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3 Download: 0

이야기 쓰기를 활용한 협동 어휘 학습이 초등학교 학습자들의 어휘 학습에 미치는 효과

Title
이야기 쓰기를 활용한 협동 어휘 학습이 초등학교 학습자들의 어휘 학습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 of Cooperative Vocabulary Learning Using Narrative Writing on the Vocabulary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uthors
강진주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미진
Abstract
The four functions of language,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occupy an important place in linguistics, but in basic communication, vocabulary is the most basic element when a speaker tries to deliver his/her intentions (Sokmen, 1997). According to the curriculum for English education in 2015, the main goal of English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is “ultimately empower students to communicate in English by developing their ability to understand and express basic English used in daily life with interest and confidence in learning English (Ministry of Education, 2015).As such, the students should have a good command of English vocabulary in order to enhance communication skills in English. (Coady & Huckin, 1997). The recent focus on English education is on communication skills. As such, the importance of vocabulary and there is a strong need for a systematic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 (Kim, 2008).With this global trend, there has been continuous research on English vocabulary teach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ut there is a still long way to go (Kim, 2003). This is because ever since elementary English teaching was introduced in Korea 10 years ago, the teaching professionals in the field has relied on explicit vocabulary teaching methods, with the expectations of quick effects (Won, 2007). Considering this history, there should be a various type of studies on vocabulary learning for effective and meaningful use. In addition, there should be continuous research for learners can acquire vocabularies in the classroom setting in a fun and easy way, memorizing and utilizing them in their daily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operative vocabulary learning using narrative writing on the vocabulary 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learners. Grade 6 students of D elementary school in Seoul participated in 8 experiments for 5 week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Seven students who were absent were excluded from the experiment and the total number of students was 56. Through six rounds of experimen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on the overall impact of the six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the impact of English vocabulary learning abilities by English level, and ultimately the impact on the attitudes. In particular, the experiments were designed to apply the narrative writing method both to individual learning and cooperative learning and to observe the impact of affective attitude. Second, to see how the level-specific learners' English vocabulary abilities were affected, they were divided into pre-and post-test scores of an upper and a lower class. As a result, the storytelling metho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upper class, proving the effects,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scores of the lower class’s students. Thir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ocabulary learning using narrative writing on the students’affective attitude, analysis of pre and post closed and open questionnaires in two group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ny indicators before experiment. However, the results of the posttest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method and necessity of studying in attitude. In other words, the narrative writing method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student’s affective attitude. Finally, an open questionnaire was provided to freely describe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vocabulary lesson using storytelling to the two groups. The learner 's response was as follows. The students responded that vocabulary learning using narrative writing helped to improve their vocabulary, and playing a game together improved the students’ interest. However, as a disadvantage of vocabulary instruction using narrative production, students were often unfamiliar with the story production materials and thought that the time was shorter than expected. Despite this, we could conclude that the students’ ability of narrative writing has improved and interest in vocabulary learning improved with this method. Based on this study results, the following is the implications to English teaching. First, there is a need to further activate English education that uses storytelling in the elementary school English education field going forward. Also, teachers need to develop more appropriate learning methods considering the level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nd there should be steady research on this. Second, when the individual group and the cooperative group of vocabulary instruction using story production were compared, the positive effect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but the improvement in the individual learning group showed more positive effect than the cooperative group.