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0 Download: 0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이)나’와 ‘(이)라도’ 습득 연구

Title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이)나’와 ‘(이)라도’ 습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Acquisition of Korean Particles ‘(i)na’ and ‘(i)rado’ by Chinese-speaking Learners of Korean
Authors
정수인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선희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이)나’와 ‘(이)라도’의 습득 양상을 고찰하는 것이다. 먼저 Ⅰ장에서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본고의 연구 문제를 도출하였다. 본고의 연구 문제는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이)나’와 ‘(이)라도’의 습득 양상은 한국어 숙달도에 따라 한국어 모어 화자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이다. Ⅱ장에서는 조사 ‘(이)나’와 ‘(이)라도’ 각각의 형태통사적 특성, 의미적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고 두 조사의 중국어 대응 표현을 알아봄으로써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삼았다. 이 장에서는 조사 ‘(이)나’의 특성을 형태통사적 특성인 ‘선행어 결합’과 ‘후행어 결합(관용 표현)’, 의미적 특성인 ‘일반적 선택, 소극적 선택, 적극적 선택, 강조, 정도와 놀람, 어림과 대략, 안 가림’으로 분류하고, 조사 ‘(이)라도’의 특성을 형태통사적 특성인 ‘선행어 결합’과 ‘후행어 결합(관용 표현)’, 의미적 특성인 ‘소극적 선택, 양보, 강조, 안 가림’으로 분류하였다. Ⅲ장에서는 앞서 분류한 ‘(이)나’와 ‘(이)라도’의 형태통사적, 의미적 특성을 바탕으로 본고의 실험 도구인 수용성 판단 검사를 개발하였다. 실험은 수도권에 거주하는 한국어 모어 화자 25명과 현재 국내 대학 또는 대학원, 한국어 교육기관에 재학 중인 중국어권 한국어 중급 학습자 30명, 고급 학습자 3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60명의 중국어권 학습자는 본고의 숙달도 분류 검사 결과에 따라 학습자 하 집단과 상 집단으로 재분류되었다. Ⅳ장에서는 수집된 실험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국어권 학습자의 ‘(이)나’와 ‘(이)라도’ 습득 양상은 두 조사의 형태통사적, 의미적 특성의 하위 특성에 따라 달리 나타났으며, 일부에서 숙달도에 따른 차이가 보였다. 학습자 하 집단은 ‘(이)나’와 ‘(이)라도’의 모든 특성들에서 모어 화자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학습자 상 집단은 일부 의미적 특성에서 모어 화자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그보다 많은 수의 의미적 특성에서 각 학습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숙달도의 향상이 ‘(이)나’와 ‘(이)라도’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학습자 상 집단 역시 ‘(이)나’와 ‘(이)라도’의 대부분의 특성에서 습득에는 이르지 못하였고, 모어 화자의 수준과 많은 차이를 보였다. Ⅴ장에서는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조사 ‘(이)나’와 ‘(이)라도’의 교육에 필요한 점을 제언한 뒤에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나’와 ‘(이)라도’의 형태통사적, 의미적 특성에 따른 전반적인 습득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학습자들이 두 조사의 습득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부분과 그 원인을 밝히고, 두 조사에 대한 더욱 명시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본고에서 다루지 못한 ‘(이)나’와 ‘(이)라도’의 화용적 특성과 두 조사와 유의 관계에 있는 조사 ‘(이)나마’의 습득까지 다룬 후속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hinese-speaking Korean learners’ acquisition of Korean Particles ‘(i)na’ and ‘(i)rado’. First, chapter Ⅰ stated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study and set up a subject for inquiry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The subject for inquiry of this paper is what differences there are between Chinese-speaking Korean learners and native Korean speakers in the acquisition of Korean Particles ‘(i)na’ and ‘(i)rado’ depending on Chinese-speaking Korean learners’ Korean proficiency. Chapter Ⅱ dealt with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by investigating morphologic, syntactic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Particles ‘(i)na’ and ‘(i)rado’ and examining those two Korean particles’ corresponding expressions in Chinese. In this chapter, the characteristics of ‘(i)na’ were sub-categorized as ‘combination with preceding word’ and ‘combination with following word(idiomatic expression)’ which are morphologic and syntactic characteristics and as ‘ordinary choice’, ‘passive choice’, ‘active choice’, ‘emphasis’, ‘degree and surprise’, ‘rough estimate and approximation’, and ‘not to distinguish’ which are semantic characteristics. The characteristics of ‘(i)rado’ were sub-categorized as ‘combination with preceding word’ and ‘combination with following word(idiomatic expression)’ which are morphologic and syntactic characteristics and as ‘passive choice’, ‘concession’, ‘emphasis’, and ‘not to distinguish’ which are semantic characteristics. In Chapter Ⅲ, acceptability judgement test which is experimental tool of this study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morphologic, syntactic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i)na’ and ‘(i)rado’ which had been categorized in the preceding chapter.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25 native Korean speakers residing in capital area, 30 Chinese-speaking intermediate learners of Korean and 30 advanced learners of Korean studying in domestic universities, graduate schools and Korean education institutes. 60 Chinese-speaking learners were reclassified as lower and upper proficiency groups depending on the result of proficiency classification test of this study. Chapter Ⅳ analyzed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As a result, Chinese-speaking learners’ acquisition of ‘(i)na’ and ‘(i)rado’ showed different aspect depending on sub-characteristics of those two Korean particles' morphologic, syntactic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and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lower and upper proficiency groups in some of sub-characteristic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lower proficiency group and native Korean speakers in all characteristics of ‘(i)na’ and ‘(i)rado’ but there weren'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upper proficiency group and native Korean speakers in some of semantic characteristics. Al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lower and upper proficiency groups in some of semantic characteristics of which the number was more than above. It shows that the improvement of Korean proficiency has an effect on the cognition of ‘(i)na’ and ‘(i)rado’. But the upper proficiency group also couldn't approach the level of acquisition in most of the characteristics of ‘(i)na’ and ‘(i)rado’ and showed lots of differences from the level of native Korean speakers. Chapter Ⅴ summarized the study result, suggested what is needed for the education of ‘(i)na’ and ‘(i)rado’ and describe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This study revealed in which parts Chinese-speaking Korean learners have difficulty in acquiring ‘(i)na’ and ‘(i)rado’, established the cause of it through investigating Chinese- speaking Korean learners’ overall acquisition of ‘(i)na’ and ‘(i)rado’ depending on their morphologic, syntactic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and confirmed the necessity of more explicit and systematic education for those two Korean particles. Further studies on pragmatic characteristics of ‘(i)na’ and ‘(i)rado’ and acquisition of Korean particle ‘(i)nama’ which is related to ‘(i)na’ and ‘(i)rado’, which weren't dealt with in this paper, are expected to be carried ou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