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80 Download: 0

펠드먼의 미술비평단계를 적용한 조선건축 감상수업이 한국 전통미 인식에 미치는 영향

Title
펠드먼의 미술비평단계를 적용한 조선건축 감상수업이 한국 전통미 인식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eaching for Appreciation : Architecture of Joseon Dynasty Effects of Feldman’s Model of Art Criticism on Korean Traditional Beauty Recognition Learning Model in High School of Second Grade
Authors
박다솜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은경
Abstract
한국은 20세기 중반 서양의 문화가 유입되면서 한국 고유의 생활양식이 점차 없어지는 등 문화적으로 많은 변화를 겪었다(최준식, 2015). 이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의 독자성은 지키면서 다양한 문화를 받아들이는 것의 중요성이 제기되어왔다. 한국이 고대부터 현대까지 국제적인 영향 속에서도 본연의 주체성을 잃지 않고 이를 바탕으로 균형있게 발전해왔듯이, 이전보다 더 많은 문화가 유입되는 상황 속에서 한국의 독자성을 바탕으로 분별있게 받아들여 발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필요한 것은 한국의 문화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가지는 것이다. 한국의 문화를 올바르게 인식할 때 다른 문화를 주체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전통문화를 이해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교육을 학습자에게 전달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2009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미술과 교과의 교육목표는 미적 감수성과 직관으로 대상을 이해하고 시각적 조형물이 가진 아름다움을 느끼며 누릴 수 있는 심미적 태도와 표현력, 상상력, 창의성, 비판적 사고력을 길러 미술 문화를 향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2015 개정 미술과 교과에서는 이를 향수에서 더 나아가 삶 속에서 미술 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데까지 관점을 확장하고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감상영역에서는 작품을 여러 관점에서 분석하고 해석하며, 작품의 가치판단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비평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교과서의 미술문화 감상과 비평영역에서는 회화의 감상이 주를 이루었으며, 건축영역을 다루는 교과서는 확인할 수 없었다. 회화에 국한되어 있는 감상의 영역을 확장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비평방법 중 펠드먼의 미술비평단계를 적용한 조선건축 감상수업이 한국 전통미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펠드먼의 미술비평단계를 적용할 경우, 교사의 강의 위주의 전통적 감상수업에서 벗어나게 되며, 교사의 관점이 학습자에게 주입되는 현상에서 탈피할 수 있다. 학습자는 주체적으로 대상을 분석하고, 정보를 수집하고 종합하며, 종합된 것을 바탕으로 조선건축의 가치를 판단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펠드먼의 미술비평단계를 적용한 조선건축 감상수업이 고등학교 2학년의 한국 전통미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조선건축과 한국 전통미, 펠드먼의 미술비평단계, 2009 개정 고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 등에 관한 문헌연구와 선행연구를 고찰하였으며,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방법을 설정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특별시 양천구에 소재한 K고등학교 2학년 두개의 학급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두 학급은 동일한 교육과정 중에 있으며, 실험집단 24명, 통제집단 24명으로 총 48명의 학생들이 각각 6차시의 수업에 참여하였다. 실험집단에는 펠드먼의 미술비평단계를 적용하여 조선건축 감상수업을 설계하였다. 1-2차시에는 조선시대의 배경과 조선건축구조 등의 기본적인 이론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조선건축을 살펴본다. 3-4차시에는 펠드먼의 미술비평단계에 따라 비평·감상 활동지 1을 작성하며 조선의 별서원림인 ‘소쇄원’을 감상한다. 5-6차시에는 펠드먼의 미술비평단계에 따라 비평·감상 활동지 2를 작성하며 조선의 서원인 ‘병산서원’을 감상하고, 조선건축 속 한국 전통미를 정리하며 마무리한다. 통제집단은 전통적 강의식 조선건축 감상수업으로 진행한다. 1-2차시에는 실험집단과 마찬가지로 조선시대의 배경과 조선건축구조 등의 기본적인 이론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조선건축을 살펴본다. 3-6차시에는 전통적인 강의식 감상수업으로 ‘소쇄원’과 ‘병산서원’을 감상한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한국 전통미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동일하게 하였다. 사전·사후 검사지의 문항은 류지연(2002)의 한국 미의식 이해도 진단과 이현숙(2011)의 전통문화의 인식에 대한 질문지의 문항을 기초하여 작성하였으며, 검사지의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검사결과의 통계처리는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펠드먼의 미술비평단계를 적용한 조선건축 감상수업이 고등학교 2학년의 한국 전통미 인식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펠드먼의 미술비평단계를 적용한 조선건축 감상수업을 진행한 실험집단이 전통적 강의식 조선건축 감상수업을 진행한 통제집단보다 한국 전통미 인식도에서 높은 변화를 보였다. 교사가 주도적으로 감상수업을 이끌며 학생에게 주입하는 경향이 강한 전통적 감상수업과는 달리, 스스로 관찰·분석·해석·평가하면서 조선건축에 대한 이해가 높아졌다. 또한 비평·감상활동지를 평가해보았을 때, 학습자가 분석한 것을 종합하여 건축물의 가치를 판단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조선건축에 대한 주체적인 인식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교사의 설명이 주가 되는 강의식 감상수업보다 펠드먼의 미술비평단계를 적용한 감상수업이 한국 전통미 인식의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한국 전통미 인식도의 하위영역 중 한국 전통미 이해 영역에서 펠드먼의 미술비평단계를 적용한 실험집단이 전통적인 감상수업을 받은 통제집단보다 향상되었다. 기술, 분석, 해석의 단계를 거치면서 학생들은 주체적인 감상과 비평을 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스스로 분석하고 해석하여 감상하는 것에 흥미를 느끼며 강의식의 감상수업보다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강의식 감상수업과 달리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감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흥미와 집중력을 높이면서 이에 따라 학습자의 이해도의 향상에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펠드먼의 미술비평단계를 적용한 조선건축 감상수업이 한국 전통미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한국 전통미 인식의 향상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펠드먼의 미술비평단계를 적용한 조선건축 감상수업은 학생들이 조선건축의 특징과 아름다움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였고, 조선건축에 대한 가치를 판단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나아가, 전통문화의 가치를 존중하고 보존하려는 태도를 기를 수 있게 하였다. 