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46 Download: 0

H. Gardner의 다중지능 이론을 적용한 미술 감상수업이 중학교 1학년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Title
H. Gardner의 다중지능 이론을 적용한 미술 감상수업이 중학교 1학년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s of Art Appreciation Classes that apply H. Gardner’s Multiple Intelligence on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Motivation of 7th graders
Authors
민은지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효정
Abstract
인간은 여러 분야에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며 살아간다. 개인마다 다양한 방식으로 많은 것들을 계발하고 창조하며 우리가 사는 사회를 발전시키고 유지해 나간다. 또한 앞으로의 미래 사회에 필요한 인재양성을 위하여 획일화된 언어능력, 논리-수학적 능력의 강조를 넘어서서 미술, 음악, 과학, 대인관계 등 다양한 인지능력이 중요시되고 있다. Howard Gardner(1983)는 다중지능이론(Multiple Intelligence: MI)을 통해 인간의 능력을 언어, 논리-수학적 능력으로 국한시키지 않고 여러 다양한 능력(지능)으로 구분 가능하다는 점을 전제로 한다. 그에 따라 교육환경에서도 다양한 능력의 발달을 위한 교육과정을 구성할 필요가 있으며, 학습자 개개인에게 보다 적합한 방식으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각자의 흥미와 적성을 고려함으로써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를 향상시키고, 개인마다 서로 다른 능력을 신장시켜서 여러 지식과 개념을 스스로 적용하고 구성해 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개인의 다양성을 중시하는 미술교과는 다원적 가치와 학습자 중심의 다양한 개성을 존중하고, 자발적이고 주도적인 참여를 통해 스스로 계발·성찰하는 역량을 중점으로 두고 있다(교육부, 2015). 특히 미술 교과 내의 ‘감상 영역’에서는 미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인류의 역사, 문화, 가치관 등의 다양한 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미술 감상을 통해 학습자들은 관찰, 창작, 글쓰기, 토론 등 다양한 형태의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다중지능이론을 교수-학습에 적용하는 것이 학습자의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 향상 효과에 적절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다중지능이론을 기반으로 한 수업활동이 학업성취도와 태도 및 창의성에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신재한, 2012). 이에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미술 감상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실시함으로써 학습자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이 미칠 것이라는 연구 목적 하에 연구를 시행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 및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다중지능이론에 대해 고찰하고 중학교 미술 감상교육에서의 적용가능성을 모색하였으며, 다중지능이론의 인지적 영역과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성을 탐색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기반으로 하여 2015 개정 중학교 미술 교육과정과 2009 개정 중학교 미술 교과서를 분석하여 미술 감상영역을 단원의 주제로 설정하였고, 다중지능이론의 각 영역에 따른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경기도에 소재한 S 중학교의 1학년 한 개 학급 총 16명의 여학생을 선정하였고,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2017년 9월부터 10월까지 총 10차시의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미술 감상수업을 실시하였다. 설계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문용린(2011)이 개발한 신뢰도가 검증된 다중지능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고,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 측정도구를 제작하여 교육전문가 1인과 미술 교사 1인에게 타당도를 검증받은 후 연구대상에게 사전·사후 검사로 실시하였다.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 사전·사후 검사결과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21.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전산통계 및 처리하였고, 신뢰도분석과 대응표본 t-test를 시행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자기 평가 및 동료 평가, 수업 결과물의 질적 평가, 학생 소감 인터뷰와 교사 인터뷰, 연구자의 관찰일지에 관한 질적 분석을 통해 연구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교육적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정리한 결론을 다음과 같다. 첫째, H.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미술 감상 교수-학습지도안이 중학교 1학년 학생의 학습동기를 향상시키는 데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동기의 향상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통계 자료를 해석한 결과는 사전검사(M=3.75)에서 사후검사(M=4.64)로 학습동기가 0.89점 상승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차가 나타났다(t=-5.964, p<0.001). 또한 학생 소감 인터뷰와 연구자의 관찰일지를 포함하여 질적 분석한 결과, 학습동기의 하위영역별에서도 ‘탐구 및 호기심’,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 ‘동기지속’ 다섯 가지 영역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변화하였으며, 특히 ‘탐구 및 호기심’과 ‘자신감’ 영역의 증가율이 좀 더 높게 드러났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지필평가에서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미술 감상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사전 검사보다 사후검사에서 보다 높은 성취도를 보였다. 즉, 학업성취도에 있어서는 사전검사(M=5.81)에서 사후검사(M=8.19)로 학업성취도가 2.38점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t=-8.733, p<0.001). 셋째, 수업 결과물과 학생 소감 인터뷰, 연구자의 관찰일지 등을 질적 평가한 결과로 실험집단이 사전보다 사후에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학생 소감 인터뷰에서 학습동기의 하위영역과 연관지어 분석하였을 때 실험집단의 미술학습에 대한 성취수준정도가 높아진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미술 감상수업이 중학교 1학년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으며 실제 교육현장 안에서 교육적 의의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H.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미술 감상수업이 중학교 1학년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미술 교과 내에서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하고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의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설계함으로써 효과적인 교육과정을 모색하였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본 연구의 교수-학습지도안이 향후 다양한 미술과 교수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하여 학습자의 성장 발달과 다중지능의 향상에 도움이 되고, 미술교육의 다양한 발전에 보탬이 되기를 바란다.;Individuals discover, develop, and exhibit their abilities in various fields. They constantly seek to improve and create in different ways, and consequently, develop and maintain the society we live in. Until a decade ago, only verbal-linguistic, 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s used to be considered crucial in one’s education and journey of reaching avocational and vocational goals. However, currently, in terms of educating young students, increasingly more emphasis is put on various cognitive abilities which include musical, artistic, scientific, and interpersonal abilities. Howard Gardner’s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human intelligence has many specific modalities and therefore it must not be dominated only by general abilities such as verbal-linguistic and logical-mathematical abilities. The author deems this theory to be highly applicable to primary, middle school, and secondary education. We need to design curricula that have contents for cultivating various abilities of students so that different students with diverse interests can all be motivated to learn and achieve. The curricula will help students cultivate different abilities and stimulate the students to thrive in school because they will be able to voluntarily apply the knowledge they learn to form new concepts of their own. Art