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은경-
dc.contributor.author방현지-
dc.creator방현지-
dc.date.accessioned2018-03-06T16:32:48Z-
dc.date.available2018-03-06T16:32:48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4839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48392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1105-
dc.description.abstract현대 사회는 과학기술과 정보통신의 발달로 급변하고 있다. 이러한 복잡한 상황 속에서 어려운 문제를 직면했을 때에 융통성 있게 대처하고, 올바른 해결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이때에 핵심적인 능력으로 창의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사고와 자신만의 개성을 표출할 수 있는 창의적 능력을 신장시켜야 한다.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 요구하고 있는 것 또한 발상과 도전으로 창의성을 발휘하는 창의적인 사람을 인재의 상으로 제시하고 있다. 또한 2015개정 교육과정이 제시한 미래 사회에 필요한 핵심역량 6가지 중 ‘창의적 사고 역량’이 포함되어있다. 이는 다양한 분야의 지식, 경험, 기술을 융합적으로 활용하여 새로운 것을 발견하는 능력을 말한다. 하지만, 한국의 입시 위주의 암기교육을 하고 있는 한국의 현 학교 수업에서는 창의성을 키우는 데에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암기식 교육과 입시위주의 수업으로 인해 학생들의 의욕이 줄어들어 성취감을 잃고, 자신감을 상실한다. 특히 주요과목이 아닌 미술수업에서는 더 낮은 집중력과 성취감을 가진다. 이로 인해 학생들은 미술수업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며, 적극적인 태도가 아닌 소극적인 태도로 수업에 임하는 경우가 생길 것이다. 이러한 소극적인 태도에서 벗어나 주도적으로 수업에 참여하는 방법 중 하나로 모둠활동이 있다. 혼자 해결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문제 해결 능력이나 방식에서 다양하게 접근할 수 있고, 협동을 통해 성취감을 얻는 방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로 미술수업에서의 협동학습을 구상하였다. 미술 수업에서 창의적 표현력을 위한 교육으로LT 협동학습 모형을 활용한 미술 수업을 개발하고 실제 현장에 적용하여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 협동학습에 대해 알아보고, LT 협동학습 모형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창의적 표현력, 초등학교 미술 수업에서의 협동학습, 초등학교 미술 수업에서의 창의적 표현력에 관한 연구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초등학교 미술 교과서를 분석하고, 단원을 선정하여 초등학교 미술과 수업에 LT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교수-학습 지도안을 작성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미술 수업에서 LT 협동학습 모형의 적용이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 중랑구에 위치한 C 초등학교 3학년을 연구대상으로 실험집단 28명, 통제집단 28명으로 총 56명의 학생들을 선정하였고, 동질성을 검증하였다. 총 6차시로 진행되었으며, 실험집단에는 LT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 수업을 진행하였고, 통제집단은 전통적인 모둠활동 미술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도구로 ‘야외의 조형물 제작하기’라는 주제로 작품을 제작하는 것을 설정하였다. 평가도구로는 2009개정 초등 미술과 교육과정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재구성하였으며, 창의적 표현력의 측정 검사 도구는 로웬펠드(1993)가 제시한 창의성 하위요소를 중심으로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주제표현, 표현방법, 조형요소와 원리 세 가지 영역으로 분류하였으며, 하위영역으로 주제표현의 유창성, 독창성, 재구성, 표현방법의 융통성, 개방성, 조직하는 능력, 조형요소와 원리의 종합하는 능력, 정교성으로 설정하였다. 최종 실기 결과물 평가를 위해 현직 초등학교 교사 2인과 본 연구자를 포함한 3인이 창의적 표현력 측정 검사도구 평가기준표에 의거하여 채점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고,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전체 창의적 표현력 점수는 실험집단 M=35.7(SD=.34) 통제집단 M=28.4(SD=.85), 로 나타나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창의적 표현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p<.001 수준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LT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 수업이 실험집단의 창의적 표현력 점수가 통제집단보다 높은 결과를 보였기에 LT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이 전통적인 모둠활동을 적용한 미술수업보다 창의적 표현력을 표현하는 데에 있어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미술 수업에서 LT 협동학습을 적용한 다양한 미술 수업 프로그램이 개발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Modern society is changing rapidly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technology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In this complex situation, it is important to be flexible and to find the right solution when faced with difficult problems. At this time, creativity is required as a core competence. Therefore, creative thinking and creative ability to express one's own personality should be expanded. What is required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lso suggests a creative person who demonstrates creativity through ideas and challenges. In addition, the 'creative thinking capacity' is included among the six core competencies required for the future society presented by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is refers to the ability to discover new things by fusing knowledge, experience, and technology from various fields. However, it is difficult to increase the creativity in Korea's current school system which focuses on the memorization education for entrance examination. Due to this system, students are less motivated and lose their sense of accomplishment and self-confidence. Especially in art classes, which are not major subjects, they have a lower concentration and a sense of accomplishment. This will lead to students losing interest in art class, therefore showing a