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68 Download: 0

가족동반 식사가 성인의 식생활 및 건강 상태에 미치는 영향 연구

Title
가족동반 식사가 성인의 식생활 및 건강 상태에 미치는 영향 연구
Other Titles
The effects of family meals on nutrients & food intakes and health status in adults : Findings from the fifth (2010-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Ⅴ)
Authors
오나래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미숙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gure out the status of family meal in Korean adults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family meal with food & nutrient intake and health status according to family meal type. The data of 9,547 subjects (19-64 years old) were analyzed in the final analysis based on KNHANES Ⅴ (2010-2012). The variables of this study were composed of related characteristics (general characteristics, eating habits, health behavior), nutrients intake, nutrients intake percentage and nutrients risk in comparison with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KDRIs), dietary quality and diversity, food intakes, food group serving size, fulfillment of healthy diet, nutritional index of HP2020 and physical·mental health according to family meal type. Family meal groups were classified on the basis of questionnaire “Have you mostly eaten meal with a family in a recent year?(at each meal)”. Total subjects (n=9,547)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reakfast & dinner with family (BDWF), breakfast or dinner with family (BODWF), breakfast and dinner without family (BDWOF). All statistical data was analyzed by SAS 9.4 software. Chi-square test was used to check on the family meal status, related characteristics (general, food habits, health related behavior) and nutrients risk and HP2020 nutritional index according to family meal group.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nutrients intake, dietary quality, dietary diversity, food intake and food group serving size were analyzed by Anova and the confounding factors were adjusted by age, sex and energy intake. Logistic regression was conducted for health behavior, fulfillment of healthy diet and physical·mental health. The odds ratio estimates including points estimate and 95% confidence intervals were showed. The analyzed resul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two-tailed test). As a result, the ratio of BDWF, BODWF and BDWOF were 40.54%, 37.00% and 22.46%. BDWF was older and had lower educational and income level than BDWOF. BDWF showed lower percentage of skipping meals and frequency of eating out than BODWF and BDWOF. BDWF also showed lower rate of current smoking and drinking for a month than BDWOF. Accordingly, the variables that had effects on family meal were confirmed as sex, age, marriage, education level, income, family type, skipping of breakfast·lunch·dinner, the frequency of eating out, smoking, drinking. Family meal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nutrients intake. BDWF showed higher ratio of carbohydrate and lower ratio of fat in energy intake and high nutrients intake to 1,000kcal and ratio in comparison with Dietary Recommended Intakes for Koreans (KDRIs). BDWF also had significantly lower nutrient risk of energy, phosphorus, iron, vitaminA and vitaminC, so family meal was related with positive dietary intake. This study made use of Index of Nutritional Quality (INQ), Dietary variety Score (DVS), Dietary Diversity Score (DDS), food intake, food group serving size to evaluate dietary quality, dietary diversity and food group intake. BDWF showed higher INQ of nutrients than that of BDWOF except for niacin. BDWF also had higher DVS, DDS than those of BDWOF. BDWF also showed higher intake of grains, nuts, vegetables and lower intake of sugar, oils, beverages and liquor. Futhermore, family meals were associated with healthy diet. Family meal group (BDWF, BODWF) did well healthy diet life, especially in adequate intake of fruits, vegetable. Subjects who did have family meal in morning and evening had significantly higher percentage in ‘normal weight’, ‘optimal intake of iron’, ‘optimal intake of vitA’and lower percentage of underweight. Finally, BDWF was in better health status of physical and mental. Physical and mental health were analyzed after adjusting confounding variables stepwise. In particular, family mea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mental health including stress recognition, depression experience and suicide thoughts. BDWF had lower risk of stress recognition, depression experience and suicide thoughts and it was revealed that family meal had positive effects on adults’s mental health. This study concludes that family meal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ietary and nutrient intake and physical and mental health in Korean adults. Therefore, it needs to have new understanding of the adults’ family meals and practical benefits of family meals should be aggressively educated and promoted.;가족동반 식사는 가족과 함께하는 식사로, 가족의 의식(儀式) 및 가족 구성원의 사회화의 장으로 기능을 한다. 