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3 Download: 0

인터넷 미술관의 교육적 활용이 중학교 3학년 미술 감상수업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인터넷 미술관의 교육적 활용이 중학교 3학년 미술 감상수업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s of Using Online Art Galleries for Educational Purposes on the Learning Motive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Middle School Third Grade Art Appreciation Classes
Authors
김민영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효정
Abstract
We experienced a drastic information expansion in the spread of the Internet. The Internet has provided us knowledge and created the environment where a variety of people can share information and communicate. On the contrary, unfiltered information occasionally exert negative influence toward adolescents. Thus, the education which fosters intuition and analysis ability so as to assess the right and wrong of diverse information with subjective standards is necessary. There are many ways to receive information; in particular, most people perceive visual information. With the increasing dependency on visual information, the necessity of the art education which promotes critical thinking so as to enable the understanding and the proper interpretation of today's visual culture and the accommodation of information with subjective standards is also increasing. Also, the importance of the art appreciation education that assists the proper understanding and use of visual culture is being emphasized. Therefore, when it comes to teaching the art subject at schools, the proportion of the domains of experience, expression, and appreciation should be dealt in a balanced way. However, classes are seldom held in a balanced way. When referring to the teaching-learning direction of curriculums, they stipulate that the field trip of directly experiencing visual culture - museum or art gallery - should be held at least once a semester but students scarcely have the opportunity to experience and appreciate artworks due to the difficulties at schools. In this regard, the use of 'online art gallery' can be an alternative to the teaching method. Online art gallery promotes the appreciation ability and plays the role of being the stage of offering aesthetic experience where learners can freely appreciate artworks according to their preference since it assists learners to develop interest and appreciate artworks and induces active participation. The discussions and the program suggestions related to the art appreciation classes using online art galleries as the alternative to art gallery experience and the new teaching method of art appreciation classes have continued until now. However, since the number of the studies that practically applied this method to classes and analyzed the effects of the program have been insufficient, this study aimed to research the students who belong to the common curriculum that contains the art appreciation classes using online art galleries. In that sen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n the learning motive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improvement of learners by developing the art appreciation class program utilizing online art galleries and applying it to middle school third graders. Therefore, the previous studies on online art galleries have been reviewed and art appreciation and art appreciation education have been theoretically taken into consideration. Moreover, the concept and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art galleries have been examined, the websites of online art galleries have been analyzed, and the ways to use online art galleries when it comes to the art appreciation education have been studied. Based on the aforementioned theoretical contemplation, art appreciation unit was selected as the learning unit and the art appreciation class program utilizing art galleries has been designed after choosing the still-life paintings and the landscape paintings of the East and the West which reflect the phases of the times as the artworks to appreciate. The targets of this study were 52 students of the two middle school third grade classes of D Middle School located in Gwangjin-gu, Seoul, and the research classes were held for six times over the period of four weeks from August 2017 to September 2017. The experiment group attended the appreciation classes using online art galleries and the control group took part in the normal art appreciation classes under the leadership of a teacher. The learning motive examining tool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examining tool were used as the assessment tools. The learning motive examining tool was reorganized according to the subject of this study based on the art learning motive measurement items by Lee Ji-ye (2007) and reliability was measured through a preliminary examination. The academic achievement examining tool used the 10 items based on the learning contents of the classes designed by this study after referring to the formative evaluation item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rt Appreciation Domain Performance Standard and the middle school art textbook guide. Also, validity was verified by one art professional and two art subject teachers. The results of the classes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21.0 after conducting the learning motive examination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examination before and after classes and qualitative evaluation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review sheets filled by students and the group activity products. The following are the analyses of the study results. First, the art appreciation classes which used online art galleries for educational purposes have been found to be effective when it comes to the learning motive improvement of students. According to the before and after learning motive examination results, the learning motive examination scores of the experiment group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nd the group's learning motive increased dramatical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art appreciation classes which used online art galleries for educational purposes have been found to be effective when it comes to the academic achievement improvement of students. According to the before and after academic achievement examination results, the academic achievement examination scores of the experiment group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nd the scholastic performance of the group had increased great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qualitative data - appreciation report, practical results by respective groups, self-assessment sheets, peer evaluation sheets, etc. filled out by the students, the experiment group had higher qualitative evaluation scores and the group had participated more sincerely. These results prove that using online art galleries for educational purposes had positive influences toward improving the learning motive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in the art appreciation classes of middle school third graders.