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은경-
dc.contributor.author서은정-
dc.creator서은정-
dc.date.accessioned2018-03-06T16:32:49Z-
dc.date.available2018-03-06T16:32:49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4758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47586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1106-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art museum appreciation class on the appreciation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odern society is a field of abundant visual culture an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various visual media. Accordingly, the ability to critically select and accept necessary information and knowledge in the flood of visual information, to understand the culture contained in it, to communicate properly, and to create a new culture is emphasized. Art is a visual arts activity that is related to visual culture. Especially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the need for education has increased as a comprehensive activity which can see and feel the object and judge the value according to the personal standard. In this social trend, the art museum is developing into an educational space that provides a place for aesthetic experiences to ordinary citizens, rather than simply a space for preserving, researching, and exhibiting art objects and relics. Therefore, as a space for appreciation education, art museum has the greatest advantage that students can see actual works, which can overcome limitations of school art appreciation education. In addition,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art culture can be understood through communication with people who appreciate works and works with various cultural backgrounds. It also has the advantage that it induces interest in art and expands the recognition range of art by experiencing contemporary art that was not easily accessible. For this purpose,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btained from the previous research and the literature review, the teaching - learning instruction for enhancing the appreciation ability applying the appreciation class using the museum was designed around the four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 experimental group and 30 control group in A class of 4 elementary school. In this study, A museum appreciation class was designed focusing on the subcenter 'Art museum trip' of 'Art culture experience', which is a part of the 2009 revised Cheonjae education elementary art textbook used in the school. Prior to the experiment, a homogeneity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homogeneity of the two groups. In the experimental group, art appreciation class using art museum was applied in 3 ~ 4th class and general art appreciation class in class 3 ~ 4 class was applied to the control group. 5-6 class periods, the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writing the impressionistic essay after learning and to conduct a post test after experiment examined changes in the appreciation skills Also it was evaluated that the activities of sentimental texts and referred them to the study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rt appreciation clas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art appreciation ability of experimental group students.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divided into sub - factors of art appreciation attitude, formative factor search, content search, and value judgment.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all sub - elements of appreciation ability. Second, in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appreciation essay conducted by the appreciation activities during the appreciation class, the experimental group described all of the impression stages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and not only the acceptance of the contents of the instructor, in addition to their own thoughts and feelings it creates a subjective appreciation essay. Third, the art museum appreciation class provided students with a rich aesthetic experience opportunity. Students can appreciate the artwork as an actual work rather than indirectly appreciating the artwork in the school. By directly contacting the actual work, students were able to experience various elements such as the texture, space, and volume of the work. It also provided an opportunity for a new discovery of the art museum as a learning space. The motivation was motivated by the learning which was carried out from the school and stimulated interest in learning.