어 동화 활동 22 2. 스마트패드 중재 활동 23 3. 가상적 내러티브 분석 활동 25 Ⅲ. 1차 연구 27 A. 연구 방법 27 1. 연구 대상 27 2. 측정도구 30 3. 처치 도구 35 4. 연구 절차 39 5. 자료분석 방법 41 B. 1차 연구 결과 42 1. 동화 확장활동에서 스마트패드 활동 유아의 가상적 내러티브 분석 42 2. 동화 확장 활동에서 지면 활동 유아들의 가상적 내러티브 분석 52 C. 1차 연구 결론 및 제언 59 1. 결론 및 논의 59 2.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61 Ⅳ. 2차 연구 63 A. 연구 방법 63 1. 연구 대상 63 2. 측정도구 65 3. 처치 도구 69 4. 연구 절차 72 5. 자료분석 방법 73 B. 2차 연구 결과 74 1. 동화 확장활동에서 스마트패드 활동 유아의 가상적 내러티브 분석 74 2. 동화 확장 활동에서 지면 활동 유아들의 가상적 내러티브 분석 86 C. 2차 연구 결론 및 제언 99 1. 결론 및 논의 99 2.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101 Ⅴ. 결론 및 제언 102 A. 결론 및 논의 102 B. 시사점 104 C.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105 참고문헌 107 부록1. 예비 연구 동화 확장 활동 활동지 (1주차 예시) 123 부록2. 예비 연구 동화 확장 활동 활동지 (2주차 예시) 124 부록3. 예비 연구 동화 확장 활동 활동지 (3주차 예시) 125 부록4. 본 연구 동화 확장 활동 활동지 (1주차 예시) 126 부록5. 본 연구 동화 확장 활동 활동지 (2주차 예시) 127 부록6. 본 연구 동화 확장 활동 활동지 (3주차 예시) 128 부록7. 본 연구 동화 확장 활동 활동지 (4주차 예시) 129 부록8. 멀티미디어 동화 활동 계획안 (2주차 예시) 130 ABSTRACT 13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9987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동화 확장 활동에서 스마트패드와 지면 활동 유형에 따른 유아의 가상적 내러티브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xpansion activities of fairy tales Infant's fictional narrative analysis according to smart pad and paper activity type-
dc.format.pagexi, 13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공학·HRD전공-
dc.date.awarded201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