앞으로 한국 전통문화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높이기 위한 전통문화 감상수업 방법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Korea has undergone a lot of cultural changes such as the gradual disappearance of the Korean lifestyle due to the influx of Western culture into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In response to these changes, the importance of accepting diverse cultures while maintaining the uniqueness of Korea has been raised. Just as South Korea has developed in a balanced way from its ancient to modern times without losing its original identity in the international influence, it is important to develop it acceptably based on the uniqueness of Korea in the context of more influx of cultures than ever before. The first thing to do is to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When correctly recognizing Korean culture, other cultures can be accepted as subjects. Therefore, we need to educate learners to understand and develop traditional culture. In the revised art education curriculum of 2009, the educational goal of the art subject is to understand the object with aesthetic sensibility and intuition, to feel the beauty of the visual art form, to enjoy the aesthetic attitude, expressive power, imagination, creativity and critical thinking ability to enjoy the art culture . The revised art subject section of 2015 extends this view from perfection to the ability to enjoy art culture in life. In order to accomplish this, various kinds of criticism methods are suggested which can analyze and interpret the works from various viewpoints and utilize them in judging the value of works. However, in the field of appreciation of art culture and criticism of textbooks, the appreciation of painting was the main focus, and textbooks dealing with the architectural area could not be identifie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area of ​​appreciation that is confined to paint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Feldman 's art appreciation class on the recognition of Korean traditional beauty. When Feldman 's art criticism is applied, he or she can escape from traditional lecture - based lectures, and the teacher' s point of view can be avoided. The learner can analyze the object, gather information, synthesize information, and develop the ability to judge the value of Korean architecture based on the synthesized inform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appreciation class of architecture that applied Feldman 's art criticism stage affects the recognition of Korean traditional beauty in the second grade of high school. In order to accomplish these research objectives, literature review and precedent research on Joseon architecture, Korean traditional beauty, Feldman 's art criticism stage, and 2009 revised high school art curriculum were examined and concrete research methods were set up accordingl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wo classes in K high school in Yangcheon - gu, Seoul. The selected two classes are in the same course, 24 experimental group and 24 control group, total 48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6th class.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the appreciation class of Korean architecture applied Feldman's art criticism stag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recognition of Korean traditional beauty. The experimental group led to the improvement of the recognition of Korean traditional beauty than the control group. The art appreciation classes applied to the art criticism stage of Feldman allowed the students to recognize the characteristics and beauty of Joseon architecture and to judge and evaluate the value of Joseon architecture. Furthermore, it allowed us to develop an attitude to respect and preserve the value of traditional culture. It is expected that various studies will be done on the methods of appreciation of traditional culture to enhance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