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0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남시-
dc.contributor.author고해정-
dc.creator고해정-
dc.date.accessioned2018-03-06T16:32:49Z-
dc.date.available2018-03-06T16:32:49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4816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48167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1107-
dc.description.abstractThe modern society is the place where the urge to enjoy culture for the improvement of living quality takes place in many aspects. In particular, the students in the modern times can sympathize with the art popular culture occurring close to them since it comes as a more direct world of experience. Thus, the art culture and appreciation activities which emerge as more interesting and being enjoyed by students can be effective in fostering the talents who possess cultural knowledge. In that sense, the appreciation education which can nurture art lovers as a part of the lifelong education that has deviated from the existing art education mainly focused on expression. We can understand the flow of age through art. The art appreciation education enables the understanding of culture and the improvement of the discerning eye toward social phenomena as the part of fostering the talents required by the modern society.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appreciate culture is significant as the education to properly understand the visual culture images and promote visual literacy - the ability to newly understand and create through critical analyses and evaluations. Thus, the art appreciation education should not remain at the mere level of art history information and memorization but make approaches as the autonomous education focused on learners through the efforts to choose artworks and judge their meanings and values. However, the teaching methods at schools are somewhat standardized; thus, a more novel and diverse art appreciation teaching methods are required. In addition, teachers should enhance the aesthetic response by students toward artworks by multilaterally studying the effective ways to deliver materials.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classes utilizing art auctions for the enhancement of the interest toward the art appreciation classes of high school second graders and the fostering of their critical ability toward artworks and research the effects of the classes on the critical thinking tendency of learners. The following are the methods to achieve the goals of this study. First of all, the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education have been explored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 criticism education and critical thinking tendency have been figured out. Moreover, the educational effects of connecting the art criticism education and the art auction activities have been discussed. Lastly, the effects of the art criticism classes utilizing art auctions on critical thinking tendency have been studi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the high school art criticism classes using art auctions on critical thinking tendency, the class design for schools was planned. Also, 64 students of the art class at J High School located in Gwangjin-gu, Seoul, were selected as the targets of this study and the classes were held for six times respectively with regard to 37 students of the experiment group and 27 students of the control group. In this study, art auctions were used as the art criticism class to improve critical thinking tendency. Students set the price during the auction experience class for the appreciating and criticizing artworks based on the criticizing stages by E. B. Feldman and they judged the value of the works based on the plenty of knowledge earned through the criticism education. Furthermore, so as to verify the preliminary homogeneity of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critical thinking tendency examination sheet (2002) by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has been reorganiz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the high school art division appreciation domain evaluation method based o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was applied. The criticism activity sheet was made based on the accomplishment evaluation tool developed by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and the students filled out self-evaluation sheet which allows the evaluation of one's own attitude during class and used it. Moreover, the effects of the art appreciation classes on critical thinking tendency were examined by analyzing the excellent activity sheets.