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종임-
dc.contributor.author오상희-
dc.creator오상희-
dc.date.accessioned2018-03-06T16:31:24Z-
dc.date.available2018-03-06T16:31:24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4835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48350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0621-
dc.description.abstract자유롭게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언어의 읽기, 쓰기, 듣기, 말하기의 기본적 요소가 되는 적절한 수준의 어휘 지식을 갖추는 것이 요구된다. 특히 자연스러운 영어 습득이 가능한 모국어 학습자나 제2언어 학습자와 다르게 우리나라 학습자는 영어를 외국어로 배우기 때문에 명시적 학습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교육 현장에서 어휘 교수는 다른 분야와 비교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주변적인 것으로 여겨지며 성인 학습자의 어휘학습은 오롯이 개인에게 맡겨져 학습자가 갖는 부담이 크다. 이러한 실정에 대하여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자리 잡은 스마트폰을 활용하는 시각적 입력이 접목된 모바일 기반 어휘 학습은 우리나라 영어 학습자의 어휘학습을 돕는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 시각적 입력을 이용하는 모바일 기반 학습은 다소 지루하게 느껴질 수 있는 어휘학습을 좀 더 흥미롭게 만들 수 있고 학습 환경을 유동적으로 바꾸어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도울 수 있다. 적절한 애플리케이션의 활용은 어휘의 정의뿐 아니라 문장과 발음을 제공하여 학습자가 어휘의 사용 및 음성 형태에 대한 지식을 갖출 수 있게 함으로써 다양한 어휘지식을 기를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모바일 기반 어휘 학습의 시각적 입력이 성인 어휘 학습자들의 어휘학습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을 통해 검증하고 효과적인 어휘학습 방안을 고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성인 영어 학습자 37명을 대상으로 6주에 걸쳐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참여자들은 전부 모바일 앱을 사용한 어휘 학습활동을 하였으며 시각적 입력 활용 여부에 따라 예문 집단과 그림‧예문 집단으로 나뉘었다. 학습자들은 (1) 카드보기 (2) 카드 맞추기 (3) 학습하기 (4) 테스트 총 4가지 어휘 학습활동에 임하였는데 예문 집단은 활동에 단어 정의와 예문이 그림‧예문 집단은 단어 정의, 예문 그리고 관련 그림이 제공되었다. 진행된 실험의 구체적 절차는 다음과 같다. 토플 어휘 책과 공무원 영어 수험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어휘 책에서 무작위 추출한 어휘로 예비 어휘 평가를 시행하였고 수집된 결과를 바탕으로 목표 어휘를 선정하였다. 어휘 능력의 변화는 사전 및 사후 어휘 평가를, 정의적 태도의 변화는 사전 및 사후 태도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다. 사전 어휘 평가 결과를 토대로 학습자를 두 집단으로 나누었으며 실험 기간에 학습자 개개인이 4주에 걸친 어휘 학습활동을 수행하고 학습일지를 작성해 폐쇄형 SNS에 올리도록 하였다. 2주 후 사후 지연평가로 장기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는 SPSS 2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해 독립표본 t-검정과 대응표본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본 실험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바일 기반 학습에서 예문을 활용한 학습활동과 시각적 입력 및 예문을 활용한 학습활동이 전반적인 어휘학습과 이를 수용적 및 생산적 지식으로 나눈 것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양쪽 모두 높은 어휘 성취수준을 이룬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드러나지 않았지만 두 집단의 활동이 새로운 어휘 지식을 기르는 데 효과적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품사별 효과도 시각적 효과가 가져오는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예문 집단과 그림‧예문 집단 둘 다 형용사 습득률이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또한, 두 집단 모두 명사 구체어보다 명사 추상어의 점수가 더 높았다. 시각적 영상성이 높은 명사가 다른 품사에 비교해 더 쉽게 학습되며(Ellis & Beaton, 1993) 직접 감각 가능한 대상이 존재하는 구체어가 이중 부호를 함께 사용해 추상어보다 학습이 쉽다는 기존 연구(Sadoski, 2005)와 대치되는 결과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앱이 오답률이 높은 어휘에 대해 반복적으로 학습활동을 제공해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어휘 발음 듣고 철자 쓰기 점수와 발음학습도 집단 간 차이가 없었지만 역시 두 집단의 어휘 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했기 때문에 두 집단의 학습 방법이 학습자들의 어휘 능력 신장에 도움을 주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어휘의 장기기억 측면에서도 전반적인 어휘 능력과 이를 세부적으로 나눈 수용적 이해 능력과 생산적 사용 능력도 시각적 입력의 차이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두 집단의 사후 지연평가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은 성취를 보였기 때문에 예문 활용과 시각적 입력 및 예문 활용 방법 둘 다 어휘 지식을 장기기억으로 전환하고 보존하는 데에 유용했다는 것을 시사한다. 품사별로 살펴본 사후 지연 어휘 평가 결과는 사후 어휘 평가와 마찬가지로 그림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사후 어휘 평가와 달리 지연 어휘 평가에서는 모든 집단이 명사를 가장 잘 기억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품사 중 명사의 습득이 가장 빠르다는 앞선 연구들을 뒷받침한다(Gentner, 1982; Rodgers, 1969). 