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2 Download: 0

미술과 중심의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미술과 중심의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Art Division-Centered Career Exploration Program on Career Maturit : Focused on Middle School First Graders
Authors
김영빈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윤정
Abstract
우리는 수많은 지식들이 쏟아져 나오며, 세계화, 정보화의 흐름이 빠르게 변화하는 21세기 현대사회에서 살고 있다. 직업세계 또한 세분화, 전문화되고, 직업에 대한 가치관도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직업은 과거 생계수단으로의 의미에서 나아가 우리의 행복과 자아실현을 위한 생애적 개념으로 변화하였다. 변화된 사회 속에서 적합한 직업선택을 하기 위해서는 개인에게 직업정보, 직업구조의 변화 등 종합적인 이해능력과 일에 대한 준비도가 요구되며, 합리적인 의사결정의 능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학생들이 보다 현명하게 자신에게 맞는 진로를 결정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진로교육의 역할과 기능이 요청된다. 오늘날 학교교육의 세계적 흐름은 학생들이 행복할 수 있는 미래역량 중심의 교육에 대해 강조하고 있으며, 진로교육에 대한 다양한 접근방법과 실행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흐름에 따라 진로교육을 강화하려는 정책이 시행되고 있다. 창의적 체험활동 속의 다양한 진로교육, 자유학기제 도입, <진로와 직업>의 시수 조정 등과 같이 진로교육법 제정 등을 거치면서 진로교육에 대한 활성화를 장려하고 있다. 특히 자유학기제는 2016년부터 전국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2017년에는 자유학기 확대운영으로 자유학년제가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학교 현장에서의 진로교육은 일회성에 그치거나 단편적으로 시행되는 등 단절화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현 시점에서는 보다 종합적이고 지속적인 진로교육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자유학기제, <진로와 직업> 과 같이 특정교과 하나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교육과정 전반을 아우를 수 있는, 타 교과와 연계·통합하는 진로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교과통합’으로의 진로교육은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진로교육의 정책 중 하나이며, 우리나라의 단편적이고, 일회적인 진로교육의 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으로써 적용될 수 있다. 진로교육과 통합할 수 있는 여러 독립교과들 중‘미술’교과는 여러 가지 면에서 의의를 가지고 있다. ‘미술’은 본질적으로 자기성찰에 기반을 둔 교과로서 학생들이 자신의 내면을 탐구하고 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과정에서 자신에 대한 이해와 성찰적 변화를 충분히 이끌어낼 수 있다. 자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학생이 가진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고 표현할 수 있다는 면에서 진로교과와 연계하는데 적합한 교과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미술’교과의 성격 및 장점을 바탕으로 진로교육과 연계·통합한 미술과 중심의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학습자는 ‘자기이해’에서 ‘진로탐색’으로의 단계를 거치면서 자신에 대해 이해하는 시간을 가지고, 스스로 진로를 설계 및 탐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 모든 활동들은‘미술’교과만의 장점과 특징을 기반으로 자유롭게 자기표현 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술과 중심의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학습자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두었으며,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이론과 진로교육에 대한 문헌연구와 미술과와 진로교육을 연계·통합한 연구에 대해 고찰하고, 2015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두 교과 간의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둘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미술과 중심의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설계하였고, 연구대상을 선정하여 학습자의 알맞은 학습목표와 평가도구를 설정하였다. 셋째, 경기도 S시의 J중학교 1학년 78명에게 총 12차시의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이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진로성숙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2)의 진로성숙도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수업만족도를 위해 사전에는 진로탐색 프로그램 사전설문을, 사후에는 수업만족도 설문을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활동 중에 인터뷰와 활동보고서(소감문)를 진행하였다. 넷째, 사전·사후로 수집된 진로성숙도검사 자료는 SPSS Ver 21.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응표본 t-test로 검증분석 하여 본 프로그램의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다섯째, 수업만족도 또한 긍정적인 결과를 얻어 프로그램의 유의미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사전·사후 검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과 중심의 진로탐색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습자의 진로성숙도 사전·사후 검사 결과 전체총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났고, 대응표본 t-test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진로성숙도의 하위영역인 태도, 능력, 행동영역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났다. 특히 ‘태도’영역에서의 계획성, ‘능력’영역에서 희망직업에 대한 지식, ‘행동’영역에서 진로탐색 및 준비행동이 높은 향상도를 보였다.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자면 본 연구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진로성숙도 검사 결과 전체 총점과 하위영역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수업만족도에 있어서는 설문조사 결과,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만족도와 진로계획의 도움에 대한 질문에 90%이상이, 활동내용, 난이도, 자료 등의 만족도 질문에 대해 80%이상이 긍정적인 답변을 하였다. 인터뷰 및 활동보고서를 통한 수업만족도 결과로는 학생들의 대부분이‘나에 대해 생각해보고 이해할 수 있었던 의미 있는 수업이었다’, ‘내가 잘 할 수 있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었고, 미래를 구체적으로 설계할 수 있었던 점에서 좋았다’등의 도움이 되었다는 의견을 주었다. 따라서 미술과 중심의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진로성숙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과 높은 수업 만족도를 주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신에 대한 이해와 성찰을 바탕으로 진로에 대한 깊이 있는 고민과 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미술교과의 자기 표현적이고 성찰적인 장점을 바탕으로 진로교육을 ‘미술’교과 속에서 지속적이고 통합적으로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물음을 스스로에게 던지며 자신의 인생을 자기 주도적으로 만들어갈 수 있는, 행복한 삶을 위한 진로교육의 역할로서 기대한다. ; We are living in the modern society in which countless knowledge emerge and the flow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ization changes rapidly. The occupational world is also being segmentalized and specialized and the value of occupations is also drastically changing. The concept of job has shifted from the means of living to the lifetime concept for happiness and self-realization. In order to choose a suitable occupation in the changing society, individuals must possess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bility regarding the information of jobs and the changes of occupational structure, the preparedness toward work, and the rational decision-making ability. Thus, the role and the function of the career education that assist students to select the suitable course of their lives are needed. Today, the international flow of school education put emphasis on the education focused on the future capability of students being happy and a variety of studies on approaches and implementation measures with regard to career education are taking place. In accordance with this flow, Korea is implementing the policy to strengthen career education. Korea is encouraging the invigoration of career education after going through the enactment of career education law such as various career education, the