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06 Download: 0

귀납적 사고법을 적용한 시각문화미술교육이 미디어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Title
귀납적 사고법을 적용한 시각문화미술교육이 미디어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Visual Culture Education Applying Inductive Thinking Method on Media Literacy : Focused on Elementary School Sixth Graders
Authors
한은미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윤정
Abstract
본 연구는 주변 환경에서 접할 수 있는 시각 정보의 기능과 속성, 영향에 대한 적절한 이해를 위한 과정으로 귀납적인 사고법을 적용하여 시각 정보를 탐구하는 교육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따라서 미디어의 기능과 속성을 이해하는데 독립변인으로 작용할 요소는 귀납적 사고법으로, 해당 모형의 절차에 따라 시각문화에 속한 광고를 탐색하고‘반전광고’를 제작하는 내용으로 수업을 설계하여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귀납적 사고법을 적용한 시각문화미술교육이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미디어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수업을 설계하였다. 시각문화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초등학교 5~6학년 미술 교과서 5권을 분석하여‘광고’를 수업 소재로 선택했다. 그리고 2015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내용체계 및 성취기준을 바탕으로 교수-학습계획과 평가계획을 수립한 후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I초등학교의 두 학급으로 실험집단 21명과 통제집단 20명, 총 41명을 대상으로 해당 연구 수업을 진행하였다. 선정된 두 집단의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해 안정임 외(2013)가 개발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미디어 이용에 대한 문항으로 동질성을 검증하였다. 이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총 6차시의 수업을 진행하였는데, 실험집단은 귀납적 사고법을 적용한 광고 탐색 및 반전광고 제작의 수업이며, 통제집단은 교수자를 통해 광고에 대해 학습하고 표현활동으로 연결하는 구성으로 수업을 실시하였다. 따라서 귀납적 사고 절차에 따른 탐색 및 개념 확립 과정의 유무를 두 집단의 차별성으로 설정하였다. 해당 수업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사전에 실시한 검사와 동일한 검사를 실시한 후 SPSS Ver.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를 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수업 결과물 평가와 실험집단의 수업 만족도를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귀납적 사고법에 따라 시각문화교육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미디어 리터러시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귀납적 사고법을 적용한 시각문화교육이 미디어 리터러시의 하위영역(미디어 이용기술, 미디어 속성이해, 표현능력, 표현기술, 소통과 공유, 시민성)마다 증가된 수치를 보여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실험집단의 수업 만족도에 따른 수업의 의미에 대해서도 학습자들의 높은 흥미도와 만족도를 보였으며, 미디어 정보에 대한 수용 자세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귀납적 사고법을 적용한 시각문화미술교육이 학습자의 미디어 리터러시 증진에 효과성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미디어 리터러시의 하위영역에 통제집단에 비해 높은 결과가 나타났고 미디어를 접하는 태도 개선에도 유의미한 결론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가 미술과에서 다루는 미디어 교육을 위한 후속 연구의 자료로 제공되기를 바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tried the educational approach which explores visual information by applying inductive thinking method as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functions, properties, and effects of the visual information found in surroundings. Thus, the element which is to be the independent variable in understanding the functions and the properties of media is inductive thinking method. After organizing the classes designed for searching the advertisements included in visual culture and creating surprising ads, the classes targeted elementary sixth graders. In order to develop the visual culture class program for identifying the effects on the media literacy of learners, five art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fifth graders and sixth graders were analyzed and 'advertisement' was chosen as the class topic. In addition, after organizing the teaching-learning plan and the evaluation plan based on the accomplishment standards suggested by the 2015 Revised Art Division Curriculum, the teaching-learning program was developed. The targets of this study were the two classes of I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the research classes targeting 41 students - 21 students of the experiment group and 20 students of the control group - were conducted. The homogeneity verification of the selected two groups was proved by using the 'Media Literacy Educational Assessment Tool' developed by Ahn Jeong-im et al. (2013). A total of six classes were carried out for both groups; the experiment group experienced the classes, applying inductive thinking method, designed for exploring advertisements and creating surprising ads and the control group attended the classes of learning advertisements and connecting them to expressing activities. Thus, the process of exploring and establishing concept based on inductive thinking procedures was set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hen it came to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the classes, the before examination results and the after examination results were analyzed after using the SPSS Ver. 21.0 Program and implementing statistical processing. Moreover, the conclusion was derived after analyzing the class result evaluation and the class satisfaction of the experiment group. The following are the study results. First, the experiment group which applied the visual culture education based on inductive thinking metho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it came to media literacy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since the visual culture education applying inductive thinking method showed increased figures with regard to respective subordinate domains of media literacy. Third, high levels of interest and satisfaction by learners were shown regarding the meaning of classes according to the class satisfaction of the experiment group and there was a positive change with regard to the attitude of accommodating media information. As a result, the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applying inductive thinking method is effective in improving media literacy of learners. Furthermore, the experiment group had a higher result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subordinate domain of media literacy and a significant conclusion was drawn in the improvement of the attitude of experiencing media. This study can become the data for the future studies for the media education dealt in art division and various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