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21 Download: 0

개항이후 1940년대까지의 국내 합성염료에 관한 연구

Title
개항이후 1940년대까지의 국내 합성염료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Synthetic Dyes in Korea from the Period of Open-port to 1940's
Authors
박성희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산업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나영
Abstract
본 연구는 1876년 개항 이후부터 1940년대까지 국내 유입된 합성염료에 관한 것으로 인쇄매체 분석을 통하여 국내에 합성염료가 유입된 후 사용되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또한, 합성염료와 병기된 관용색명과 유물을 복합적으로 고찰하여 색명에 따른 색상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했다. 이와 함께 합성염료의 사용례를 확인해 보기 위한 기초자료로써 유물 측색을 시행하였다. 합성염료는 1856년 최초의 염기성염료 모브(Mauve)가 합성되면서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조선에는 1876년 개항 이후 합성염료가 본격적으로 유입되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중국과 일본, 러시아의 중개무역을 통해 들어왔으며, 영국과 독일 등 일부 염료 생산 국가에서는 조선에 염료를 직접 수출하였다. 이렇게 유입된 새로운 염료에는 외국을 의미하는 ‘양(洋)’자를 붙여 기존 색명과 구분하였는데, ‘양청(洋靑)’, ‘양홍(洋紅)’, ‘양남(洋藍)’ 등의 일부 양색명은 안료와 염료를 구분하지 않고 함께 사용되었다. 그러나 무역의 활성화로 유입되는 합성염료의 종류가 다양해지자 전통 색명에‘양’자를 붙이는 명명법으로는 모든 염료의 색상을 표현할 수 없게 되었다. 그래서 ‘양색명’의 대안으로 기존의 색명과 천연염료 명칭을 차용하여 합성염료의 색상을 세분화하여 표시하게 되었다. 1930년대에는 색복장려운동으로 인해 합성염료가 대중화되고 시장이 확대되었다. 색복장려운동은 정부기관의 주도로 시행되었는데, 백의를 입을 경우 관공서의 출입을 금하거나 물총으로 검은색 물감을 쏘는 등 강제성을 띄고 급격하게 진행되었다. 이에 맞춰 각 가정에서는 기존의 옷을 염색해 색의로 만들어 입었다. 염료와 염색법에 대한 교육은 지역의 염색강습회와 학교, 인쇄매체 등을 통해 실시되었다. 이에 따라 색복장려를 위한 염색 교육은 가정에서 간편히 시도할 수 있어야 한다는 취지에서 염색법이 간단한 직접염료와 산성염료, 염기성염료, 황화염료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1930년대 중반부터는 공업화된 설비를 갖춘 산업시설들이 자리 잡기 시작하였다. 우리보다 먼저 근대화 과정을 거친 다른 나라들처럼 초기 자본이 적게 들고 시장 확보가 용이한 직물업 위주로 발전되었으며, 대규모 설비를 갖춘 공장에서는 직물의 제직(製織)부터 염색까지 일괄적으로 이뤄졌다. 특히 1930년대 후반에는 인견업이 부흥하여 일본 기업의 견제를 받기도 하였다. 공업의 발달과 함께 가정용으로 머물러 있던 합성염료의 적용 범위가 공업에까지 확대되면서 대량 염색에 적합한 염법과 염료가 수입되었다. 합성염료가 공업에 적용되면서 1940년대에는 염료를 배합하여 원하는 색을 만들어 염색하는 방식이 등장하였으며, 염색법은 까다롭지만 견뢰도가 좋은 산성매염염료와 아조익염료(Azoic dye)가 유입되었다. 산성매염염료와 아조익염료는 기존의 염료에 비해 염색 과정이 다소 복잡하였으나, 업계에 진출해 있던 고등공업교육기관과 일본 직조공장 출신의 전문가들에 의해 어려움 없이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고등염색교육을 받은 이들 전문가 집단은 해방이후 염직(染織) 공장에서 근무하던 일본인 고급기술자들이 일거에 귀국하며 초래된 기술 공백을 메꾸는 주축이 되었다. 합성염료의 색상을 보조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병기된 관용색명은 주로 이전 시기부터 사용해 온 색명 혹은 천연 염색의 재료, 식물의 색상을 통한 묘사가 주를 이루어 나타났다. 특히 천연 염색의 재료가 바탕이 된 관용색명이 병기된 합성염료를 통해 당시 천연염재로 내었던 색상을 구체화할 수 있는 자료였다. 실제 근대기 유물에 합성염료가 사용되었는지를 확인해 보기 위한 기초자료로써 이상의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측색을 통한 색상 비교를 시행하였다. 측색을 위한 대표색으로 선정한 말라카이트 그린은 187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 가장 꾸준히 등장하였으며, 천연염색의 대체 가능성이 적어 합성염료의 사용례를 확인하기 위한 시도인 측색 목적에 가장 적합할 것으로 보았다. 또한 말라카이트 그린은 독성물질로 분류되어 현재는 생산되지 않는 염료로써 유물을 통해서만 색상의 유추가 가능하다는 점에서도 측색 대상으로써 의미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말라카이트 그린의 염색견본은 염료·화학업체 다이스타(Dystar)에서 제공받아 사용하였으며, 측색을 위해 유사한 색을 보이는 유물 네 건을 선정하였다. 유물과 염색 견본의 색차 ΔE는 각각 19.54, 11.20, 26.26, 27.38이다. 이 수치는 표준색차범위(NVS unit) 기준으로 보면 육안으로 보았을 때에도 다르게 보이는 범주에 해당되었다. 그러나 CIE LAB 값을 각각 분석해 보면 명도(L*)와 적색~초록색(a*) 값은 유물과 염색견본이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노란색~파랑색(b*)값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3건 모두 유물이 염색견본보다 노란 값이 크게 나타난 것을 확인했다. 이는 유물의 보관과정에서 자외선 혹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퇴색되어 황변(黃變)한 것이 영향을 미친 결과로 보인다.;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synthetic dyes introduced to South Korea since the opening of ports in 1876 through the 1940s, summarizing the synthetic dyes introduced to South Korea and discussing the phases of the development through an analysis of the printed media. This study conducted literature search focusing on the printed media issued since the opening of ports in 1876 through 1949 and analyzed the possibility of the application of synthetic dyes to the relics in the modern period through the measurement of colors based on this. The synthetic dyes began as Mauve was synthesized in 1856. It has begun to be introduced to Joseon in earnest since its opening of ports in 1876. The early synthetic dyes came in through intermediary trade with China, Japan, and Russia, and as it concluded a treaty of amity with the western powers and started trading with them, some countries such as the