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organize as a collaborative group that can interact with peers in consideration of the level and characteristics of learners in the classroom and to provide learners with more time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learning.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variety of teaching materials and activities to satisfy the learning needs of cooperative learners and to conduct research for more systematic teaching. Lastly, narrative writing is a writing activity based on one’s background information and creativity. It is one of the most critical educational goals to one’s experiences in their daily lives in a narrative (Kim, 2006). Utilizing storytelling in vocabulary teaching can be a very effective tool considering the current status and diversity of Korean English education. There should be more diverse research on the narrative writing methods so that teachers and educators can proactively engage in. ;기본적인 의사소통에 있어서 발화자가 의사를 전달하고자 할 때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어휘이다(Sokmen, 1997). 2015년 초등학교 영어과 교육과정에 따르면 학습자들이 영어 학습에 흥미와 자신감을 가지고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기초적인 영어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을 길러 영어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영어교육의 주된 목표로 하고 있다(교육부, 2015). 따라서 영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달성하기 위해 학습자들은 풍부한 어휘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주장들이 많다(Coady & Huckin, 1997). 최근 영어교육의 초점이 의사소통 능력에 맞춰지면서 어휘의 중요성도 함께 강조되어 어휘능력 향상에 관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지도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Kim, 2008). 이러한 상황에 발맞추어 우리나라 초등 영어 교육에서도 어휘습득과 어휘능력 향상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이에 관한 연구가 끊임없이 진행되어 왔으나, 아직은 그 수가 극히 미미한 상황이다(김수경 2003). 이는 초등 영어 교육이 우리나라에 도입된 이후 지난 10여 년간 초등영어 교육 종사자들이 분명하고 빠른 학습 효과를 기대하여 명시적인 어휘 교수, 학습 방법에만 의존해왔기 때문이다(Won 2007). 따라서 어휘 학습을 통해 보다 더 유의미하고 효과적으로 어휘능력 향상을 할 수 있는 다양한 어휘학습 방법에 대한 여러 가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또한 학습자들이 교실상황에서 단어를 쉽고 흥미롭게 습득하고 오랫동안 기억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어야한다. 본 연구는 이야기 쓰기를 활용한 협동 어휘 학습이 초등학교 학습자들의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에 소재한 D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5주 동안 총8번의 실험이 진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세 집단으로 나뉘며 그 중 불참한 학생들 7명은 실험대상에서 제외하였고, 총 연구 대상의 수는 56명으로 구성되었다. 6차시의 실험 동안 이야기 쓰기를 활용한 어휘 학습이 초등학교 6학년 학습자들의 어휘학습에 미친 전반적인 영향과 수준별 학습자들의 영어 어휘 능력에 대한 영향, 마지막으로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적으로 알아보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세부적으로 이야기 쓰기를 활용한 어휘 학습을 각각 개별학습과 협동학습으로 적용을 하여 초등학교 영어학습자의 어휘 학습 및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하였다. 본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야기 쓰기를 활용한 영어 어휘 학습이 학습자들의 어휘 학습에 전반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세 집단 모두 사후 어휘 평가 결과에서 어휘력이 향상 되었으며, 모두 유의확률 0.05보다 낮으므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평가를 생산적 부분과 수용적 부분으로 나누어서 보았을 때, 생산적 영역과 수용적 영역 두 집단 모두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했지만, 반면 사전과 사후 평균의 세 집단 간의 점수 향상이 있었음을 확실히 볼 수 있었다. 둘째, 수준별 학습자들의 영어 어휘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사전 테스트 점수를 바탕으로 학습자들을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으로 분류하고 사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이야기 수업이 상위 집단 학습자들의 학습자들에게는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던 반면, 하위 집단 학습자들의 점수에는 변화가 없었다. 셋째, 이야기 쓰기를 활용한 어휘 학습이 학습자들의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두 집단의 사전∙사후 폐쇄형, 개방형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설문지 분석 결과, 실험 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음을 알 수 있었지만, 실험 후 분석 결과를 보면 태도 중 공부에 대한 방법과 필요성에서 유의미한 증가가 관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이야기 쓰기를 활용한 어휘 수업이 학습자들의 정의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두 집단에게 이야기 쓰기를 활용한 어휘 수업에 대한 장점과 단점을 자유롭게 서술할 수 있도록 개방형 설문지를 제공하였고, 그에 대한 학습자들 응답은 다음과 같다. 우선 이야기 쓰기를 활용한 어휘 학습이 어휘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는 답변이 많았고 게임을 함께 진행한 것이 학습자들의 흥미를 높이는데 도움을 주었다는 반응이었다. 그러나 이야기 쓰기를 활용한 어휘수업의 단점으로 아직 이야기 쓰기에 대한 자료가 익숙하지 않고 수업시간이 생각보다 짧다는 의견들이 많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습자들의 이야기 쓰기 활동은 어휘력의 향상뿐만이 아니라 어휘 학습에 대한 흥미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이야기 쓰기에 대한 연구가 영어 교육에 시사하는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앞으로의 초등학교 영어교육 현장에서 이야기 쓰기를 활용하는 영어 교육이 더욱더 활성화될 필요가 있고, 또한 교사는 학습자들의 수준과 특성을 고려하여 보다 더 적합한 학습법을 찾고, 학습자들에게 맞는 어휘 학습이 될 수 있도록 꾸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이야기 쓰기를 활용하여 어휘 수업을 진행한 개인집단과 협동집단을 비교했을 때, 두 집단 모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으나, 개인학습 집단에서의 향상이 협동학습 집단보다 더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교실에서의 학습자들의 수준과 특성을 고려하여 또래간의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협동집단으로 편성을 하는 것과, 또한 학습자들이 학습을 할 때에 서로간의 의사소통의 기회를 더 가질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함으로써 협동학습자들의 학습욕구를 만족 시킬 수 있는 수업자료와 활동들을 다양하게 제공하고 더욱 체계적인 수업을 위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겠다. 마지막으로, 이야기 쓰기는 자신의 배경지식을 활용하고 창의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이어지는 쓰기 활동으로써, 인간의 삶 속에 항상 자리하고 있는 서사적 경험을 글로 표현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며 매우 중요한 교육 목표 중 하나라고 주장한 바 있다(김지연, 2006). 이야기 쓰기를 활용한 어휘수업은 현재 우리나라 영어수업 상황과 또한 다양함을 고려했을 때, 초등학생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인 어휘수업이 될 수 있다. 이야기 쓰기를 활용한 수업이 우리나라 영어 학습에 더욱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교사들과 연구자들의 많은 관심과 활발한 연구가 많이 필요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