그림‧예문 집단은 명사 구체어 점수가 추상어 점수보다 높았는데 구체어는 직접적인 대상물이 존재하기 때문에 그림이 추상어보다 구체어 학습에 유용해 발생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발음 듣고 철자 쓰기도 사후 지연평가에서 시각적 입력을 이용한 집단의 평균 점수가 더 높았지만,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두 집단의 방법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전반적인 발음 능력은 사전과 비교하였을 때 두 집단 모두 향상된 능력이 2주가 지나도 유지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집단 간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세부항목에서 이미지를 활용한 집단의 모음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셋째, 모바일 기반 어휘 학습의 시각적 입력과 예문을 활용한 어휘 학습활동에 대한 사전‧사후 설문을 분석해본 결과 시각자료를 사용한 집단의‘어휘학습에 대한 전반적인 태도 설문 문항 중‘흥미’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Wright(1989)의 주장처럼 시각적 입력이 학습을 흥미롭게 만드는 데에 도움을 준다는 것을 시사한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기반 어휘 학습에 관한 문항에서는 어휘학습의‘자신감’에 도움이 된 정도를 평가하는 항목에서 집단 간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시각적 입력이 어휘학습에 대한 부담감을 낮춰 학습 자신감을 증진하는 데 기여하였다고 볼 수 있다. 비록 예문 집단과 그림‧예문 집단 간의 어휘 능력에 대한 통계적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개방형 문항에서 학습자들은 시각적 입력이 어휘학습에 효과적이었다고 응답하였다. 시각적 입력 활용 학습의 단점에 대해서는 그림이 단어와 어울리지 않거나 그림 안에 글자가 있는 경우 학습이 어렵고 그림과 예문이 함께 있으면 예문에 집중하기 힘들다고 답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결과를 통해 도출될 수 있는 교육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예문 혹은 시각적 입력과 예문을 활용하는 모바일 기반 어휘 학습은 학습자의 어휘력을 신장하고 학습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따라서 모바일 기반 어휘 학습 자료를 제작할 때 시각적 입력과 예문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시각적 입력을 예문과 함께 어휘학습에 활용할 때 세심한 고려를 통해 자료를 선정하여야 한다. 학습자에게 인지적 부담을 주지 않도록 예문과 그림의 내용이 일치하는지, 예문이 있는 상황에서 그림에 추가적인 텍스트가 포함되지는 않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추상적인 개념을 지니거나 난이도가 어려운 어휘를 학습할 경우 직접적인 대상물이 부재하기 때문에 어휘의 정의를 간접적으로 가리키는 그림을 사용해야 하며 이때 의미 전달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도 인지해야 한다. 셋째, 모바일을 활용하는 어휘 학습은 학습자가 원하는 시간과 공간에서 학습할 수 있다는 자율성과 편재성이 뛰어난 장점이다. 그러나 강제성이 없고 학습자 스스로 학습을 주도해야 하기 때문에 이를 지속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교수 설계 시 학습자가 학습을 꾸준히 유지할 수 있도록 적절한 외재적 보상을 사용하거나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을 증진하는 방안, 학습자들의 참여를 확인하고 보조하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sing visual input on mobile-based vocabulary learning and the attitude of Korean EFL learners. Vocabulary learning activities with pictures via smart-phone can make vocabulary learning more interesting and help learners with self-directed learning. By providing sentences and pronunciation as well as the L1 definition of target words, the smart-phone application also enables students to develop and enrich their vocabular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irty-seven EFL adult learners in Korea. They were divided into two experimental groups. Learners of experimental group A participated in mobile-based vocabulary learning activities which used definitions and example sentences of the target words. Members of group B performed identical mobile-based learning activities, but visual aids were additionally provided to assist their learning. Four types of vocabulary learning activities, (1) Flashcards (2) Match (3) Learn and (4) Test, were assigned to both groups. After participating in mobile-based learning activities, each subject was asked to write a learning log and post it on closed type SNS. After four weeks of experiments, two different vocabulary post-tests were administered. The first post-test was taken immediately after the final experiment to examine the acquired vocabulary knowledge through the treatment, and the other was performed after two weeks to analyze the effects on long-term memory.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learners' attitudes towards vocabulary learning.