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5 Download: 0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클로즈 재구성 과업(Reconstruction Cloze Tasks)이 고등학생의 영어 어휘·문법 학습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Title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클로즈 재구성 과업(Reconstruction Cloze Tasks)이 고등학생의 영어 어휘·문법 학습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Animation-Based Reconstruction Cloze Tasks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Vocabulary and Grammar Learning along with Their Affective Domain.
Authors
박수민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종임
Abstract
교육부가 고시한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은 국제 사회에서 미래 세대가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반드시 갖추어야 할 주요 역량으로 영어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영어 교육의 방향은 영어 사용의 유창성과 더불어 정확성을 증진시킬 수 있어야 하며, 교실 상황에서 실제적 자료를 통해 양질의 영어 입력을 제공하는 동시에 학습자들에게 영어 사용의 기회를 충분히 마련해줄 수 있는 교수·학습 활동을 끊임없이 연구하여 궁극적으로 영어에 대한 학습자의 관심과 흥미를 바탕으로 자기 주도적인 영어 학습을 지속할 수 있도록 이끌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애니메이션을 영어 입력 자료로 활용하여, 고등학교 1학년 학습자이 협동적 출력 과업 중 한 형태인 클로즈 재구성 과업을 통해 의사소통 맥락 속에서 영어 어휘와 문법 사용의 정확성을 키울 수 있도록 도와 영어의 유창성과 정확성을 동시에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기간은 2017년 5월부터 7월까지 총 5차시에 걸쳐 수업이 진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D 고등학교 1학년 131명(4개 학급)의 학생들이며, 각 두 학급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선정되어 해당 학교의 영어 교과 정규 수업동안 실시된 실험에 참여하였다. 실험집단은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클로즈 재구성 과업을 통한 출력 과업을 하도록 지도받았으며, 통제집단은 실험집단과 동일한 목표 어휘 및 문법을 학습하였으나 개별적인 받아쓰기 활동을 통한 출력 과업을 지도받았다. 즉, 실험집단은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이 활발한 협동적 재구성 활동을 진행한 반면 통제집단은 학습자 간 상호작용 및 협동학습이 부재한 개별 학습을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다른 처치를 제공 받았다.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클로즈 재구성 과업이 학습자의 어휘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전반적인 어휘 학습 능력과 어휘의 수용적 지식 및 생산적 지식의 향상 정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클로즈 재구성 과업이 학습자의 문법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전반적인 문법 학습 능력과 문법의 이해 능력 및 사용 능력의 향상 정도를 평가하였다. 그리고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클로즈 재구성 과업이 학습자의 정의적 영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사전 및 사후 설문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클로즈 재구성 과업은 학습자의 어휘 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어휘의 수용적·생산적 지식의 경우, 수용적 어휘 지식은 향상 효과가 있었으나 유의미한 수준은 아닌 반면, 생산적 어휘 지식의 향상 수준은 유의미한 것으로, 애니메이션 활용 클로즈 재구성 과업이 학습자의 생산적 어휘 지식을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클로즈 재구성 과업은 학습자의 문법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나 문법 학습에 대한 협동적 출력 과업의 효용성이 검증될 수 있었다. 문법의 이해 능력과 사용 능력에 대한 영향을 살펴본 결과, 학습자의 문법 이해 능력이 생산 능력보다 더욱 눈에 띄는 향상 효과를 보였다. 이는 애니메이션 활용 클로즈 재구성 과업이 학습자의 문법성 판단에 대한 메타 인지적 사고를 촉진하여 의사소통적 맥락 속에서 올바른 문법을 알아차리고 이해를 심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클로즈 재구성 과업은 영어 어휘 및 문법 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정의적 영역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어휘 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정의적 태도의 경우, 흥미도와 자신감이 긍정적으로 향상하였으나 이는 유의미한 변화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어휘의 유용성에 대한 학습자의 태도는 어휘의 의미와 발음에 있어서 향상 수준이 두드러지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문법 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정의적 태도를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으나 자신감에 대한 향상 정도는 유의미한 수준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법 학습의 유용성과 관련하여 문법의 문장구성 측면에서 학습자의 긍정적인 인식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우리나라 교육 현장에 주는 교육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클로즈 재구성 과업은 학습자의 영어 어휘 및 문법 능력의 신장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현장에서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협동적 출력 과업을 교수·학습활동에 접목하게 된다면 학습자의 영어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중심으로 언어적 능력에 대한 정확성도 함께 키워나가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본 연구를 통해 애니메이션 활용 클로즈 재구성 과업이 문법의 사용 능력에 비해 이해 능력에 보다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학습자들이 동료 학습자들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올바른 목표 문법에 대하여 토의·토론하며 자신이 알고 있는 것과 알아야 하는 문법지식을 알아차리게 되면서 문법의 이해 능력이 상승하게 됨을 시사하며, 문법의 사용 능력에 대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학습 기간을 충분히 가지고, 목표 문법에 대한 학습자의 주의집중을 더욱 유도할 수 있도록 클로즈 재구성 과업 활동지를 설계할 것을 제안할 수 있다. 셋째, 애니메이션 활용 클로즈 재구성 과업이 학습자의 영어 어휘 및 문법 능력에 미치는 더욱 포괄적인 교육적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본 활동을 적용한 교수·학습활동을 보다 장기간에 걸쳐 진행하게 된다면 더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실제 교육 현장에서 애니메이션과 협동적 출력 과업을 함께 접목한 수업의 효용성을 증명할 수 있었다. 