가족동반 식사는 가족의 기능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신체적・정신적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최근 가족 구조 및 외부 환경의 변화 등으로 인하여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상황이다. 가족식사의 중요성에 대한 재인식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기존의 연구는 주로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진행되어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그동안 활발하게 연구되지 않았던 한국 성인(19-64세)의 가족동반 식사가 영양・식품 섭취 및 건강 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이해하는 것이다. 연구의 수행을 위하여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분석하였고, 최종 9,547명의 가족동반 식사 상태를 파악하고, 가족동반 식사에 따른 차이를 조사하였다. 가족동반 식사의 현황을 알아보기 위하여 점심 식사를 제외한 아침과 저녁 식사 시 가족동반 식사 여부를 묻는 문항의 응답에 따라 아침과 저녁 모두 가족을 동반하여 식사하는 군 (BDWF), 아침과 저녁 중에 한 끼만 가족을 동반하여 식사하는 군 (BODWF), 아침과 저녁 모두 가족을 동반하지 않고 식사하는 군 (BDWOF)으로 분류하였다. BDWF군은 40.54%, BODWF군은 37.00%, BDWOF군은 22.46%였다. 가족동반 식사 유형과 관련한 일반적 특성에서는 성별, 연령, 연령대, 결혼 상태, 교육수준, 소득수준, 가족형태 모두 유의미한 관련성을 나타냈다. BDWF군은 BDWOF군에 비해 여성이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평균 연령이 높았으며, 낮은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의 대상자가 많이 해당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식습관 특성은 가족동반 식사를 할수록 아침, 점심, 저녁의 결식률이 낮았으며, 외식 빈도 역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건강 관련 행위 중 가족동반 식사를 할수록 평생흡연발생률, 월간음주율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성별, 연령, 결혼상태, 교육수준, 소득수준, 가족형태, 아침·점심·저녁 결식, 외식 빈도, 흡연상태, 음주상태가 가족동반 식사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침・저녁 가족동반 식사군 (BDWF)은 전체 에너지 중 탄수화물의 섭취 비율이 높았고, 지방의 섭취 비율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BDWF의 탄수화물, 식이섬유, 인, 철, 나트륨, 칼륨, 티아민, 비타민C 등 대부분의 영양소의 섭취량과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대비 각 영양소의 섭취 비율이 가족비동반 식사군 (BDWOF)보다 높은 결과를 보였다. BDWF의 에너지, 인, 철, 비타민A, 비타민C의 영양 위험 수준이 다른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비율로 나타나 가족동반 식사와 적정한 영양소 섭취가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가족동반 식사 유형 별 식사를 평가하기 위하여 영양 질적 지수 (INQ)를 이용하여 식사의 질을 평가하였고, 총 식품 점수 (DVS)와 주요 식품군 점수 (DDS)를 활용하여 식사의 다양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15개의 식품군의 섭취량과 곡류, 고기・생선・달걀・콩류, 채소류, 과일류, 우유 및 유제품류, 유지 및 당류인 6개 식품군의 섭취 분량을 파악하였다. 니아신을 제외한 대부분의 영양소에서 BDWF군의 영양 질적 지수가 BDWOF보다 높았고, 식사의 다양성 점수 역시 높았는데, 특히 DVS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BDWF군의 곡류, 채소류, 종실류의 섭취량은 다른 가족동반 식사군보다 많았고, 반면 당류, 유지류, 음료 및 주류의 섭취량은 가장 적었다. 또한 6가지 식품군 섭취 분량에서는 곡류와 채소류의 섭취 분량이 많았으며, 다른 두 군(BODWF, BDWOF)에 비해 유지 및 당류의 섭취 분량은 낮아 가족 식사가 건강한 식사와 관련이 있고, 가족동반 식사를 하지 않는 군에서는 건강에 좋은 식사를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의 영양 지표와 관련하여 BDWF군에서 다른 군에 비하여 건강식생활을 실천하는 경향이 컸고, 특히 과일과 채소를 적정 수준으로 섭취하는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또한 BDWF군의 ‘가임기 여성의 빈혈 비율’, ‘철을 적정 수준으로 섭취하는 비율’, ‘비타민A를 적정 수준으로 섭취하는 비율’ 등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저체중 성인의 비율’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가족동반 식사 유형에 따른 신체적・정신적 건강을 분석한 결과, 신체적 건강과 관련하여 BDWF군의 고혈압의 위험성이 유의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가족동반 식사는 이러한 신체적 건강보다 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가족동반 식사를 하는 BDWF의 스트레스 인지, 우울 증상 경험, 자살 생각의 위험이 유의미하게 낮아져 각종 스트레스에 시달려 정신적·심리적으로 지쳐 있는 현대인들에게 가족동반 식사의 필요성이 더욱 제고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가족동반 식사의 구체적인 빈도의 파악 및 가족동반 유무와 동반인 유무를 구별에 있어서 한계점을 가지고 있지만, 기존의 미비하였던 성인의 가족동반 식사의 영향을 연구한 데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던 기존의 연구와 유사한 경향이 나타났는데, 성인의 가족동반 식사 역시 영양 섭취 및 식품 섭취, 신체적・정신적 건강과의 긍정적인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가족동반 식사의 다양한 측면에서의 기능에 대한 적극적인 교육과 홍보를 진행하여 성인의 가족 식사를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향후 구체적인 가족동반 식사의 빈도와 동반인 유무 및 종류에 따른 영양・식품 섭취, 신체적・정신적 건강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