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00 Download: 0

연극놀이를 활용한 미술 감상수업이 학습자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Title
연극놀이를 활용한 미술 감상수업이 학습자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Art Appreciation Class Using Creative Drama Method on Developing Learner’s Sociality : Focusing on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uthors
조민경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윤정
Abstract
오늘날 교육부가 제시한 미래 교육방향은 주입식의 이론학습량은 줄이고 쉽고 재밌는 소재로 학습참여를 유도하여 주도적으로 미래를 설계할 수 있는 학생 참여중심 수업이다. 이에 따라 학교교육은 학생들이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사고를 할 수 있도록 토론과 협력, 탐구활동을 동반한 활발한 수업참여가 이루어지도록 변화하고 있으며 교육현장에서는 조화와 협력을 도모할 줄 아는 사회적인 역량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교육적 요구를 반영하여 2015개정 교육과정은 초·중·고 교육과정에 연극단원과 선택과목을 신설하여 학습자 간 효과적인 내면화와 활발한 토론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체험중심의 수업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연극연계 체험중심수업은 미술과 영역 중에서도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이 가장 낮은 미술 감상영역에 적극적으로 적용해볼 수 있다. ‘미술 감상’이란 근본적으로 미술 작품의 의미를 이해하고 미술 문화를 향유하는 주체적이고 적극적인 자기 창조활동이다. 그러나 기존의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미술 감상수업은 부족한 시수, 공간의 제약으로 인해 작품 이미지를 평면적으로 바라보며 활동지를 작성하는데 그치고 있어 근본적인 감상활동에 한계점을 지니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박휘락(2003)은 감상자가 역할극과 같은 가상의 체험을 통해 작품을 감상할 경우 작품 감상의 흥미와 효과적인 내면화, 독창적 잠재력을 계발할 수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따라서 미술과는 시대에 부합하여 학생의 적극적인 참여와 활발한 감상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극적인 경험과 체험적인 기회를 미술작품 감상과정에서 제공하고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기법들을 감상방법에 적용하는 교수-학습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목적과 요구에 부합하는 것으로‘연극놀이(Creative drama)’를 미술 감상방법에 활용해볼 수 있다. 연극놀이는 즉흥적, 비상연적, 과정 중심적인 연극형식으로서 학습자의 학업적인 부담을 줄이고 흥미를 이끌어내는 자기주도적인 학생 참여중심 활동이다. 이는 박휘락(2003)이 제시한 체험적 감상방법과 목적에 부합하여 평면이미지와 활동지에 의존적인 기존의 미술 감상방법의 영역을 확장시키고 적극적인 참여중심의 수업을 도모할 수 있다. 선행연구로서 연극놀이는 국어와 영어와 같은 언어교과목을 비롯하여 특수교과에서도 적극적으로 활용되어 다양한 교과목과의 활용가능성과 긍정적인 영향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 미술과에선 미술 감상영역에서의 연극놀이의 활용가능성과 구체적 영향에 대한 연구가 아직까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연극놀이를 활용한 미술 감상수업이 학습자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절차를 계획하였다. 먼저 연극놀이의 개념과 방법에 대해 이해하고 미술 감상 수업에 적용하기 위해 연극놀이의 교육적 의의를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사회성의 개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사회성과 연극놀이와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미술 5~6교과서에서 미술 감상영역을 분석하고, 체험적 감상과 연극놀이의 관계를 고찰하여 연극놀이 기법 10가지를 선정하였으며, 이를 활용한 미술 감상수업을 개발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6학년 1개 반 16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고 연극놀이를 활용한 미술 감상수업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하였다. 실험 전 초등학교 5~6학년을 128명을 대상으로 미술 감상수업에 대한 사전인식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수업은 4주 동안 총 8차시에 걸쳐 진행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실험 수업 전후로 사회성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여 사회성과 사회성의 하위요소에 통계변화를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이에 대한 측정도구는 정범모(1971)가 개발한 사회성 검사지를 수정 및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수업활동에 대한 평가도구는 2009개정 미술교과서에 제시된 성취 기준과 교사용 지도서 및 장혜영(2010)이 개발한 교육연극 미술 감상수업 목표평가표를 수업에 맞도록 재구성하여 개발하였다. 사회성에 대한 검사결과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21.