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the art appreciation classes utilizing art auctions - independent variable - when it came to the experiment group, which had been verified of its homogeneity, and the traditional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classes took place when it came to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are the following. First, as a result of studying the effects of the art criticism classes using art auctions on the critical thinking tendency of high school second graders, the before critical thinking tendency and the after critical thinking tendency of the students who had took part in this progra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when it came to the before examination and the after examination of the subordinate domains of critical thinking tendency, there were significant results in respective domains. Third, as a result of qualitatively analyzing the criticism writing results after the classes, the class results of the experiment group that applied the art criticism classes utilizing art auctions were evaluated at a higher level than the control group which performed the traditional art appreciation classes. In conclusion, the art criticism classes using art auctions have been found to be effective when it comes to the improvement of critical thinking tendency and this study is meaningful as the data to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classes at the site of art education. Therefore, a variety of criticism models should be analyzed and used at high schools for the criticism classes and teachers, schools, and the local community should join hands to accomplish this task.;현대사회는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문화를 누리고 즐기고자 하는 관심이 다방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시대이다. 특히 현대를 살아가고 있는 학생들에게 주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미술 대중문화는 더욱 직접적인 체험 세계로 다가와 공감할 수 있다. 따라서 학생들에게 더욱 흥미롭게 다가오며 현재 향유되고 있는 미술문화와 감상활동은 문화적 소양을 갖춘 인재를 기르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그러므로 종래의 표현 위주의 미술 교육으로부터 탈피한 평생 교육의 일환으로써 미술 애호가를 기를 수 있는 감상교육이 필요하다. 우리는 미술을 통해 시대의 흐름을 읽을 수 있다. 그중 미술 감상교육은 현대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재를 기르기 위한 일환으로 문화를 이해하고 사회 현상을 보는 안목을 기를 수 있도록 한다. 문화에 대한 이해와 감상능력은 무비판적으로 수용되는 시각문화 이미지들을 바르게 이해하고, 비판적인 분석과 평가를 통해 재인식, 창조하는 능력인 시각적 해독력(visual literacy)을 키우는 교육으로서 중요하다. 따라서 미술 감상교육은 단순한 미술사적 정보와 암기에 그쳐서는 안 되며, 미술작품을 선택하고 의미와 가치를 판단하려는 노력을 통한 학습자 중심의 주체적인 교육으로써 접근해야 한다. 그러나 학교 현장의 교수 방법들은 다소 정형화되어 있어, 보다 참신하고 다양한 미술 감상 교수법이 요구된다. 또한, 교사는 자료를 어떻게 제시하는 것이 효과적인가를 다각적으로 연구하여 작품에 대한 학생들의 미적 반응을 높여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미술 감상 수업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작품에 대한 비평 능력을 길러주기 위해, 미술품 경매를 활용한 수업을 연구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학습자의 비판적 사고 성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목적을 이루기 위한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이론적 배경으로 미술 감상·비평교육에 대해 탐구하였고, 미술 비평교육과 비판적 사고 성향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또한, 미술 비평교육과 미술품 경매활동을 연결시켜 교육하였을 때 어떠한 교육적 효과가 일어나는지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미술품 경매를 활용한 미술 비평 수업이 비판적 사고 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미술품 경매를 활용한 고등학교 미술 비평 수업이 비판적 사고 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현장 적용을 위한 수업설계를 계획하였고, 서울시 광진구에 위치한 J고등학교 미술 수업에서 64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실험집단 37명, 통제집단 27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6차시와 통제집단 6차시에 걸쳐 수업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비판적 사고 성향을 증진시키기 위한 미술 비평 수업으로 미술품 경매를 활용하였다. 학생들은 펠드먼의 비평단계에 따라 감상·비평한 작품으로 경매체험 수업 때 가격을 책정하고, 비평교육으로 얻은 풍부한 지식을 기반으로 작품의 가치를 판단한다. 또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비판적 사고 성향 검사지(2002)를 연구 목적에 맞춰 재구성하였으며, 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미술과 감상영역 평가방법을 적용하였다. 한국교육개발원에서 개발한 수행평가도구를 바탕으로 비평 활동지를 개발하고, 학생이 스스로 자신의 수업 태도를 평가할 수 있는 자기 평가지를 작성하여 활용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결과물 중 ‘상’에 해당하는 활동지를 분석하여 미술 비평 수업이 비판적 사고 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동질성이 증명된 두 집단 중 실험집단에는 독립변인인 미술품 경매를 활용한 미술 비평 수업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전통적인 미술 감상·비평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품 경매를 활용한 미술 비평 수업이 고등학교 2학년의 비판적 사고 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사전과 사후 비판적 사고 성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났다. 둘째, 비판적 사고 성향 하위영역의 사전, 사후 검사에 있어서도 각 영역별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수업 후 비평문 결과물에 대한 질적 분석 결과, 전통적 미술 비평 수업을 실행한 통제집단에 비하여 미술품 경매를 활용한 미술 비평 수업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수업 결과물이 더 높은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미술품 경매를 활용한 미술 비평 수업이 비판적 사고 성향 향상에 효과적이었으며 미술 교육 현장에서 본 수업이 개발되고 활용되기 위한 자료로써 의미가 있다. 따라서 고등학교 미술 교육 현장에서 비평 수업을 위해 다양한 비평 모형이 분석되고 활용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교사뿐 아니라 학교와 지역사회의 협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내용 및 방법 3 Ⅱ. 이론적 배경 4 A. 미술 비평과 비판적 사고 성향 4 1. 미술 감상과 미술 비평 4 2. 미술 비평과 비판적 사고 성향 10 B. 미술품 경매의 이해 17 1. 미술품 경매 17 2. 미술품 경매의 교육적 적용 21 C. 고등학교 미술 교과에서 감상비평 수업 26 1. 고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 감상비평 영역 26 2. 미술품 경매를 활용한 미술 비평 수업 32 Ⅲ. 연구방법 34 A. 연구대상 및 절차 34 1. 연구대상 34 2. 연구절차 39 B. 연구도구 41 1. 수업도구 41 2. 평가도구 65 Ⅳ. 연구결과 및 논의 71 A. 연구결과 71 1. 비판적 사고 성향에 대한 측정결과 71 2. 활동지 및 비평문 평가 77 B. 논의 85 Ⅴ. 결론 및 제언 88 참고문헌 91 ABSTRACT 13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29881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미술품 경매를 활용한 미술 비평 수업이 고등학교 2학년의 비판적 사고 성향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Art Criticism Classes Using Art Auctions on the Critical Thinking Tendency of High School Second Graders-
dc.format.pagevii, 135 p.-
dc.contributor.examiner김효정-
dc.contributor.examiner강윤정-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18.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