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it verified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art appreciation program using online art galler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art appreciation classes in which students can autonomously participate thanks to the continuous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the art appreciation education program using diverse online art galleries applicable to schools should take place.;인터넷이 보급되고 발전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급격한 정보팽창을 경험하였다. 인터넷은 우리에게 지식을 얻고, 다양한 사람들과 정보를 공유하며 의사소통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었다. 반면 여과되지 않고 부유하는 유해한 정보들은 일부 자라나는 청소년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따라서 다양한 정보들의 옳고 그름을 주관적 기준을 갖고 판별할 수 있도록 직관력과 해석력을 키워주는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 정보를 받아들이는 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특히 오늘날의 사람들은 대부분의 정보를 시각을 통해 받아들인다. 이처럼 사람들의 시각 정보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진 만큼 오늘날의 시각문화에 대해 이해하고 바르게 해석하며, 주관적 기준을 갖고 정보를 수용할 수 있도록 비판적 사고를 길러줄 수 있는 미술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시각적 소통능력’과‘미술문화 이해 능력’에 대해 강조하고 있는 2015년 교육과정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 미술교육 안에서도 시각문화에 대한 현상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감상교육을 중시하게 되었다. 따라서 교육현장에서 미술교과를 가르치는데 있어 체험, 표현, 감상영역의 비중이 균형있게 다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교육현장에서 각 영역의 균등한 무게를 가지고 수업이 진행되는 경우가 드물며, 표현영역이 미술 수업의 주된 활동이 되고, 감상 영역에 대한 교육은 수업의 전과 후 활동에 그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방향을 보면 한 학기에 1회 이상 박물관이나 미술관과 같이 시각문화를 직접 접하고 경험할 수 있는 체험학습을 하도록 명시하고 있지만(교육부, 2015),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여러 가지 어려움으로 인해 실현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학생들이 미술 작품을 체험하고 감상 할 수 있는 기회가 매우 적다. 이에‘인터넷 미술관’의 활용을 교수방법의 대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인터넷 미술관은 학습자가 작품에 대해 주체적으로 흥미를 갖고 감상하도록 하여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돕고, 접속하는 사이트에 따라 매우 다양한 미술작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에 작품에 대한 비평적 감상능력을 길러주며, 각자의 기호에 맞는 작품을 자유롭게 감상할 수 있는 미적 체험의 장으로써의 역할을 한다(박원경, 2007). 박물관, 미술관의 직접체험에 대한 대안적 방법이자 미술 감상수업의 새로운 교수방법으로써‘인터넷 미술관’을 활용한 미술 감상수업과 관련된 논의와 프로그램 제안은 지속되어왔지만, 이 방법을 실제 수업에 적용해 보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한 연구 사례는 매우 부족했기 때문에 인터넷 미술관을 활용한 미술 감상수업을 공통 교육과정에 속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해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을 인터넷 미술관을 활용한 미술 감상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중학교 3학년에 적용해봄으로써 학습자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는 것에 두었다. 따라서 인터넷 미술관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고, 미술 감상과 미술 감상교육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또한 인터넷 미술관의 개념과 특징을 알아보고 인터넷 미술관 사이트를 분석하였으며, 미술 감상교육에 있어 인터넷 미술관의 활용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위와 같은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미술 감상단원을 학습단원으로 선정하였고, 작품을 통해 당시의 시대상을 살펴볼 수 있는 동·서양의 정물화, 풍속화 작품을 감상 작품으로 선정해 인터넷 미술관을 활용한 미술 감상수업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연구 대상으로는 서울시 광진구 소재의 D중학교 3학년 2개 학급, 총 52명의 학생들을 선정하였으며, 연구 수업은 2017년 8월부터 2017년 9월까지 총 4주간 6차시에 걸쳐 실시되었다. 연구 수업에서 실험집단에게는 인터넷 미술관을 활용한 감상수업을, 통제집단에게는 교사 주도하의 일반적 미술 감상수업을 진행하였다. 평가도구로는 학습동기 검사도구와 학업성취도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학습동기 검사도구는 교육공학자 Keller(1993)의 검사지를 웹기반 학습에 적용한 Song(1998)의 성취동기 측정도구와 박상훈(2001)의 학습동기 검사를 수정 보완한 장혜정(2001)의 검사지를 미술교과에 적용한 박종미(2003)의 학습동기 문항을 수정하여 사용한 이지예(2007)의 미술 학습동기 측정 문항을 바탕으로 연구자의 주제에 따라 재구성하여 사용하였으며, 예비검사를 통해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학업성취도 검사도구는 2015 개정교육과정 미술과 감상영역 성취기준 및 중학교 미술교과서 지도서의 형성평가 문항과 에듀넷에서 게시하고 있는 미술 감상 관련 문항을 참고하여 본 연구자가 설계한 수업의 학습내용을 바탕으로 10문항을 출제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미술 전문가 1인과 현직 교사 2인에게 타당도를 검증받았다. 평가도구인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 검사지를 수업 전·후로 실시하여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Ver 21.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해 수업의 결과를 분석하였고, 수업과정에서 학생들이 작성한 감상문과 조별활동의 결과물을 평가기준에 따라 질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 미술관을 교육적으로 활용한 미술 감상수업은 학생들의 학습동기 향상에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학습동기 사전·사후 검사결과에 따르면, 본 연구에서 실시한 실험집단의 학습동기 검사결과에 따르면, 통제집단에 비하여 실험집단에 실시한 학습동기 검사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통제집단에 비하여 학습동기가 큰 폭으로 상승하였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인터넷 미술관을 교육적으로 활용한 미술 감상수업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학업성취도 사전·사후 검사결과에 따르면, 통제집단에 비하여 실험집단에 실시한 학업성취도 검사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통제집단에 비하여 학업성취도가 큰 폭으로 상승하였음을 알 수 있다. 셋째, 학생들이 작성한 감상문, 조별 실기결과물, 자기평가지, 동료평가지 등의 질적 자료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질적 평가점수가 높고 성실하게 참여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는 인터넷 미술관의 교육적 활용이 중학교 3학년 미술 감상수업에서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데 긍정적 영향을 주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터넷 미술관을 활용한 미술 감상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토대로 실제 미술 교육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인터넷 미술관을 활용하는 미술 감상교육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개발 및 보급되어 학생들이 주체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미술 감상수업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