passive attitude rather than an active attitude One of the ways to make stu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in class is the group work. Since it is not solving problems by ones' own, it is a way to approach problems from various point of views and gain a sense of accomplishment through cooperatio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cooperative learning in art class as one of the ways to solve this probl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art class using the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 on the creative expression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is the cooperative learning and the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 In addition, research on creative expressiveness, cooperative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art class, and creative expressiveness in elementary school art class were examined. Based on this theoretical background, elementary school art textbooks were analyzed, and a unit was selected and a teaching - learning plan based on the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 was created in the elementary school art cour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application of the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 on creativity in the art class for the thir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56 students(28 experimental groups and 28 control groups were selected from C elementary school in Joongrang - gu, Seoul. In the experiment group, the art class was applied with the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 and the control group conducted the traditional group art class. The theme of 'Making Outdoor Sculpture' was proposed as a classroom tool. As an evaluation tool, the 2009 revised elementary art curriculum was revised and reconstructed. The creativity sub - element proposed by Rowenfeld (1993) was used to measure of the creative expression ability. In this study, there are three categories which are the subject expression, expression method, and the formative element and principle. These categories include fluency of subject expression, originality, reconstruction, flexibility of expression method, openness, organizational ability, comprehensive ability, and sophistication. Two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 researcher used the evaluation criteria of the creative expressive ability test tool to evaluate the final resul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22.0 program, and conclusions were draw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total of creative expressive score was as follows: experimental group M = 35.7 (SD = .34) and control group M = 28.4 (SD = .8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showing the experimental group a higher score of creativity than the control group. As a result, the art class using the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 for the 3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showed higher results than the control group for the creative expressiveness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refore, the art class using the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 was more creative than the art class using the traditional group activities And it has a positive effect in expressing expressive power. It is expected that various art class programs applying LT cooperative learning in art class will be developed in the futu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의 방법 2 Ⅱ. 이론적 배경 3 A. 협동학습의 이해 3 1. 협동학습의 개념과 특징 3 2. 협동학습 수업모형 7 3. LT협동학습 모형 10 B. 창의적 표현력 13 1. 창의적 표현력의 개념 13 2. 초등학생의 창의적 표현력 18 C. 초등학교미술수업에서 창의적 표현력과 협동학습 21 1. 초등미술수업에서 창의적 표현력 21 2. 초등미술수업에서 협동학습 22 Ⅲ. 연구방법 24 A. 연구대상 및 절차 24 1. 연구대상 24 2. 연구절차 27 B. 연구도구 28 1. 수업도구 28 2. 평가도구 53 C.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58 Ⅳ. 연구결과 및 논의 60 A. 연구 결과 60 B. 논의 72 Ⅴ. 결론 74 참고문헌 76 부록목차 79 ABSTRACT 10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6853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LT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이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초등학교 3학년 입체조형수업을 통하여-
dc.title.translatedArt class with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 Influence on Creative Expressiveness : Through the 3rd grade elementary school-
dc.creator.othernameBang, Hyun Ji-
dc.format.pagevii, 102 p.-
dc.contributor.examiner김효정-
dc.contributor.examiner강윤정-
dc.contributor.examiner김남시-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18.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