U.K. and Germany, directly exported dyestuff to Joseon. Earlier than this period, the western pigments and dyestuffs had been handed down through China’s intermediary trade. In Joseon, the pigments coming from the west were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names of the colors by putting the letter, ‘Yang’ meaning a foreign country, and some pigments such as Yangcheong, Yanghong and Yangnam shared their names with the dyestuffs. Later, as the volume of the introduced synthetic dyes increased with the vitalization of trade, the same principle could not apply, so they were subdivided, borrowing the existing names of colors and the names of natural dyestuffs. In the 1930s, with Campaigns to wear Color Garments and the modernization of industries, synthetic dyes became popularized and the market expanded. The Campaigns to wear Color Garments in the 1930s were led by the government agencies, which were carried out forcibly and fast: e.g. People wearing white clothes were prohibited to enter public offices, or black paint was shot. Accordingly, each family dyed the existing clothes and wore dyed clothes. The education of dyestuffs and dyeing methods spread to each family through the Class of Synthetic Dyestuff, schools and printed media in the regions. On the premise that the education of dyeing methods for wearing colored clothes should be able to be attempted easily at each family, the dyeing methods were developed, centering around simple direct dyes, acid dyes, basic dyes and sulphur dye. Since the mid-1930s, the modernization of the industries has advanced. Like other modern countries, the textile industry was mainly developed, in which less capital should be invested, and it would be easy to secure the market, and at factories with large facilities, weaving and dyeing fabrics were conducted in a lump. Especially, in the late 1930s, the rayon textile industry revived, so it was checked by Japanese companies. The use of synthetic dyes that have been kept for family use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dustries expanded to the kinds and dyeing methods suitable for the industry. This attempt led to the introduction of acid mordant dye and azoic dye with difficult dyeing methods but good fastness in the 1940s. It seems that the somewhat complicated dyeing methods unlike those of the existing dyestuffs were used without difficulty because of higher technical/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he entry of the experts who came from Japanese weaving factories. In addition, this group of experts became the main axis filling the technology gap caused by the Japanese advanced technicians’ return to their home at a stroke, who had worked at dyeing and weaving factories since 1945. The usual color name written together in the print media to express the colors of the synthetic dyes in writing are the materials that show the common views of colors at the time. The usual color names used for descriptions were mainly the names of the colors that had been used from the previous times or the materials of natural dyeing. To check if the synthetic dyes were actually used in the relics in the modern period, the colors were compared through the measurement of the colors. To do so, malachite green, which appeared continuously from the 1870s through the 1940s and had less possibility of replacement by natural dyes was selected as a color appropriate for the measurement of the color, and the colors of four relics showing the colors, similar to the dye sample provided by dyestuff/chemical company, Dystar were measured. The color difference between the relics and the dye sample, ΔE is 19.54, 11.20, 26.26 and 27.38, respectively. For the colors of the relics and the sample, ΔE was over 0.6 based on the standard range of color difference (NBS unit), they were the colors looking very different from each other to the naked eye. However, three relics commonly had the bigger value of yellowness than the dye sample. It seems that yellowing affected the process of storing the relics because of UV or discoloration by tim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산업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