courses are designed to emphasize plural values of learners and their individuality. The courses place stress on cultivating students’ abilities to develop and self-reflect through voluntary and active participat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2015). Especially, art appreciation courses within art curricula include not only artistic aspects, but also various components such as history, culture, and values. Accordingly, through art appreciation courses, students can learn in diverse ways, as they can observe, create, write, or discuss. Therefore, the author expects applying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to art appreciation classes to be effective in enhancing students’ motivation and performance in school. A recent study revealed that class activities based on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can draw good conclusions of enhancing performances, creativity and learning attitude of students (Jaehan Shin, 2012). The author’s study was conducted on 7th graders and the purpose was to test the hypothesis that art appreciation programs can affect learners’ motivation and performance in positive ways. The procedure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uthor contemplated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and the possibilities of applying it to middle school art appreciation courses. In addition, the author searched for relationships between cognitive realms of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and learning motivation and performance. Based upon this theoretical background, the author set art appreciation as the main topic of units in a middle school’s art course and designed teaching-learning programs regarding Multiple Intelligence Theory’s modalities after analyzing the revised middle school art curricula in 2009 and 2015. Sixteen female students of S middle school in Gyeonggi Province were select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art appreciation classes that applied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were conducted on the group. The total of 10 periods of art appreciation classes were taught from September 2017 to October 2017.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s multiple intelligences were assessed through Multiple Intelligence Pretest developed by Yong Lin Moon(2001). The reliability of the pretest has been verified and widely acknowledged. In addition, the author developed measurement tools for measuring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whose validity was proven by an education expert and a school art teacher. These tools were used to measure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the group before and after the art appreciation classes. The measured results were processed through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21.0 and went through credibility analysis and paired t-test. Moreover, the author verified effectiveness of the study and drew educational results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of the researcher’s observation logs, the experimental group’s self-assessments and peer assessments, qualitative evaluation of class results, and interviews from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teacher of the course.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eaching-learning plans that applied H.Gardner’s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were proven to be effective in enhancing 7th graders’ learning motivation. The interpreted statistical data indicat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s learning motivation increased from M=3.75 to M=4.64, showing 0.89 points of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5.964, p<0.001). Furthermore, qualitative analysis of there searcher’s observation logs and the experimental group’s interviews reveal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five sub-categories of learning motivation such as “curiosity”, “relevance”, “confidence”, “satisfaction”, and “continuous motivation”. Especially, the differences in “curiosity” and “confidence” categories were more distinct than the others. Second, after the art appreciation classes that applied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academic achievement scores on the writing assessment that aimed to enhance academic performance than the group did before the classes. The academic achievement scores increased from M=5.81 to M=8.19, which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classes. The 2.38 points increase was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8.733, p<0.001). Third, qualitative evaluation of the researcher’s observation logs, the interview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lass results revealed that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improved after the study. Particularly, the experimental group’s degrees of achievement in learning art heightened after the study. The author could observe this result from analyzing the group’s interviews in terms of the sub-categories of learning motivation. In conclusion, the art appreciation classes that applied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exhibited significant effects in improving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7th graders. Therefore, the classes had educational significance in real educational settings. This study drew the conclusion that the art appreciation classes that applied H.Gardener’s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had positive impacts on 7th graders’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ree aspects. First, the study applied Multiple Intelligence within the realm of art education. Second, it sought to design proper teaching-learning art plans that can be effective in heightening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Finally, it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the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applied art appreciation classes in enhancing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author hopes that the study’s teaching-learning plans will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art education by facilitating educators in designing diverse art teaching programs that have positive impacts on learners’ growth of multiple intelligenc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