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using definitions and sentences along with pictures on mobile-based vocabulary learning brought positive change in vocabulary knowledge. Group A (definition + sentence) and B (definition + sentence + picture)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of overall vocabulary knowledge, including the ability to dictate and pronounce newly acquired words. Although students who received visual input achieved higher average test score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Both methods turned out to be effective in vocabulary learning. Second, no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was found in terms of long-term memory. However, unlike the post-test, both groups achieved the highest scores on questions asking noun knowledge in their delayed post-test. In addition, the picture group achieved concrete noun learning better than abstract noun learning in the delayed test. It can be inferred that pictures are more effective in learning concrete nouns since concrete words possess direct sensory referents. Although results showed no difference on dictation and overall pronunciation between the two groups, the group that used visual aids outperformed the sentence group in pronouncing‘vowel' in the delayed post-test. Third, picture group's attitudes toward vocabulary learning changed positively; using visual aids specifically raised‘interest'. The item asking‘confidence' in the survey also showed an important difference. It provides evidence that visual input increases learners' interests and confidence in mobile-based vocabulary learning. All the members of group B told that visual aids contributed to their vocabulary learning. However, they said that they experienced difficulties when the picture did not match the word or included letters. In addition, they also said that they did not tend to concentrate on reading the sentence when it is accompanied by the picture. In conclusion, using the sentence and using the sentence with pictures on mobile-based vocabulary learning both prove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learners vocabulary knowledge and attitudes.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said that mobile learning activities providing sentence and visual aids could motivate and promote learners' vocabulary learning. Therefore, wide implementation of mobile-based learning using sentences, pictures, and a careful consideration of choosing materials is recommended to support adult EFL learne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4 A. 영어 어휘학습 4 1. 어휘 지식 4 2. 어휘학습 8 B. 어휘학습과 멀티미디어 학습 이론 11 1. 멀티미디어 학습과 이중 부호화 이론 11 2. 멀티미디어 학습과 인지이론 13 C. 모바일 기반 학습 16 1. 모바일 기반 학습의 정의 16 2. 모바일 기반 학습의 특성 17 D. 선행연구 20 1. 시각적 입력을 활용한 영어 어휘학습의 효과 20 2. 모바일 기반 영어 어휘 학습의 효과 23 Ⅲ. 연구방법 28 A. 연구 질문 28 B. 연구 대상 29 C. 연구 자료 29 1. 예비 어휘 평가지 29 2. 실험 어휘 목록 30 3. 모바일 기반 영어 어휘 학습 애플리케이션 : 퀴즐렛(Quizlet) 31 4. 모바일 그룹 SNS 35 5. 사전 어휘 평가지 36 6. 어휘 학습일지 37 7. 사전사후 어휘학습 태도 설문지 38 8. 사후사후 지연 어휘 평가지 39 D. 연구 절차 및 자료 분석 방법 40 1. 실험 이전 절차 40 2. 실험 주요 활동 41 3. 실험 이후 절차 43 4. 자료 분석 방법 43 E. 연구의 제한점 45 Ⅳ. 연구 결과 47 A. 모바일 기반 시각적 입력이 어휘의 단기기억에 미치는 영향 47 1. 전반적 어휘학습에 미치는 영향 47 2. 어휘의 품사별 학습에 미치는 영향 50 3. 어휘의 발음 듣고 철자 쓰기 및 발음학습에 미치는 영향 52 B. 모바일 기반 시각적 입력이 어휘의 장기기억에 미치는 영향 56 1. 전반적 어휘학습에 미치는 영향 56 2. 어휘의 품사별 학습에 미치는 영향 58 3. 어휘의 발음 듣고 철자 쓰기 및 발음학습에 미치는 영향 60 C. 모바일 기반 시각적 입력과 예문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과 태도 64 1. 시각적 입력과 예문에 대한 설문 결과 64 2. 시각적 입력과 예문 활용에 대한 학습자 인식 70 Ⅴ. 결론 및 제언 76 참고문헌 83 부록 92 ABSTRACT 9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0420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모바일 기반 어휘 학습의 시각적 입력이 성인 영어 학습자의 어휘학습 및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ffects of Using Visual Input on Mobile-based Vocabulary Learning and the Attitude of Korean EFL Learners-
dc.format.pagex, 100 p.-
dc.contributor.examiner신상근-
dc.contributor.examiner이미진-
dc.contributor.examiner한종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8.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