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여 분석하였으며 감상활동 평가도구와 실기평가도구를 바탕으로 미술 감상활동 결과물을 질적 평가하고, 수업활동 및 대화내용, 학생소감인터뷰를 질적 분석하였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극놀이를 활용한 미술 감상수업은 초등학교 6학년의 사회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사회성 검사결과를 분석한 결과 사후검사에서 사회성이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극놀이를 활용한 미술 감상수업은 초등학교 6학년의 사회성 하위요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의 사회성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결과 사회성의 하위요소인 협동성, 준법성, 사교성, 자주성이 모두 증가하여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수업활동 및 대화분석, 만족도 검사와 학생 소감 인터뷰 질적 분석을 통해 연극놀이를 활용한 미술 감상수업이 미술 감상에 대한 흥미도와 인식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따라 연극놀이를 활용한 미술 감상수업이 학습자의 사회성과 사회성 하위요소, 미술 감상에 대한 흥미도 및 인식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연극놀이를 활용한 미술 감상수업을 개발하고 이를 실시하여 연극놀이와 미술 감상의 연계가능성과 그 교육적 효과를 검증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연극놀이를 미술과에서 활용한 선행연구사례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미술 감상영역에도 연극놀이의 교육적 활용의 가능성을 적극 검토하여 감상의 영역을 확장시키고 학습자들이 미술 감상에 대한 보다 긍정적인 인식의 변화를 불러올 수 있기를 바란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art appreciation class using creative drama method to sociality of learners. First of all, to understand the concepts and manners of creative drama method and apply these to art appreciation class, I have considere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creative drama method. Then,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sociality, I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ity and creative drama method. Next, I analyzed art textbook for fifth and sixth graded students, chose 10 techniques of creative drama method, and developed a new art appreciation class based on these technique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class which has 16 students and located in Seoul, South Korea. Before executed the actual study, I have surveyed 128 fifth and sixth graded students to find out their perception about art appreciation class. The actual research classes have proceeded 8 times during 4 weeks. I have conducted pre and post surveys that can show the sociality of each student, adapted the questionnaire of sociality developed by Beommo Jeong(1971), to verify the statistical change of subjects’ sociality and it’s components. As a tool for evaluating class activity, I have developed a new evaluation tool which can meet the standard of accomplishment proposed in the art textbook, version of 2009, and adapted from the evaluation table of creative drama method developed by Hyeyoung Jang(2010). To statistically analyze the results of sociality survey, I have used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as a computerized statistics tool. Also, I have performed quality assessment of the outcomes of art appreciation tools and practical skill evaluation tools. A technique of qualitative analysis have been used to analyze the course activities, conversations, and interview of subject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rt appreciation class using creative drama method shows positive influence to the improvement of sixth grader’s sociality. The results of pre and post analysis of sociality shows the statistically meaningful enhancement. Second, art appreciation class using creative drama method shows the positive impact to the components of sociality as well. After the pre and post analysis, I have found that the outcome of experimental group shows higher scores of cooperativity, law-abidingness, sociability, and independency, which are components of sociality. Third, based on the qualitative analysis of course activities, conversations, satisfactory survey, and interviews, it was possible to find a positive effect of art appreciation class using creative drama method to the interest and changes in perception of subjects about art appreciation class. In short, art appreciation class using creative drama method shows the positive impact to sociality, it’s components, and interest and change of perception about art appreciation class. This research has a great educational significance because it was able to develop and perform a new art appreciation class, and verify the possibility of using creative drama method and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creative drama method to art appreciation cla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