introduction of the free-semester system, and hours adjustment of within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In particular, the free-semester system has been implemented on a nationwide scale since 2016 and the free-academic year system is taking place due to the expanded operation of the free-semester system this year. However, the career education taking place at schools is temporary and narrow. In that sense, the consideration of a comprehensive and consistent career education is necessary at this point. Career educa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a certain theme such as the free-semester system or but encompass the entire curriculum by integrating with other subjects. Career education toward 'combining subjects' is one of the policies being emphasiz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it can be introduced as one method to supplement the limitation of career education that it is fragmentary and temporary. The art subject, among several independent subjects which can be combined with career education, has significance in several aspects. Art, fundamentally based on self-examination, can adequately induce the understanding and introspective changes in the process of students exploring their inner side and expressing it visually and it is an appropriate subject for combining with career education in the sense that students can fully display and express their potential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mselves. In this regar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the strengths of the art subject, this study designed the career exploration program focused on the art division combined with career education. Through this program, learners can communicate with one's surroundings and explore their career after going through the stages of 'self-understanding' and 'career exploration'. All these activities enables free self-expression based on the meri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t subjec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the career maturity of learners by designing the career exploration program focused on art division and the following are the methods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First, the literature studies on career theories and career education and the studies on the combination of art division and career education have been considered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two subjects has been analyzed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Second, the career exploration program focused on art division has been design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the learning objectives and the assessment tool suitable for learners have been set after designating the study targets. Third, the program was conducted 12 times targeting 78 students at J Middle School in a city of Gyeonggi Province. In a bid to figure out the effects of this program on the career maturity of the students, the before examination and the after examination were conducted by using the career maturity examination sheet by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2012). Moreover, in order for class satisfaction, the career exploration program survey was carried out before the classes, the class satisfaction survey was conducted after the classes, and interviews and activity report were implemented during the program. Fourth, the career maturity examination data collected before and after the classes were verified and analyzed based on the matching sample t-test by using the SPSS Ver 21.0 and the significant results of the program were derived. Fifth, the significance of the program was verified since the results of class satisfaction were positive. The following are the summaries of the before and after examination results. First, when referring to the before and after career maturity examination results of the learners who had took part in the career exploration program focused on art divis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otal scor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iveness was found as a result of the matching sample t-test. Second, the subordinate domains of career maturity - attitude, ability, and behavior -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Especially, planning in the 'attitude' domain, the knowledge toward preferred occupation in the 'ability' domain, and career exploration and preparing behavior in the 'behavior' domain showed high improvements. When summing up the study result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areer maturity of the experiment group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total score and the subordinate domain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nd effectiveness was statistically prov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hen it came to the class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 survey results, more than 90 percent gave positive answers toward the assistance in career plan and more than 80 percent offered positive responses when it came to the satisfaction toward the activity contents, the level of difficulty, and the materials. When it came to the class satisfaction through the interviews and the activity reports, most students expressed helpful opinions such as "I thought about and understood myself through this class" "I thought about the things I'm good at and this class was good because I could design my future in detail." Therefore, the point that the career exploration program focused on art division positively influenced the career maturity of middle school first graders and that it improved class satisfaction were verified. In this regard, this study provides the opportunity to establish insightful plans about career based on the understanding and the introspection of oneself. In addi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it developed the program in which career education can be done consistently and comprehensively in the art subject based on the self-expressive and introspective strengths of the art subject. This study is expected to play the role of the career education for an autonomous and happy life in which students ask themselves "Who am I?"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