이는 애니메이션 활용 클로즈 재구성 과업이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구성하는 언어적 능력의 주요 요소인 어휘와 문법 능력을 증진하도록 도와 학습자의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조화롭게 발전시켜나가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The pivot of teaching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has revolved around focusing on form, which aims to draw students’ attention to linguistic forms in the context of meaningful communication. In keeping with the development of learners’ fluency and accuracy to equip them with communicative abilities, there have been many pedagogical proposals to emphasize the value of attention to form in classroom settings. With the advancement of technologies, a myriad of multimedia resources such as animated films are available at hand to prepare form-focused instructions in communicative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imation-based reconstruction cloze tasks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vocabulary and grammar learning along with their affective domains. The subjects of the experiment were one hundred and thirty one first grade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attending school in Gyeonggi-do Province,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 traditional control group and an experimental group. Students who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were provided with animation-based reconstruction cloze tasks, while those who were assigned to a traditional control group were instructed to carry out traditional dictation tasks although they watched the same animated film as the experimental group.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out five periods during which a pretest on vocabulary and grammar and pre-survey were implemented before the actual experiment started. From the first period, the two groups learned the same contents of vocabulary and grammar, but different types of classroom activities were provided to each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carried out reconstruction cloze tasks whereas the control group carried out dictation task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are as follow. First, in terms of vocabulary learning, animation-based reconstruction cloze tasks were proven to be more effective than dictation tasks in improving learners’ vocabulary skills. Moreover, the learners demonstrated better performance on productive knowledge of vocabulary than receptive knowledge, indicating the effectiveness of collaborative output tasks as a means of providing learners with an opportunity to produce target words. Second, as for the effects on grammar learning, the students’ grammatical skills were improved better through animation-based reconstruction cloze tasks, providing further evidence on the effectiveness of collaborative output tasks on grammar learning. Furthermore, grammar comprehension skills were more improved compared to grammar productive skills. Such a result shows that the effectiveness animation-based reconstruction cloze tasks might have on learners’ productive skills are not observable until some time is spared for learners to completely internalize grammatical items they’ve learned so that they can emerge in the form of output. Third, carrying out animation-based reconstruction cloze tasks was effective for changing learners’ attitude and perceptions on their usefulness in vocabulary and grammar learning in general. In terms of learners’ attitude on vocabulary learning, their interests and confidence were mildly increased although no statistical signification was identified. Moreover, the learners responded that animation-based reconstruction tasks were useful with regards to the memorization of word meaning and pronunciation. As for grammar learning, learners’ interes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earners also found it useful to carry out animation-based reconstruction cloze tasks in improving their abilities of sentence construction, which consequently demonstrates the effective realization of the main purpose of collaborative output tasks.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id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animation-based reconstruction cloze tasks help the development of learners’ vocabulary and grammar skills. The result further lays the foundational ground for applying them to classroom settings in improving communicative abilities. Second, animation-based reconstruction cloze tasks turn out to be more effective in improving grammar comprehension skills rather than its productive skills. The result indicates that animation-based reconstruction tasks guide learners through the comprehension of target grammars, and thus require some time for the learners to internalize them and eventually produce them in the form of output. Last but not least, animation-reconstruction cloze tasks should be carried out in a long haul to examine its comprehensive effectiveness on learners’ vocabulary and grammar skills. Since this study was implemented for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there was not enough time to observe the gradual developmental process of linguistic competence of learners toward the ultimate attainment of communicative abilit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