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4 Download: 0

한국어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분석 연구

Title
한국어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분석 연구
Other Titles
An Analysis of Teachers’ awareness of KSL Curriculum management
Authors
최선미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선희
Abstract
이 연구는 초·중·고등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한국어 교육과정의 운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Ⅰ장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한국어 교육과정 운영 현황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한국어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학교 급별(초·중·고) 교사의 인식과 학교 유형별(일반학교와 다문화 정책학교)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이상의 연구문제에 대한 본격적인 조사를 실시하기 전에, Ⅱ장에서는 한국어 교육과정의 변화와 특징, 한국어 교육과정 운영 현황, 한국어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한국어 교육과정의 변화와 그 구조를 밝히고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과 고시 전·후의 주요 쟁점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정부 차원과 단위학교 차원으로 나누어 한국어 교육과정 운영 현황에 대하여 살핀 뒤, 공교육 한국어 교육과정 운영의 도구인 초·중·고 한국어 교재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어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서 교사의 역할은 무엇이며, 교육과정 운영 과정에서 발휘되는 교사의 전문성을 무엇인지를 고찰한 뒤 한국어 교육과정 운영 실태와 교사의 인식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연구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공교육 내 교사들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 지역에 재직 중인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교사 300명이었다. 한국어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교사 설문 문항의 결과는 초·중·고 학교 급에 따른 교사의 응답 결과와 전체 응답 교사의 결과를 빈도 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일반학교와 다문화 정책학교에 따른 교사의 응답 결과 또한 빈도 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Ⅳ장의 연구 결과는 ‘한국어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일반 소양’과 ‘한국어 교육과정 운영의 세부 사항에 대한 인식’ 두 가지 주제로 분석하였다. 먼저, 한국어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일반 소양을 분석한 결과, 교사들은 한국어 교육과정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절대 다수가 동의하고 있었으나, 대다수의 교사가 한국어 교육과정에 대한 정보를 접한 경험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한국어 교육과정 운영의 세부 사항에 대해서는 다음의 세 가지 내용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한국어 운영 시스템에 대하여 대다수의 교사가 한국어 교육과정 의무화를 지지하였으며, 가장 많은 교사가 주당 한국어 수업의 적정 시수로 3~5시간을 선택하였다. 둘째, 한국어 교수․학습 요소와 관련하여 많은 교사들이 한국어 교육대상 학생에 대한 낙인 효과 발생 가능성에 대해 동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 한국어의 교육 필요성에 대하여 높은 동의를 나타내는 한편, 과반수 이상의 교사가 한국어 학습 대상 학생들이 배워야 할 교과 어휘의 수준으로 최소 70% 이상의 수준을 요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한국어 교육과정의 기타 제반 사항과 관련해서는, 체계적이고 실효성 있는 교육과정 운영을 무엇보다 중요하게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학교 급에 따라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학교 유형에 따라서는 다문화 정책학교의 교사 인식과 일반학교의 교사 응답 간의 차이 양상이 발견되었다. 예컨대 일반학교 교사들은 한국어 수업을 방과 후 수업 시간의 형태로 운영하는 것에 절대 다수가 동의하였으나, 정책학교 교사들의 경우에는 방과 후 수업뿐만 아니라 정규 교과 수업 시간의 일정 시간을 할애하여 분리 교육하는 것도 유사한 비율로 선호하였다. 마지막으로 Ⅴ장은 이 연구에 대하여 요약하고 이에 대한 논의와 결론을 기술하며 마무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육과정이 문서로서의 교육과정이 아니라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에게 도움을 주는 실제적인 교육과정이 될 수 있도록, 한국어 교육과정의 홍보 및 연수, 체계적인 한국어 교사 채용 방법 마련, 학습 한국어 부문의 교과 어휘에 대한 교육 시스템 구축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eachers’ awareness of the management of Korean as a Second Language(KSL) Curriculum and its implementa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Chapter Ⅰ sets the purpose and the need for this study.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management of KSL Curriculum? 2) What is the teachers’ awareness about the management of KSL Curriculum? What is the differences of teachers’ awareness in levels of the school(elementary, middle or high school)? What is the differences of teachers’ awareness in types of school management(regular school or multi-cultural policy school)? Chapter Ⅱ analyzes the specifics and the changes of KSL Curriculum, the current state of the KSL Curriculum management, and the teachers’ awareness about KSL Curriculum. For that purpose, the changes in KSL Curriculum and its structure are defined and the main issues in before and after the development and announcement of KSL Curriculum are analyzed. The current state of KSL Curriculum is analyzed categorizing as perspectives of the government and perspectives of the school units. After that, Korean textbooks used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for the KSL Curriculum are analyzed. Chapter Ⅲ contains the research methodology. In this chapter, a survey on the teachers in public schools is conducted. The survey targets 30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from Seoul, Gyeonggi and Incheon region. In this study, the frequency analysis method is used. The answers are analyzed according to total amount, school levels(element, middle, or high school), and school management types(general schools or multi-cultural policy school). In Chapter Ⅳ,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suggested. The results are divided into two subjects:‘the analysis on the basic knowledge of teachers about the KSL Curriculum management’ and‘their awareness about the detail process of the Curriculum’. As the result of the former subject, the majority of respondents are agreed with the need of the KSL Curriculum. However, most of them have not been approached to the information about the Curriculum. Meanwhile, the results for the latter subject include three features. First, the majority of the teachers support to mandate the KSL Curriculum and they select 3 to 5 hours as the optimal class hours per week. Second, most of teachers are not agree with the stigma effect of the Curriculum which could be attached to the target students and they are highly agree with the need of the Curriculum. The majority of teachers suggest that more than 70 percents of vocabularies in subject are required to be learned. Third, the systematic and effective management of the Curriculum is highly demanded regarding the scheme infrastructure.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s make no differences. However,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the school management types show significant gap between the general schools and schools which have the multi-cultural policy. For example, while the teachers from the general schools agree with the opinion that the KSL Curriculum should be operated as after-school class, the teachers from the multi-cultural policy schools prefer to have the KSL Curriculum not only as the after-school class but also as a regular course. Lastly, Chapter Ⅴ summarizes the research results and offer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suggests the needs of promotion, of the teaching training Curriculum, of systematic teacher recruitment methods, and of vocabulary education system in order that the KSL Curriculum should not be a Curriculum just written on paper, but it become a practical Curriculum helping the students at schoo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