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the art museum appreciation class applied to the four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positively influences the improvement of the appreciation ability. Based on these results, in order for the appreciation education using the museum to be more active, the linkage between the school and the museum should be organized systematically. Also, it should be designated as institutionalized curriculum not only as recommendation for visiting museums.;현대 사회는 풍부한 시각 문화의 장으로 다양한 시각 매체를 통해 정보가 전달된다. 이에 따라 시각 정보의 홍수 속에서 필요한 정보와 지식을 비판적으로 선별 하고 수용할 수 있는 안목과 그 속에 담겨있는 문화를 이해하고 올바르게 소통하며 새로운 문화를 창조할 수 있는 능력이 중시되고 있다. 미술은 시각적인 예술 활동으로 시각문화와 연관되는 교육이다. 미술교육 영역 중에서도 특히 감상은 대상을 보고 느끼고 개인적 기준에 준거하여 가치를 판단할 수 있는 종합적인 활동으로서 교육적 필요성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사회적 흐름 속에서 미술관은 단순히 미술품이나 유물 등을 보존, 연구, 전시하는 공간이 아닌 일반 시민들에게 미적 체험의 장을 제공하는 교육적 공간으로 발전하고 있다. 따라서 감상 교육의 공간으로서 미술관은 학생들이 실제 작품을 접할 수 있다는 가장 큰 장점을 갖고 있어 학교 미술 감상 교육이 갖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작품과 작품을 감상하는 사람들과의 소통을 통해 미술 문화의 사회적 특성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쉽게 접할 수 없었던 현대미술을 경험함으로서 미술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고 미술에 대한 인식 범위가 확장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관 감상 수업이 초등학교 4학년들의 감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 연구 및 문헌 고찰을 통해 미술 감상의 개념 및 필요성, 2009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감상영역의 분석하고 미술관 감상 교육의 개념, 필요성, 교육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문헌을 통한 이론적 고찰로 얻어진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미술관을 활용한 감상 수업을 적용한 감상 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지도안을 초등학교 4학년을 중심으로 설계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서초구에 위치한 A 초등학교 4학년의 두 개 학급을 대상으로 하여 실험집단 30명, 통제집단 30명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대상의 학교에서 사용하는 2009 개정 천재교육 초등 미술교과서의 대단원 ‘미술 문화 체험’의 소단원 ‘미술관ㆍ박물관 여행’을 중심으로 미술관 감상 수업을 구상하였으며, 총 6차시의 수업을 진행하였다. 실험에 앞서 두 집단의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해 사전 동질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에는 3~4차시에 미술관을 활용한 미술 감상 수업을 적용하였고, 통제집단에는 3~4차시에 교실에서 진행되는 일반적인 미술 감상 수업을 적용하였다. 5~6차시에는 사후 학습으로 감상문 작성을 통해 수업결과를 분석하였고 실험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감상 능력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또한 감상문 활동지를 평가하여 연구 결과에 참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관 감상 수업은 실험집단 학생들의 미술 감상 능력에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감상 능력을 작품 감상 태도, 조형적 요소 탐색, 내용 탐색, 가치 판단의 하위요소로 나누어 사전ㆍ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은 감상 능력의 모든 하위요소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둘째, 감상 수업 중의 감상 활동으로 진행한 감상문 활동지의 평가 결과에 있어서도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각 감상 단계에 대해 빠짐없이 서술하였고 지도 교사의 수업 내용을 단순히 받아들이는 것에 그치지 않고 전달받은 지식을 바탕으로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더해서 주체적으로 감상문을 작성하였다. 셋째, 미술관 감상 수업은 학생들에게 풍부한 미적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학교에서 간접적으로 미술 작품을 감상하는 것이 아닌 실제 작품으로 감상할 수 있으며 실제 작품을 직접 접함으로써 작품의 질감, 공간감, 양감 등 다양한 요소들을 체험할 수 있었다. 또한 학습 공간으로서의 미술관에 대한 새로운 발견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학교 외에서 진행되는 학습으로 학습 동기를 유발하며 학습에 대한 흥미도 자극하였다. 따라서 결론적으로 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 적용한 미술관 감상 수업이 감상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미술관을 활용한 감상 교육이 더욱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학교와 미술관과의 연계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한다. 또한 미술관 방문에 대해 권장에서 그치지 않고 제도적으로 확립된 교육과정으로 지정되어야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의 방법 4 Ⅱ. 이론적 배경 5 A. 미술 감상 교육의 이해 5 1. 미술 감상의 개념 5 2. 미술 감상 교육의 필요성 7 3. 미술과 교육과정 감상영역 분석 9 B. 미술관 감상 교육 15 1. 미술관 감상 교육의 개념 15 2. 미술관 감상 교육의 필요성 18 3. 미술관 감상 교육 방법 23 Ⅲ. 연구방법 29 A. 연구 대상 및 절차 29 1. 연구 대상 29 2. 연구 절차 31 B. 연구 도구 33 1. 수업 도구 33 2. 평가 도구 46 C. 자료 분석 50 Ⅳ. 연구결과 및 해석 51 A. 연구결과 51 B. 논의 67 Ⅴ.결론 70 참고문헌 73 부록목차 75 ABSTRACT 10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19281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미술관 감상 수업이 초등학교 4학년의 감상 능력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ffect of Appreciation Class in Art Museum on-
dc.format.pagevii, 10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18.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